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신행정학개론

신행정학개론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안광현
서명 / 저자사항
신행정학개론 / 안광현
발행사항
서울 :   청목출판사,   2013  
형태사항
519 p. : 삽화 ; 26 cm
ISBN
9788955655063
서지주기
참고문헌(p. 507-515)과 색인수록
000 00631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49290
005 20130427105916
007 ta
008 130423s2013 ulka b 001c kor
020 ▼a 9788955655063 ▼g 93360
035 ▼a (KERIS)BIB000013118769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51 ▼2 23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2013z5
100 1 ▼a 안광현 ▼0 AUTH(211009)100809
245 1 0 ▼a 신행정학개론 / ▼d 안광현
246 3 0 ▼a 행정학개론
260 ▼a 서울 : ▼b 청목출판사, ▼c 2013
300 ▼a 519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507-515)과 색인수록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2013z5 등록번호 11169361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안광현(지은이)

현재 영동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숭실대학교에서 행정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에서 MATS(신학석사)를 취득하였다. 숭실대학교, 한남대학교, 서울기독 대학교에 출강하였고, 사회복지법인 하늘행복나눔 사회복지연구소장, (사)한국평가 감사연구원 기획팀장으로 섬기고 있다. 저서 및 역서로는「하늘 문을 여는 대표기도」,「욕구 다스리기」, 「귀기울임」,「365 축복의 통로」, 「지방자치와 세계화」,「현대지방자치론」,「현대행정학」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행정의 특성 및 접근방법 = 15
 제1절 행정의 정의와 변천 = 15
  1. 행정의 정의 = 15
  2. 행정개념의 변천 = 17
 제2절 행정의 특성과 행정이념 = 23
  1. 행정의 특성 = 23
  2. 행정학의 특성 = 27
  3. 행정이념 = 30
 제3절 행정환경 = 39
  1. 내부적 환경 = 39
  2. 외부적 환경 = 41
 제4절 행정학 접근방법 = 50
  1. 역사적 접근방법 = 50
  2. 법률적ㆍ제도론적 접근방법 = 51
  3. 관리기능적 접근방법 = 52
  4. 행태론적 접근방법 = 52
  5. 생태론적 접근방법 = 54
  6. 체제론적 접근방법 = 56
  7. 공공선택론적 접근방법 = 58
  8. 현상학적 접근방법 = 59
  9. 신제도론적 접근방법 = 60
제2장 행정학의 발달과 주요 이론 = 65
 제1절 행정학의 발달 = 65
  1. 고전적 행정학 = 66
  2. 신고전적 행정학 = 70
  3. 현대적 행정학 = 73
 제2절 행정학 패러다임의 변화 = 77
  1. 패러다임 Ⅰ: 정치ㆍ행정의 분리(1900∼1926) = 77
  2. 패러다임 Ⅱ: 행정원리론 = 78
  3. 패러다임 Ⅲ: 정치학으로서의 행정학(1950∼1970) = 81
  4. 패러다임 Ⅳ: 관리과학으로서의 행정학(1956∼1970) = 81
  5. 패러다임 Ⅴ: 행정학으로서의 행정학(1970∼) = 82
  6. 평가 및 결론 = 83
 제3절 행정학의 주요 이론 = 84
  1. 과학적 관리론 = 85
  2. 인간관계론 = 87
  3. 비교행정론 = 89
  4. 발전행정론 = 90
  5. 신행정론 = 91
  6. 공공선택이론 = 93
  7. 신공공관리론 = 95
제3장 행정윤리와 포스트모더니즘 = 103
 제1절 행정윤리 = 103
  1. 공직윤리와 행정윤리의 개념 = 103
  2. 공직자윤리의 필요성 = 104
  3. 공직윤리와 청백리사상 = 107
  4. 공직윤리 규범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 = 109
 제2절 행정부패 = 113
  1. 부패의 정의 = 113
  2. 부패의 유형 = 118
  3. 부패인식지수(CPI) = 125
  4. 부패요인 = 128
  5. 부패문화 개선과 공직윤리 제고방안 = 132
 제3절 포스트모더니즘 = 134
  1.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및 특징 = 134
  2. 양자이론 = 145
  3. 카오스이론 = 151
제4장 정책의 개념과 주요 이론 = 159
 제1절 정책의 정의 = 159
  1. 정책의 개념 = 159
  2. 정책의 구성요소 = 160
  3. 정책의 특징 = 163
  4. 정책의 분류 = 164
 제2절 정책의 주요 이론 = 165
  1. Lowi의 정책의 분류 = 165
  2. AlmondㆍPowell의 정책유형 = 168
 제3절 정책학의 본질 = 169
  1. 정책학의 개념 = 169
  2. 정책학의 등장배경 = 169
  3. 정책학의 연구목적 = 172
  4. 정책학의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 173
  5. 정책학의 특성 = 174
 제4절 정책참여자 = 175
  1. 공식적 참여자 = 175
  2. 비공식적 참여자 = 177
제5장 정책과정 = 181
 제1절 정책형성 = 182
  1. 정책형성의 의의 = 182
  2. 정책의제의 설정 = 182
  3. 정책의제의 과정에 따른 유형 = 183
  4. 주도집단에 따른 유형 = 184
  5. 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85
 제2절 정책결정과 정책결정모형 = 186
  1. 정책결정의 정의와 특징 = 186
  2. 정책결정의 과정 = 187
  3. 정책결정모형의 의의 = 200
  4. 정책결정모형의 유형 = 200
 제3절 정책집행 = 211
  1. 정책집행의 의의와 집행단계 = 211
  2. 정책집행의 중요성 = 212
  3. 정책집행의 연구방법 = 213
  4. 정책집행의 연구유형 = 214
  5. 정책집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16
  6. 정책집행의 순응과 불응 = 217
 제4절 정책평가 및 변동 = 219
  1. 정책평가의 의의와 필요성 = 219
  2. 정책평가의 유형 = 219
  3. 정책평가의 한계 = 221
  4. 정책변동과 유형 = 222
제6장 조직의 본질과 관료제 = 227
 제1절 조직의 본질과 유형 = 227
  1. 조직의 본질 = 227
  2. 현대조직이론의 특징 = 231
  3. 조직의 유형 = 233
 제2절 관료제 = 242
  1. 관료제의 의의와 발달 = 242
  2. 관료제의 특성 = 243
  3. 관료제의 유형 = 243
  4. 관료제의 순기능과 역기능 = 244
 제3절 애드호크라시 = 246
  1. 애드호크라시의 발달 = 246
  2. 애드호크라시의 특징 = 247
  3. 애드호크라시의 조직형태 = 248
제7장 조직관리와 조직발전 = 253
 제1절 동기부여이론 = 253
  1. 내용이론 = 254
  2. 과정이론 = 257
 제2절 의사전달과 조직관리 = 259
  1. 의사전달의 의의와 기능 = 259
  2. 의사전달의 유형 = 260
  3. 의사전달의 저해요인 = 262
  4. 조직관리 = 262
 제3절 리더십 = 264
  1. 리더십의 의의 = 264
  2. 리더십의 주요 이론 = 264
  3. 리더십의 유형 = 265
 제4절 조직갈등과 조직발전 = 268
  1. 조직갈등 = 268
  2. 정보화 시대의 조직개혁 = 275
  3. 조직발전 = 279
제8장 인사행정 본질과 공직의 분류 = 285
 제1절 인사행정의 본질 = 285
  1. 인사행정의 개념과 목표 = 285
  2. 인사행정의 과정 = 287
  3. 인사행정의 특징과 발달 = 289
 제2절 공직의 분류 = 297
  1. 경력직과 특수 경력직 = 297
  2. 개방형 공무원과 폐쇄형 공무원 = 299
  3. 직위분류제와 계급제 = 300
 제3절 중앙인사기관 = 305
  1. 중앙인사기관의 의의 = 305
  2. 중앙인사기관의 유형 = 307
제9장 공무원 임용과 능력발전 = 313
 제1절 공무원 임용 = 313
  1. 임용의 의의 = 313
  2. 임용의 유형 = 314
 제2절 능력발전 = 321
  1. 교육훈련 = 321
  2. 근무성적평정 = 323
 제3절 사기양양 = 326
  1. 공무원의 사기 = 326
  2. 공무원의 보수 = 327
  3. 공무원의 연금과 고충처리 = 329
 제4절 공무원의 단체행동과 정치적 중립성 = 329
  1. 공무원의 단체행동 = 329
  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성 = 331
제10장 재무행정 = 337
 제1절 재무행정의 본질 = 337
  1. 예산 = 337
  2. 예산결정이론 = 345
 제2절 예산과정 = 346
  1. 예산편성 = 346
  2. 예산심의와 집행 = 349
 제3절 예산제도 = 354
  1. 품목별 예산제도 = 354
  2. 성과주의 예산 = 355
  3. 기획예산제도 = 357
  4. 영기준예산제도 = 359
 제4절 조세제도 = 361
  1. 조세의 기본원칙 = 361
  2. 조세의 종류 = 365
 제5절 구매행정 = 370
  1. 구매행정의 의의와 원칙 = 370
  2. 구매의 방식 = 370
제11장 지방자치의 본질과 역사 = 377
 제1절 지방자치의 본질 = 377
  1. 지방자치의 의의 = 377
  2. 지방자치의 목적 = 379
  3. 자치권의 근거 = 379
  4. 지방자치의 이념 = 381
 제2절 지방자치의 구성과 유형 = 385
  1. 지방자치의 구성요소 = 385
  2. 지방자치의 유형 = 388
 제3절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 = 390
  1. 근대 이전의 지방자치 = 390
  2. 근대 이후의 지방자치 = 391
  3. 현대의 지방자치 = 393
 제4절 집권과 분권 = 396
  1. 집권과 분권의 의의 = 396
  2. 집권과 분권의 장ㆍ단점 = 397
  3. 집권화와 분권화의 촉진요인 = 399
  4. 신중앙집권과 신지방분권 = 401
제12장 지방자치단체의 구성과 지방선거 = 407
 제1절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 407
  1. 지방자치단체의 의의 = 407
  2. 지방자치단체의 구성요소 = 409
  3.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종류 및 현황 = 409
 제2절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 412
  1.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의 의의 = 412
  2.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형태 = 416
 제3절 지방의회와 집행기관 = 417
  1. 지방의회의 의의 = 417
  2. 지방의회의 조직 = 419
  3. 지방의회의 권한과 운영 기본원칙 = 420
  4. 지방자치단체집행기관의 의의 = 422
  5. 지방자치단체장의 지위와 권한 = 422
 제4절 지방선거 = 424
  1. 지방선거의 정의 = 425
  2. 지방선거제도의 유형 = 427
  3. 우리나라 지방선거의 xrwld = 428
제13장 행정개혁 = 433
 제1절 행정개혁 = 433
  1. 행정개혁의 의의 = 433
  2. 행정의 환경변화 = 437
  3. 우리나라 행정개혁의 발전방안 = 443
 제2절 NPM과 New Governance 를 통한 행정개혁 = 449
  1.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과 행정개혁 = 449
  2. 뉴 거버넌스와 행정개혁 = 453
 제3절 행정경영화의 전략 = 455
  1. 행정경영화의 개념 및 필요성 = 455
  2. 경영화의 한계와 사업형태 = 456
  3. 총체적품질관리제 = 458
  4. CI 전략 = 460
  5. 벤치마킹 = 460
제14장 정보사회와 정보화 정책 = 467
 제1절 정보사회와 전자정부 = 467
  1. 정보사회 = 468
  2. 전자정부 = 472
  3. 전자정부에서 행정의 변화와 역할 = 480
 제2절 지식행정 = 485
  1. 지식 = 485
  2. 지식행정 = 488
 제3절 정보화와 정보화정책 = 490
  1. 정보화의 의의 = 490
  2. 정보화정책의 의의 = 491
  3. 한국 정보화의 현실 = 492
 제4절 국가정보화와 지역정보화 = 493
  1. 국가정보화 = 493
  2. 지역정보화 = 498
  3. 녹색정보화 = 503
참고문헌 = 507
찾아보기 = 51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