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774camcc2200493 c 4500 | |
001 | 000045748732 | |
005 | 20130418140736 | |
007 | ta | |
008 | 130130s2012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2786330 ▼g 93510 : ▼c \30000 | |
035 | ▼a (KERIS)BIB000013056538 | |
040 |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1 | ▼a 610.72 ▼2 23 |
085 | ▼a 610.72 ▼2 DDCK | |
090 | ▼a 610.72 ▼b 2012z1 | |
245 | 2 0 | ▼a (한 손에 잡히는) 임상연구 : ▼b 설계와 실행의 모든 것 / ▼d 원저: Stephen B. Hulley, ▼e Steven R. Cummings, ▼e Warren S. Browner, ▼e Deborah G. Grady, ▼e Thomas B. Newman ; ▼e 옮김: 곽경필, ▼e 배치운, ▼e 백종우, ▼e 서호준, ▼e 석정호, ▼e 우종민, ▼e 이병철, ▼e 전홍진, ▼e 한창수, ▼e 함병주 |
246 | 1 9 | ▼a Designing clinical research ▼g (3rd ed.) |
260 | ▼a 서울 : ▼b 군자출판사, ▼c 2012 | |
300 | ▼a xiv, 361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0 | 0 | ▼a Clinical trials. |
650 | 0 | ▼a Medicine ▼x Research ▼x Methodology. |
650 | 0 | ▼a Epidemiology ▼x Research ▼x Methodology. |
650 | 1 2 | ▼a Epidemiologic Methods. |
650 | 2 2 | ▼a Research Design. |
700 | 1 | ▼a Hulley, Stephen B. |
700 | 1 | ▼a Cummings, Steven R. |
700 | 1 | ▼a Browner, Warren S. |
700 | 1 | ▼a Grady, Deborah G. |
700 | 1 | ▼a Newman, Thomas B. |
700 | 1 | ▼a 곽경필, ▼d 1969-, ▼e 역 |
700 | 1 | ▼a 배치운, ▼d 1967-, ▼e 역 |
700 | 1 | ▼a 백종우, ▼d 1970-, ▼e 역 |
700 | 1 | ▼a 서호준, ▼e 역 |
700 | 1 | ▼a 석정호, ▼d 1970-, ▼e 역 |
700 | 1 | ▼a 우종민, ▼d 1968-, ▼e 역 |
700 | 1 | ▼a 이병철, ▼e 역 |
700 | 1 | ▼a 전홍진, ▼d 1972-, ▼e 역 |
700 | 1 | ▼a 한창수, ▼d 1968-, ▼e 역 |
700 | 1 | ▼a 함병주, ▼d 1968-, ▼e 역 |
710 | ▼a 임상시험리뷰연구회, ▼e 역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610.72 2012z1 | Accession No. 13104594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행 연구, 임상 실험, 특허취득용 연구, 역학 연구, 행동 과학 및 보건 서비스 연구까지 모든 형태의 임상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론에 대한 책이다. 이처럼 방대한 분야의 과학적 특성과 그 방법을 정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모든 연구자가 가장 최선이라고 인정하는 접근법이 오직 한가지만 있는 것도 아니다. 제1, 2판에서는 보다 실용적이고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역학적 용어와 원칙에 기반을 두었으며, 연구 설계 과정에서 필요한 여러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적이면서도 일반적인 방법을 강조하였다. 한 손에 잡히는 임상연구 제3판에서는 동일한 방식을 고수하면서도, 새로운 발전을 이루려고 하였다.
서문
본 저서는 이행 연구(transitional research), 임상 실험, 특허취득용 연구, 역학 연구, 행동 과학 및 보건 서비스 연구까지 모든 형태의 임상 연구를 수행하는 방법론에 대한 책이다. 이처럼 방대한 분야의 과학적 특성과 그 방법을 정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게다가 모든 연구자가 가장 최선이라고 인정하는 접근법이 오직 한가지만 있는 것도 아니다. 제1, 2판에서는 보다 실용적이고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역학적 용어와 원칙에 기반을 두었으며, 연구 설계 과정에서 필요한 여러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체계적이면서도 일반적인 방법을 강조하였다.
한 손에 잡히는 임상연구(Designing Clinical Research) 제3판에서는 동일한 방식을 고수하면서도, 새로운 발전을 이루려고 하였다. 관찰 연구 이외에 새로 추가된 내용으로는 실험군 교차 연구 디자인(case-crossover designs), 경향점수(propensity scores)와 조작적 변수(instrumental variables), 교란 변수를 제어하기 위한 맨델 무작위 기법의 활용 등이 있다. 임상 실험 관련 부분을 재구성하여 중도수정형 디자인(Adaptive design)을 새로 소개하였고, 새로 연구를 시작하는 사람이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의학 검사법의 연구 및 기존 데이터 활용 부분의 폭을 넓혔다. 연구 윤리도 상당 부분 최신 소식을 추가하였으며, 최신 정보기술을 다루면서 데이터 관리 부분을 새로 추가하였다. 또한, 연구의 실행 및 품질 관리 부분을 다시 기술하여 연구 재개 단계의 실제적 문제와 의약품 임상시험관리지침(Good Clinical Practices)과 같은 감독기관 사안들을 다루었다. 기금 확보와 관련한 부분을 업데이트 하였으며, 신진 연구자들이 맞닥뜨리는 어려움에 도움을 주고자 노력했다.
또한 제3판에서는 매 장마다 끝부분에 예제와 참고 문헌을 개정하여 전체적인 새로움을 주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제2판 이후 6년간 수행했던 임상 연구 디자인 워크숍(Designing Clinical Research workshop)에 참가했던 100여명의 보건의학 전문가들의 피드백에 기반하여 저자들의 사고 과정이 더욱 성숙해졌다는 것이다. 본 저서는 학생들을 위한 교재로 활용하거나 혼자서 임상연구 디자인을 공부하고자 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DCR 웹사이트 www.epibiostat.ucsf.edu/dcr/에서 제공되는 표본 크기 계산기도 함께 쓰면, 유용할 것이다.
제 3판에서 바꾸지 않은 것들도 많다. 제3판에서도 불필요한 자세한 기술은 배제하려고 하였으며, 연구자들이 보다 중요한 것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좋은 연구 주제를 모색하고, 효율적이면서 효과적이고 윤리적인 연구 디자인을 계획하는 것 말이다. 표본 크기 산출에 대한 두 장은 특히 독자의 호응이 높았던 부분이기도 하고, 과정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독자들이 공식을 사용하지 않고도 스스로 계산을 할 수 있게끔 하기 위하여 유지하였다. 영문 책자 초반부에서는 연구자 대명사를 여성으로 지칭하고, 나머지 부분에서는 남성으로 지칭하는 것도 바뀌지 않은 부분이다. 우리는 여성 남성 연구자 모두를 대상으로 저술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독자들이 원하는 주제인(15) 통계 분석의 중요 영역이나 임상 연구에서 파악된 결과를 파급하는 방법도 여전히 다루지 않고 있다.
프로젝트 설계 과정의 여러 단계들 중에서 신규 연구자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은 연구 주제를 정하는 것이다. 다행히도, 의학 연구에서는 찾아내는 답보다 제기할 수 있는 문제가 많기 때문에, 경험을 쌓다 보면 연구 주제에 대해 더욱 잘 파악하게 될 것이다.
그 과정에서 훌륭한 멘토와 장기적인 인간관계를 맺고, 이 책을 활용하여 스스로 길을 개척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험은 많은 것을 배우게 해 준다. 자신의 전문 분야와 관련된 피험자 모집방법, 측정법, 설계의 특수성에 익숙해지면, 임상 연구가 점점 쉬워지고, 얻는 것도 많아진다. 연구 기금의 수혜 가능성도 높아질 것이다. 본인 휘하의 연구원과 후임 연구자들이 생기고 멀리 있어도 같은 주제에 대하여 연구하는 동료 과학자들과 장기적인 우정을 쌓게 될 것이다. 지식이 늘어가는 과정은 미세하고 불확실하기 때문에, 획기적인 과학적 진전을 이룰 수 있는 기회는 드물다. 수많은 연구자들의 개별적인 노력이 축적되어서 의학의 점진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본 저서를 읽은 많은 독자들이 연구 수행 과정을 즐기고 임상연구 분야를 자신의 중요한 경력으로 삼게 되었다고 알려주어 기쁘다. 늘 호기심을 갖는 사람에게, 진실을 추구하는 일은 전 생애를 바칠 만한 멋진 일이 될 것이다. 완벽주의자나 세심한 사람에게는, 어떤 주제의 결론을 이끌어 내기 위해 합리적인 비용과 시간을 투자하여 훌륭한 연구를 창조해내는 것이 끝없는 도전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사회에 지속적인 기여를 하려는 꿈을 가진 사람에게는, 기술, 끈기, 행운에 따라 중요한 의학 지식의 진전을 이룰 수 있다는 희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ⅲ 역자 소개 = ⅴ 서문 = ⅶ 제1부 기본 요소 제1장 시작하기: 임상 연구의 해부 및 생리 = 3 연구의 해부학: 연구의 구성 = 3 연구의 생리학: 연구의 운영 = 8 임상연구 대자인 = 14 요약 = 16 참고문헌 = 17 제2장 연구 질문의 구상 = 19 연구 질문의 근본 = 20 훌륭한 연구 질문의 특성 = 22 연구 질문 및 계획안 개발 = 25 중개연구 = 26 요약 = 29 참고문헌 = 29 제3장 연구 피험자의 선정: 특정화, 표본추출, 모집 = 31 기본 용어와 개념 = 32 선정 기준 = 34 표본추출 = 36 피험자 모집 = 38 요약 = 40 참고문헌 = 42 제4장 측정 방법: 정밀도와 정확도 = 43 측정 척도 = 44 정밀도 = 45 정확도 = 48 측량 과정에서 요구되는 다른 특성들 = 52 저장된 검체의 측정 = 53 맺음말 = 53 요약 = 54 참고문헌 = 56 제5장 표본크기 추정을 위한 준비과정: 가설과 근본원칙 = 57 가설 = 57 기본적 통계 원칙 = 61 추가적으로 검토할 사항 = 66 요약 = 70 참고문헌 = 71 제6장 표본크기 산출과 검정력: 적용과 사례 = 73 분석적 연구 및 실험을 위한 표본크기 기법 = 73 기타 고려 사항 및 특수한 문제 = 79 서술적 연구를 위한 표본크기 기법 = 82 표본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 85 표본크기를 최소화하고 검정력을 최대화하기 위한 전략 = 85 정보가 충분치 않을 때 표본크기를 산출하는 방법 = 91 피해야 할 흔한 실수들 = 92 요약 = 93 참고문헌 = 103 제2부 맹검 연구 설계 제7장 코호트 연구의 설계 = 107 전향적 코호트 연구 = 107 후향적 코호트 연구 = 109 코호트 내 환자-대조군 연구와 환자-코호트 연구 = 111 다중-코호트 연구와 외부 대조군 = 113 기타 코호트 연구와 관련된 문제들 = 115 요약 = 116 참고문헌 = 117 제8장 단면 연구 및 환자-대조군 연구의 설계 = 119 단면 연구 = 119 환자-대조군 연구 = 123 관찰 연구 설계 방법의 선택 = 131 요약 = 133 참고문헌 = 137 제9장 관찰적 연구에서의 인과 추론력 강화 = 139 거짓 연관성 = 140 인과 관계 외의 실제 연관성들 = 143 설계 단계에서 교란 변수를 처리하는 방법 = 145 분석 단계에서 교란 변수에 대처하는 방법 = 150 인과 관계의 과소 평가 = 154 전략의 선택 = 155 요약 = 157 참고문헌 = 160 제10장 무작위 맹검 시험의 설계 = 163 중재와 대조군 조건의 선정 = 163 결과 측정법의 선정 = 166 참여자의 선정 = 169 기초 변수의 측정 = 172 무작위화와 맹검 = 173 요약 = 178 참고문헌 = 179 제11장 대안적 임상시험 설계 방법과 실행 관련 문제들 = 181 대안적 임상시험 설계 = 181 임상시험의 수행 = 189 요약 = 199 참고문헌 = 201 제12장 의학 검사법 연구의 설계 = 203 검사의 유용성 결정 = 203 검사의 재현성 연구 = 206 검사의 정확도 연구 = 208 검사 결과가 의학적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 = 213 검사의 실현가능성, 비용, 위험도에 대한 연구 = 214 결과물에 대한 검사의 영향력 연구 = 215 진단 검사 연구 설계 및 분석의 문제점 = 218 요약 = 222 참고문헌 = 227 제13장 기존 데이터의 활용 = 229 장점과 단점 = 229 이차적 데이터 분석 = 230 보조 연구 = 235 체계적 문헌 고찰 = 237 요약 = 243 종합 효과 및 신뢰구간 = 244 랜덤 효과 모형 vs. 고정 효과 모형 = 245 동질성의 통계적 검증 = 245 참고문헌 = 246 제3부 실행 제14장 윤리적 문제의 해결 = 251 윤리적 원칙 = 251 인간 피험자 대상 연구 관련 연방 법률 = 252 별도의 보호가 필요한 연구 참여자 = 259 연구자의 책임 = 260 특정 연구 유형의 윤리적 문제들 = 263 기타 문제들 = 265 요약 = 265 참고문헌 = 266 제15장 설문지 및 면담도구의 설계 = 269 적합한 도구 이용 = 269 설문 및 면담도구의 개발 단계 = 279 설문 및 면담도구의 진행 = 281 요약 = 283 참고문헌 = 285 제16장 데이터 관리 = 287 데이터 테이블 = 287 데이터 입력 = 291 데이터 추출(질의, 쿼리) = 297 데이터 오류의 파악과 수정 = 298 데이터 분석 = 299 비밀 보호와 보안 = 300 요약 = 301 참고문헌 = 301 제17장 연구의 실행과 품질관리 = 303 필요 자원을 구비하기 = 304 프로토콜 확정 = 309 연구 실행 과정의 품질관리 = 312 요약 = 319 참고문헌 = 324 제18장 지역사회와 국제연구 = 325 지역사회연구와 국제연구의 필요성 = 325 지역사회연구 = 327 국제연구 = 329 요약 = 335 참고문헌 = 335 제19장 연구 제안서 작성과 자금 확보 = 337 연구 제안서 작성 = 337 제안서의 구성 요소 = 340 좋은 제안서의 특성 = 346 연구를 위한 지원 모색하기 = 347 요약 = 353 참고문헌 = 353 찾아보기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