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한국어 교수법의 원리
제1장 문법번역식 교수법(Grammar Translation Method)
1. 개념 = 18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18
2.1 문법번역식 교수법의 등장 = 18
2.2 문법번역식 교수법의 등장 배경 = 19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20
3.1 문법번역식 교수법의 특징 = 20
3.2 문법번역식 교수법의 장점 = 22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23
5. 적용 가능 영역 = 25
5.1 절충주의적 적용 = 25
5.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 25
제2장 직접식 교수법(Direct Method)
1. 개념 = 27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28
2.1 직접식 교수법의 등장 = 28
2.2 직접식 교수법의 역사적 전개 과정 = 28
2.3 직접식 교수법 등장의 의의 = 32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32
3.1 직접식 교수법의 특징 = 32
3.2 직접식 교수법의 장점 = 34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35
5. 적용 가능 영역 = 36
제3장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1. 개념 = 38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38
2.1 청화식 교수법의 등장 = 38
2.2 청화식 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 40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43
3.1 청화식 교수법의 특징 = 43
3.2 청화식 교수법의 장점 = 47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48
5. 적용 가능 영역 = 49
5.1 단점을 보완한 교수ㆍ방법 = 49
5.2 청화식 교수법 수업의 절차 = 51
제4장 침묵식 교수법(The Silent Way)
1. 개념 = 53
1.1 언어 이론 = 53
1.2 학습 이론 = 54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55
2.1 침묵식 교수법의 등장 = 55
2.2 침묵식 교수법의 의의 = 56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57
3.1 침묵식 교수법의 특징 = 57
3.2 침묵식 교수법의 수업 도구 = 59
3.3 침묵식 교수법의 장점 = 64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64
5. 적용 가능 영역 = 65
제5장 공동체 언어 학습법(Community Language Learning)
1. 개념 = 68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69
2.1 공동체 언어 학습법의 등장 = 69
2.2 공동체 언어 학습법의 이론적 배경 = 69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71
3.1 공동체 언어 학습법의 특징 = 71
3.2 공동체 언어 학습법의 장점 = 72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73
5. 적용 가능 영역 = 75
제6장 전신 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1. 개념 = 79
1.1 전신 반응 교수법의 주요 활동 = 79
1.2 전신 반응 교수법의 기반 이론 = 80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81
2.1 기억 흔적 이론 = 81
2.2 인본주의 심리학 = 82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82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84
5. 적용 가능 영역 = 84
5.1 교수 절차 = 85
5.2 교수 기법 = 86
5.3 수업 시 주의해야 할 점 = 88
제7장 암시 교수법(Suggestopedia)
1. 개념 = 90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90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92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93
5. 적용 가능 영역 = 94
제8장 의사소통식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1. 개념 = 96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99
2.1 의사소통식 교수법의 등장 = 99
2.2 의사소통식 교수법의 등장 배경 = 100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102
3.1 의사소통식 교수법의 특징 = 102
3.2 의사소통식 교수법의 장점 = 103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104
5. 적용 가능 영역 = 104
제9장 과제 중심 교수법(Task-Based Language Teaching)
1. 개념 = 110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110
2.1 과제 중심 교수법의 등장 = 110
2.2 과제 중심 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 112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115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116
5. 적용 가능 영역 = 117
제10장 내용 중심 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
1. 개념 = 119
2. 이론적 배경 및 역사 = 120
2.1 내용 중심 교수법의 이론적 배경 = 120
2.2 내용 중심 교수법의 교수 모형 = 123
3. 수업 적용상의 특징과 장점 = 125
4. 수업 적용상의 단점 및 문제점 = 127
5. 적용 가능 영역 = 127
제2부 한국어 교수법의 실제
제1장 문법번역식 교수법(Grammer Translation Method)
1. 개요 = 132
2. 기본 수업 절차 = 132
3. 수업 모델 = 134
3.1 수업 개요 = 134
3.2 제시 = 134
3.3 활동 ① = 136
3.4 활동 ② = 137
3.5 활동 ③ = 138
3.6 마무리 = 140
제2장 직접적 교수법(Direct Method)
1. 개요 = 142
2. 기본 수업 절차 = 143
3. 수업 모델 = 143
3.1 수업 개요 = 143
3.2 도입 = 144
3.3 제시 및 설명 = 145
3.4 질의 및 응답 = 147
3.5 연습 = 150
3.6 마무리 = 151
제3장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1. 개요 = 153
2. 기본 수업 절차 = 153
3. 수업 모델 = 154
3.1 수업 개요 = 154
3.2 도입 = 154
3.3 제시 = 155
3.4 연습 = 156
3.5 활용 = 159
3.6 마무리 = 161
제4장 침묵식 교수법(The Silent Way)
1. 개요 = 163
2. 기본 수업 절차 = 164
3. 수업 모델 = 164
3.1 수업 개요 = 164
3.2 도입 = 165
3.3 제시 및 연습 = 166
3.4 활용 = 168
3.5 마무리 = 169
제5장 공동체 언어 학습법(Community Language Learning)
1. 개요 = 171
2. 기본 수업 절차 = 172
3. 수업 모델 = 173
3.1 수업 개요 = 173
3.2 도입 = 173
3.3 말하기 및 녹음하기 = 174
3.4 토론하기 = 176
3.5 전사하기 = 176
3.6 반추하기 = 178
3.7 마무리 = 179
제6장 전신 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1. 개요 = 180
2. 기본 수업 절차 = 180
3. 수업 모델 = 182
3.1 수업 개요 = 182
3.2 도입 = 183
3.3 제시 ① = 183
3.4 연습 ① = 184
3.5 제시 ② = 185
3.6 연습 ② = 185
3.7 활용 = 186
3.8 마무리 = 186
제7장 암시 교수법(Suggestopedia)
1. 개요 = 187
2. 기본 수업 절차 = 188
3. 수업 모델 = 189
3.1 수업 개요 = 189
3.2 도입 = 189
3.3 제시 = 190
3.4 연습 = 192
3.5 활용 = 193
3.6 마무리 = 194
제8장 의사소통식 교수법(Communication Language Teaching)
1. 개요 = 195
2. 기본 수업 절차 = 196
3. 수업 모델 = 197
3.1 수업 개요 = 197
3.2 도입 = 197
3.3 제시 = 199
3.4 연습 = 201
3.5 활용 = 203
3.6 마무리 = 204
제9장 과제 중심 교수법(Task-Based Language Teaching)
1. 개요 = 206
2. 기본 수업 절차 = 207
3. 수업 모델 = 208
3.1 수업 개요 = 208
3.2 도입 = 208
3.3 과제 ① = 210
3.4 학습 = 212
3.5 과제 ② = 213
3.6 마무리 = 215
제10장 내용 중심 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
1. 개요 = 216
2. 기본 수업 절차 = 217
3. 수업 모델 = 218
3.1 수업 개요 = 218
3.2 도입 = 218
3.3 제시 = 219
3.4 어휘 연습 = 220
3.5 읽기 = 222
3.6 토의 = 225
3.7 쓰기 = 225
3.8 마무리 = 225
참고문헌 =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