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23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748165 | |
005 | 20130422182252 | |
007 | ta | |
008 | 130416s2013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97927838 ▼g 93180 | |
035 | ▼a (KERIS)BIB000013118789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153.1/5 ▼2 23 |
085 | ▼a 153.15 ▼2 DDCK | |
090 | ▼a 153.15 ▼b 2013 | |
100 | 1 | ▼a Mazur, James E., ▼d 1951- ▼0 AUTH(211009)128225 |
245 | 1 0 | ▼a 학습심리학 / ▼d James E. Mazur 지음 ; ▼e 이영애, ▼e 이나경, ▼e 이현주 옮김 |
246 | 1 9 | ▼a Learning and behavior ▼g (7th ed.) |
260 |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13 | |
300 | ▼a x, 45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 [411]-454)과 색인수록 | |
650 | 0 | ▼a Learning, Psychology of |
650 | 0 | ▼a Conditioned response |
650 | 0 | ▼a Behavior modification |
650 | 0 | ▼a Psychology, Comparative |
700 | 1 | ▼a 이영애, ▼e 역 ▼0 AUTH(211009)117028 |
700 | 1 | ▼a 이나경, ▼e 역 ▼0 AUTH(211009)46476 |
700 | 1 | ▼a 이현주, ▼e 역 ▼0 AUTH(211009)82513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153.15 2013 | Accession No. 11169270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간과 동물의 학습과 행동을 다룬 책. 이 책의 목적은 인간과 동물의 학습 방법과 이런 학습의 결과로 일어나는 행동의 변화를 다루는 심리학의 분야를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데 있다. 학습 사례들과 학습된 행동들이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이 분야의 심리학자들은 대부분 수많은 생물학적 종과 다양한 학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 원리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간과 동물의 학습과 행동을 다룬 책.
학습심리학에서 가장 중용한 원리, 이론, 논쟁, 실험들
이 책의 목적은 인간과 동물의 학습 방법과 이런 학습의 결과로 일어나는 행동의 변화를 다루는 심리학의 분야를 독자들에게 소개하는 데 있다. 학습 사례들과 학습된 행동들이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에, 이 분야의 심리학자들은 대부분 수많은 생물학적 종과 다양한 학습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일반 원리를 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랜 기간 이 분야의 연구에서 얻은 인상적이고 고무적인 사실은 학습과 행동에 대한 이런 일반적인 진술이 실제로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지난 1세기 동안 학습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 이론, 논쟁, 실험들을 기술하고 있다.
제7판의 새로운 점은?
당신이 학습심리학의 개정판을 구입해야 할 여덟 가지 이유!
1. 제6판에 비해 매 장마다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였으며(총 300개 이상의 참고문헌 인용), 시대에 뒤쳐진 자료는 삭제하였다.
2. 대립과정이론, 습관화의 생리학적 원리, 유아의 습관화(제2장)뿐만 아니라 단서노출치료, 준비성, 공포증(제4장)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였다.
3. 복귀(제5장), 토큰 강화, 행동 운동량, 그리고 행동 수정에의 적용(제6장)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였다.
4. 학습된 무기력, 학습된 낙관주의, 반응대가, 생략(제7장)뿐만 아니라 정점 이동, 이조, 행동대조, 무오류 변별학습(제9장)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였다.
5. 수요곡선, 탄력성(제8장)을 포함하여 행동경제학에 대해 보다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또한 인간을 대상으로 한 고전적 조건형성과 조건형성의 시간부호화 가설(제3장)에 대한 여러 연구들을 제시하였다.
6. 동물의 암송, 수 세기, 연속적 패턴 학습, 청킹, 언어학습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을 추가하였다(제10장).
7. 거울뉴런에 관한 새로운 연구를 추가하였으며, 모방 일반화, TV 폭력 프로그램, 비디오게임, 비디오 자기모델링의 효과(제11장) 및 분산 연습, 피드백의 감소, 도식이론(제12장)에 관한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였다.
8. 스포츠와 실제 상황에서의 대응(매칭), 지연 할인 그리고 자기통제 기법(제13장)에 관한 새로운 연구를 추가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James E. Mazur(지은이)
1973년 다트머스대학교에서 심리학 학사를 취득하고 1977년 하버드대학교에서 실험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는 하버드대학에서 1980년에서 1988년까지 조교수와 부교수로 재직하였고, 그 이후 2010년 CSU 교수 직위를 받은 서던 코네티컷주립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다. 현재 그는 명예교수로 있으면서 가르치는 일을 계속하고 있다.
이영애(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와 동대학원을 수료하고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학과에서 인지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주제는 안구운동, 문제 해결, 의사결정, 창의적 유추이다. 주요 역서로는 인지심리학과 그 응용(Cognitive Psychology and Its Implications),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판단: 추단법과 편향(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이 있다.
이나경(옮긴이)
독일 올덴부르크국립대학교에서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인지심리학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연구 주제는 작업기억, 위험지각, 판단과 결정, 심리음향학이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인의 위험지각이 있고, 역서로는 판단과 결정의 심리학(Judgment and Decision Making: Psychological Perspectives), 응용인지심리학(Introduction to Applied Cognitive Psychology) 등이 있다.
이현주(옮긴이)
이화여자대학교와 동 대학원의 심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인지심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명지대학교 학생상담센터에 재직 중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01 역사, 배경 그리고 기본 개념들 일반 학습 원리의 탐색 = 3 연합주의자들 = 4 아리스토텔레스 = 4 영국의 연합주의자들 : 단순 관념과 복합 관념 = 5 Ebbinghaus의 기억실험 = 8 반복 효과 = 9 시간 효과 = 9 근접성의 역할 = 10 연합주의자들과 Ebbinghaus의 영향 = 11 학습에 대한 행동주의와 인지주의 접근 = 12 피험동물의 사용 = 12 외적 사건의 강조 = 14 생리학적 접근 : 뇌와 행동 = 17 뉴런의 기본 특성 = 18 단순 감각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 19 세부특징 탐지기에 대한 생리학적 연구 = 21 학습에 관한 생리학적 연구 = 23 요약 = 28 복습문제 = 30 02 선천적 행동 패턴과 습관화 목표 지향 시스템의 특성 = 32 반사 = 33 향성과 정위 = 35 무방향 운동 = 35 주성 = 36 행동의 순서 = 36 고정행위패턴 = 36 반응연쇄 = 38 선천적인 인간의 능력과 성향 = 39 습관화 = 42 습관화의 일반 원리 = 44 습관화의 생리적 기제 = 46 정서반응의 습관화 : 대립과정이론 = 49 요약 = 55 복습문제 = 56 03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Pavlov의 발견과 영향 = 57 고전적 조건형성의 표준 절차 = 58 다양한 조건반응 = 59 Pavlov의 자극대체이론 = 62 S-S 또는 S-R 연결? = 65 조건형성의 기본 형상 = 66 획득 = 66 소거 = 67 자발적 회복, 탈억제, 빠른 재획득 = 68 조건 억제 = 70 일반화와 변별 = 71 고전적 조건형성에서 시간의 중요성 = 72 CS-US 상관관계 = 75 고순위 조건형성 = 76 실험실 밖의 고전적 조건 형성 = 78 고전적 조건형성과 정서반응 = 78 고전적 조건형성과 면역체계 = 79 행동치료에 적용 = 81 요약 = 87 복습문제 = 88 04 고전적 조건형성의 연구와 이론 연합학습이론들 = 90 차단 효과 = 90 Rescorla-Wagner 모형 = 92 대안 이론들 = 97 요약 = 99 연합의 유형 = 100 일차 조건형성의 연합 = 100 이차 조건형성의 연합 = 100 맥락 자극과의 연합 = 100 CS-CS 연합 = 101 경우 설정 = 101 요약 = 102 고전적 조건형성에서 생물학적 제약 = 103 근접성 원리와 맛 혐오학습 = 103 맛 혐오학습에서의 생물학적 준비성 = 104 인간의 학습에서 맹물학적 준비성 = 106 생물학적 한계와 일반 원리 접근 = 108 조건반응의 형태 = 110 조건반응으로서 약물내성과 약물 갈망 = 110 조건대립이론 = 113 고전적 조건형성의 생리학적 연구 = 114 요약 = 119 복습문제 = 120 05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효과의 법칙 = 122 Thorndike의 실험 = 122 Guthrie와 Horton : 기계적 증강과정에 대한 증거 = 123 미신 행동 = 125 조성 절차 또는 계기적 근사법 = 129 쥐가 레버를 누륵도록 조성하기 = 129 교실에서 행동을 조성하기 = 131 행동 수정 도구로서의 조성 = 131 조성을 더 정확하게 하기 : 백분위 계획 = 132 조성과정의 융통성 = 133 B. F. Skinner의 연구 = 134 자유 조작 = 135 삼항 수반성 = 135 조작적 조건형성의 기본 원리 = 136 복귀 = 137 조건강화 = 138 행동연쇄 = 140 조작적 조건형성의 생물학적 제약 = 142 향본능 표류 = 142 자동 조성 = 144 강화이론과 생물학적 제약의 조화 = 148 요약 = 150 복습문제 = 151 06 강화계획:실험적 분석과 활용 매 순간의 행동에 대한 그래프 그리기 = 154 누가기록기 네 개의 단순 강화계획 = 154 고정비율 = 154 변동비율 = 156 고정간격 = 157 변동간격 = 159 소거와 네 가지 단순 강화계획 = 160 다른 강화계획들 = 161 강화계획에서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잉 = 162 행동 운동량 = 163 수반성-조성 행동 대 규칙-지배 행동 = 164 강화 역사 = 165 요약 = 166 강화계획의 실험적 분석 = 166 FR 강화 후 휴지의 원인 = 167 VR과 VI 반응률 비교 = 168 조작적 조건형성의 적용 = 172 자폐아동에게 언어 가르치기 = 172 토큰 강화 = 174 조직행동 관리 = 177 결혼문제에 대한 행동치료 = 178 결론 = 179 요약 = 181 복습문제 = 182 07 회피와 처벌 회피 = 184 대표적 실험 = 184 이요인이론 = 185 이요인이론을 지지하는 증거 = 186 이요인이론의 문제점 = 187 일요인이론 = 188 인지이론 = 190 회피학습에 있어서 생물학적 제약 = 191 회피이론에 대한 결론 = 193 행동치료로서 홍수 기법 = 193 학습된 무기력 = 194 처벌 = 198 처벌은 강화의 반대인가 = 198 처벌의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99 처벌을 사용할 때의 문제점 = 202 부적 처벌 = 205 행동치료에서 행동 감속기 = 205 정적 처벌 = 205 부적 처벌 : 반응대가 및 타임아웃 = 207 행동 감속을 위한 기타 기법 = 209 요약 = 213 복습문제 = 214 08 조작적 조건형성의 이론과 연구 반응의 역할 = 216 강화물의 역할 = 217 강화는 조직적 조건형성에 필요한가 = 217 강화물에 대한 기대 = 218 강화는 내장 반응을 통제할 수 있는가? = 220 바이오피드백 = 222 무엇이 강화물이 될 것인지 어떻게 예측할 수 있는가 = 225 욕구감소 = 225 추동감소 = 226 초상황성 = 227 Premack의 원리 = 228 반응박탈이론 = 232 행동과 강화물에 대한 기능분석 = 233 행동경제학 = 235 최적화 : 이론과 연구 = 235 수요의 탄력성과 비탄력성 = 238 행동경제학과 약물 남용 = 239 다른 적용 = 241 요약 = 242 복습문제 = 243 09 자극 통제와 개념학습 일반화 기울기 = 246 일반화 기울기를 측정하기 = 246 무엇이 일반화 기울기를 일으키는가 = 246 자극 통제는 절대적인가 관계적인가 = 250 이조와 정점 이동 = 251 Spence의 흥분성 기울기와 억제성 기울기 이론 = 252 중간 크기 문제 = 253 다른 자료, 그리고 어떤 결론 = 254 행동대조 = 254 '무오류' 변별학습 = 257 학습의 전이와 학습 세트 = 260 개념학습 = 261 자연 범주의 구조 = 262 자연개념학습에 관한 동물 연구 = 263 자극 등위성 발달시키기 = 266 행동수정에서 자극 통제 = 268 자극 등위성 훈련 = 268 공부 습관과 건강 습관 = 269 불면증 = 270 요약 = 272 복습문제 = 273 10 비교 인지 기억과 암송 = 276 단기기억 또는 작업기억 = 276 암송 = 281 장기기억, 인출, 그리고 망각 = 285 시간, 숫자, 연속적 패턴 = 287 '내부 시계' 실험 = 287 수 세기 = 290 연속패턴학습 = 292 청킹 = 294 언어와 추리 = 296 동물에게 언어 가르치기 = 296 동물의 추리 = 301 요약 = 305 복습문제 = 306 11 관찰학습 모방이론 = 308 본능으로서 모방 = 308 조작적 반응르로서 모방 = 311 일반화된 조작적 반응으로서 모방 = 312 Bandura의 모방이론 = 312 어느 모방이론이 가장 훌륭한가? = 315 거울뉴런과 모방 = 316 관찰학스보가 조작적 조건형성의 상호작용 = 317 성취동기 = 317 공격성 = 318 대중매체의 효과 = 319 텔레비전의 폭력성과 공격 행동 = 320 비디오게임과 대중음악 = 321 관찰을 통해 무엇이 학습되는가? = 322 공포증 = 322 약물 사용과 중독 = 323 인지 발달 = 324 도덕 기준과 행동 = 325 행동치료에서 모델링 = 326 저확률 행동의 촉진 = 326 새로운 행동의 획득 = 327 공포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의 제거 = 327 비디오 자기모델링 = 330 결론 : 관찰에 의한 정교한 기술의 학습 = 330 요약 = 332 복습문제 = 333 12 운동 기술 학습 운동 기술의 다양성 = 336 운동학습과 수행에 영향을 주는 변수 = 337 강화와 결과지식 = 337 수행지식 = 340 연습의 분산 = 342 운동 기술의 관찰학습 = 343 이전 훈련으로부터 전이 = 344 동작에서 역설적 오류 = 345 운동 기술 학습이론 = 346 Adams의 2단계 이론 = 346 Schmidt의 도식이론 = 350 가장 좋은 연습방법은 무었인가? = 352 연속 동작 학습하기 = 353 행동연쇄 접근 = 354 운동 프로그램 = 354 역동적 패턴 이론 = 358 요약 = 360 복습문제 = 361 13 선택 대응 법칙 = 364 Herrnstein의 실험 = 364 대응에 관한 다른 실험들 = 365 대응에서의 이탈 = 366 강화의 질과 양을 변화시키기 = 368 단일 강화계획에 응용하기 = 369 선택 행동의 이론 = 372 대응이론과 개선이론 = 372 최적화이론 = 374 순간적최대화이론 = 376 선택에 대한 다른 이론들 = 379 자기통제 선택 = 380 자연 할인 = 381 Ainslie-Rachlin 이론 = 382 자기통제에 관한 동물 연구 = 384 아동의 자기통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386 자기통제 향상을 위한 기법 = 387 다른 선택 상황 = 389 위험을 무릅스기 = 389 공유지의 비극 = 391 요약 = 394 복습문제 = 395 용어해설 = 397 참고문헌 = 411 찾아보기 = 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