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55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748030 | |
005 | 20130422101135 | |
007 | ta | |
008 | 130416s2013 ulkak b 001c kor | |
020 | ▼a 9788964543719 ▼g 93350 | |
035 | ▼a (KERIS)BIB000013122481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82 | 0 4 | ▼a 352.609519 ▼2 23 |
085 | ▼a 352.60953 ▼2 DDCK | |
090 | ▼a 352.60953 ▼b 2013 | |
100 | 1 | ▼a 유민봉 ▼0 AUTH(211009)30047 |
245 | 1 0 | ▼a 한국인사행정론 / ▼d 유민봉, ▼e 박성민 지음 |
246 | 1 1 | ▼a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
246 | 1 9 | ▼a 전면개정판 |
260 | ▼a 서울 : ▼b 박영사, ▼c 2013 | |
300 | ▼a xxiii, 669 p. : ▼b 삽화, 서식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651]-664)과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성민, ▼e 저 ▼0 AUTH(211009)82515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52.60953 2013 | 등록번호 11169287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번 전면개정판은 제3판의 내용적 틀을 유지하면서도 최근 주목받는 공공부문 인사관리의 새로운 경향과 내용들을 추가하고 관련 자료들과 실제사례들을 함께 소개함으로써 공공영역의 인사관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이번 개정작업에서는 정부의 인사담당자가 인사개혁정책을 지속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어떠한 점들을 고민해야 하는지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방안과 현실에 맞는 실행 가능한 처방들을 나름대로 담아내고자 하였다.
본 개정판에서는 직무와 개인의 통합과 성과향상이라는 인사행정의 두 가지 주요목표를 이루기 위한 인사행정 체제모형의 내·외부적 환경 요소의 중요성과 기능적 요소의 전략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또한 한국형 인사행정시스템의 일반성과 독창성을 함께 조명하면서 최근의 공직을 둘러싼 환경 변화와 정부의 다양한 개혁적 인사관리제도들을 소개하고 분석함으로써 인사정책의 도입 및 실행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함께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개정판에서는 우리나라 인사행정제도의 실제는 물론, 외국이나 민간의 사례와 시스템들을 포함시킴으로써 한국정부의 인사행정 문화와 제도 등을 비교론적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 것 또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번 한국인사행정론 전면개정판은 제3판의 내용적 틀을 유지하면서도 최근 주목받는 공공부문 인사관리의 새로운 경향과 내용들을 추가하고 관련 자료들과 실제사례들을 함께 소개함으로써 공공영역의 인사관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이번 개정작업에서는 정부의 인사담당자가 인사개혁정책을 지속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어떠한 점들을 고민해야 하는지에 대해 근본적인 해결방안과 현실에 맞는 실행 가능한 처방들을 나름대로 담아내고자 하였다.
본 개정판에서는 직무와 개인의 통합과 성과향상이라는 인사행정의 두 가지 주요목표를 이루기 위한 인사행정 체제모형의 내·외부적 환경 요소의 중요성과 기능적 요소의 전략적인 측면을 강조하였다. 또한 한국형 인사행정시스템의 일반성과 독창성을 함께 조명하면서 최근의 공직을 둘러싼 환경 변화와 정부의 다양한 개혁적 인사관리제도들을 소개하고 분석함으로써 인사정책의 도입 및 실행 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함께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개정판에서는 우리나라 인사행정제도의 실제는 물론, 외국이나 민간의 사례와 시스템들을 포함시킴으로써 한국정부의 인사행정 문화와 제도 등을 비교론적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한 것 또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번 개정판의 주요 개정내용들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편의 ‘인사행정의 전략’ 부분을 새롭게 추가하여 직무, 개인, 그리고 조직의 진정한 통합, 그리고 목표 및 성과 중심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인적자원관리제도로의 근본적 전환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및 인력관리계획의 구체적인 내용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제5편 ‘인적자원의 개발’ 부분에서는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의 이론적 관점에서 공무원 전문역량 확충과 장기적 경력설계를 위한 정부의 교육훈련, 인사이동, 경력개발제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현 제도의 문제점들을 짚어보면서 지식기반사회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공공부문의 인적자원개발정책이 무엇일지도 아울러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셋째, 제6편 ‘인적자원의 유지·활용’ 부분에서는 공무원 동기부여, 다양성관리, 공무원 노동조합 등의 주제들을 새롭게 추가함으로써 정부 인력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제시되고 있는 최신의 접근방법들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정부의 생산성과 행정의 능률성 제고는 물론 공무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들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제7편 ‘인적자원의 평가’ 부분에서는 공무원에 대한 성과 관리적 시각에서 근무성적평정에 대한 일반적 내용을 바탕으로 고위공무원단에게 적용되는 성과계약제와 역량평가제도의 운영과 5급 이하 공무원에게 적용되는 근무성적평가제와 경력평정, 가점평정에 대한 최근의 내용과 사례 등을 추가하고 이러한 다양한 성과 평가 제도들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우리나라 공무원 성과급 제도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책은 학부수업은 물론 대학원수업 교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내용의 난이도와 사례의 폭을 알맞게 조절하여 많은 학생들이 인사행정의 이론과 실제 현상들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특히 개념과 이론의 딱딱함을 덜고 다양한 인사행정관련 실무에 대한 현실감각을 익힐 수 있도록 각 장/편마다 주요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실무예시, 개혁사례, 기사 및 칼럼, 그리고 인사행정 영화사례 등을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개정과정에 참여한 본교 대학원 박사과정의 김선아, 석사과정의 김민영, 이서경, 김민정 학생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한다. 본 연구실 연구원들의 열정적인 참여와 협조가 없었으면 본 개정판의 작업이 진행되기가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 생각한다. 아울러 개정 시기를 인내심을 갖고 기다려 주고 수정 및 출판 작업을 주관해 준 박영사 마케팅팀 강상희 선생님과 편집을 맡은 전채린 선생님께도 감사드린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유민봉(지은이)
대전에서 태어났고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한(1980년) 후 미국 텍사스대에서 정책학석사를 오하이오주립대에서 행정학박사 학위를 받았다(1990년). 행정고시(제23회)를 합격하였고 해병대 중위로 군복무를 마쳤다(1983년). 1991년에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를 시작하였으며 대학의 기획조정처장․국정전문대학원장 및 한국행정학회 한국행정학보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13년 박근혜 정부의 국정기획수석과 청불회(청와대불자회)장을 맡아 일했다. 제20대 국회의원(비례대표, 현 국민의힘)으로 4년간 의정활동을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행정학(2021, 7판), 리콴유의 눈으로 본 세계(2017, 역서), 공공정책과 기업가형 리더십(2008, 제2저자), 나를 찾아가는 자기경영(2003) 등이 있다.
박성민(지은이)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Columbia University 국제행정대학원(SIPA)에서 국제행정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eUniversity of Georgia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네바다 주립대) Greenspun College of Urban Aairs(그린스펀 행정대학원)에서 조교수로 재직하였다. 귀국 후 현재까지 성균관대학교 행정학과/국정전문대학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연구관심 분야는 ‘행정관리 및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개발 및 인재양성정책’, ‘조직행태 및 공공리더십 개발’, ‘정부혁신 및 인사개혁’, ‘청년정책 및 플랫폼 거버넌스’ 등이다. 최근 단독 및 공저 학술저서로는 <한국인사행정론>, <조직과 인간관계>, <인사혁신론: 이론과 실제>, <함께풀어가는 사회문제>, <대한민국 공무원 그들은 누구인가>, <공공인재개발론>, <인문사회과학자를 위한 논문작성 HandBook>, <2020 한국인의 정체성: 지난 15년간 변화의 궤적>, <공공가치 창출을 위한 현대조직론>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제1편 인사행정의 기초 제1장 인사행정의 의의 제1절 인사행정의 이해 = 5 제2절 인사행정의 관점 = 16 제3절 인사행정의 외부환경요소 = 26 개혁 사례 = 41 토론 문제 = 42 제2장 인사행정의 이념과 목표 제1절 인사행정의 이념 = 45 제2절 인사행정의 목표 = 54 개혁 사례 = 59 토론 문제 = 60 영화 사례 = 61 제2편 인사행정의 내부환경요소 제3장 실적주의제와 직업공무원제 제1절 실적주의제의 이해 = 67 제2절 직업공무원제의 이해 = 79 제3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88 개혁 사례 = 98 토론 문제 = 99 제4장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제1절 계급제의 이해 = 103 제2절 직위분류제의 이해 = 109 제3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123 개혁 사례 = 132 토론 문제 = 134 제5장 인사기관 제1절 인사기관의 의의 = 137 제2절 인사기관의 유형 = 143 제3절 우리나라의 중앙인사기관 = 148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152 개혁 사례 = 154 토론 문제 = 155 영화 사례 = 156 제3편 인사행정의 전략 제6장 직무와 개인의 이해 제1절 직무의 이해 = 161 제2절 개인의 이해 = 186+ 개혁 사례 = 198 토론 문제 = 199 제7장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제1절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이해 = 203 제2절 인력관리계획의 이해 = 207 제3절 인력관리계획 모델 = 209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222 개혁 사례 = 226 토론 문제 = 227 영화 사례 = 228 제4편 인적자원의 확보 제8장 모집 제1절 모집의 이해 = 233 제2절 적극적 모집의 이해 = 234 제3절 모집의 주요 쟁점과 한계 = 238 제4절 우리나라의 공무원 모집 = 244 제5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255 개혁 사례 = 258 토론 문제 = 259 제9장 선발 제1절 선발의 이해 = 263 제2절 선발과정의 이해 = 264 제3절 선발시험의 효용성 확보 요건 = 273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286 개혁 사례 = 288 토론 문제 = 289 영화 사례 = 290 제5편 인적자원의 개발 제10장 교육훈련 제1절 교육훈련의 이해 = 295 제2절 역량기반 교육훈련의 이해 = 298 제3절 교육훈련 과정의 이해 = 303 제4절 우리나라 공무원 교육훈련 = 318 제5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323 개혁 사례 = 329 토론 문제 = 331 제11장 인사이동과 경력개발 제1절 승진의 이해 = 335 제2절 배치전환의 이해 = 345 제3절 경력개발의 이해 = 349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359 개혁 사례 = 366 토론 문제 = 367 영화 사례 = 368 제6편 인적자원의 유지ㆍ활용 제12장 공무원 동기부여 제1절 동기의 이해 = 373 제2절 공직동기의 이해 = 376 제3절 동기이론 = 381 제4절 동기부여 영향요인 = 393 제5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401 개혁 사례 = 405 토론 문제 = 407 제13장 다양성 관리 제1절 다양성의 이해 = 411 제2절 다양성 관리의 이해 = 415 제3절 우리나라 공직사회의 다양성 관리 = 427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439 개혁 사례 = 444 토론 문제 = 447 제14장 공무원 의무와 권리 제1절 공무원 의무의 이해 = 451 제2절 공무원 권리의 이해 = 472 제3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497 개혁 사례 = 501 토론 문제 = 502 제15장 공무원 노동조합 제1절 공무원 노동조합의 이해 = 505 제2절 노사관계 관리모형 = 512 제3절 공무원 노동조합의 기능 = 516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523 개혁 사례 = 526 토론 문제 = 527 영화 사례 = 528 제7편 인적자원의 평가 제16장 공무원 성과관리 제1절 근무성적평정에 대한 일반적 이해 = 533 제2절 우리나라 공무원의 성과평가 제도 = 561 제3절 우리나라 공무원 성과급 제도 = 594 제4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598 개혁 사례 = 603 토론 문제 = 606 영화 사례 = 607 제8편 인적자원의 보상 제17장 보수와 연금 제1절 보수의 이해 = 613 제2절 연금의 이해 = 636 제3절 문제점과 발전방향 = 643 개혁 사례 = 647 토론 문제 = 648 영화 사례 = 649 참고문헌 = 651 색인 = 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