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지식정보사회의 도래와 세계 각국의 정보화 동향 = 9
제1장 지식정보사회의 특징과 자료, 정보, 지식의 관계 = 11
1. 지식정보사회의 특징 = 11
2. 지식, 정보, 자료의 구분과 상호관계 = 12
제2장 해외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정보화전략 비교 = 13
1. 서론 = 13
2. 선행연구 = 14
3. 해외 선진국 사례 = 21
4. 우리나라의 정보화성과와 한계 = 32
5. 결론 및 시사점 = 38
제3장 UN의 전자정부 평가와 시사점 = 45
1. 전자정부의 의의와 발전단계 = 45
2.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발전과정 = 47
3. 선행연구와 UN 회원국 평가보고서 비교 = 49
4. UN 평가보고서 주요 내용 분석 = 53
5. 결론 및 시사점 = 60
제2부 정보화의 기반구축 = 65
제4장 정보자원관리 = 67
1. 정보자원관리의 의의 = 67
2. 정보기술관리개혁법(ITMRA)과 정보기술아키텍처(ITA, EA) = 68
3. 정보자원관리의 추진 현황 = 72
4. 정보자원관리 주요 사례 = 81
5. 정보자원관리의 주요 성과 및 향후 과제 = 85
제5장 전자정부법의 주요 내용 = 88
1. 입법배경 = 88
2. 연혁 = 88
3. 주요 내용 = 89
4. 개정 전ㆍ후 변경된 세부항목 및 내용 = 90
제6장 정부CIO 제도 = 93
1. 서론 = 93
2. CIO의 임무와 자격 = 94
3. 해외 주요 선진국 CIO 현황 및 CIO 양성 프로그램 분석 = 97
4. 결론 및 시사점 = 105
제3부 공공부문에서 정보통신기술활용의 확산 = 113
제7장 지식관리와 조직운영의 효율화 = 115
1. 지식의 의의 = 115
2. 지식관리의 등장과 지식경영, 지식행정의 구분 = 115
3. 지식관리시스템 = 116
4. 전자정부에서 지식관리의 중요성 = 117
제8장 스마트워크 도입과 근무형태의 변화 = 120
1. 서론 = 120
2. 유비쿼터스 IT의 확산 = 121
3. 원격근무 발전추세 = 124
4. 결론 및 시사점 = 125
제9장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과 재정관리 효율화 = 130
1.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개념 = 130
2.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구축과정 = 131
3.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의 효과 = 132
제10장 빅데이터의 활용과 정책결정과정의 변화 = 134
1. 빅데이터의 의의 = 134
2. 해외 동향 = 135
3. 국내 동향 = 135
제11장 CRM과 민원서비스 고도화 = 138
1. CRM의 등장 배경 = 138
2. CRM의 개념과 전자정부서비스의 변화 = 139
3. 우리나라 전자민원서비스의 발전 = 141
4. 지방화시대에 있어 CRM형 전자정부서비스의 의의 = 142
제12장 한국과 OECD가입 국가간 민원서비스 처리 비교 = 146
1. 서론 = 146
2. 선행연구 및 조사설계 = 147
3. 국가간 민원서비스 처리속도 비교 및 시사점 = 150
4. 결론 및 시사점 = 157
제13장 바람직한 u-City 사업의 추진전략 탐색 = 162
1. 서론 = 162
2. 선행연구 = 162
3. 해외 선진국의 u-City 사업 추진현황 및 시사점 = 165
4. 우리나라 u-City 사업 추진현황 및 문제점 = 170
5. 결론 및 시사점 = 176
제4부 전자민주주의 발전 = 181
제14장 정보화와 전자민주주의 = 183
1. 정보화로 인한 정치과정의 변화 = 183
2. e-거버넌스와 전자민주주의 = 183
3. 전자민주주의와 정부개혁의 방향 = 184
제15장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시민참여 확대 = 185
1. 서론 = 185
2. 시민참여 개념 및 참여기회의 확대 = 185
3. OECD가입 국가의 온라인시민참여 활성화사례 분석 = 188
4. 우리나라의 온라인시민참여 활성화 사례 = 191
5. 결론 및 시사점 = 192
제16장 전자투표의 효과적 시행전략 모색 = 197
1. 서론 = 197
2. 전자투표 논의 확대 배경 및 주요 방식 = 199
3. 전자투표 도입에 관한 해외 주요 사례 분석 = 203
4. 결론 및 시사점 = 210
제5부 정보화역기능 해소와 지역균형발전 촉진 = 215
제17장 정보화역기능해소를 위한 노력 = 217
1. 정보화역기능 확산 = 217
2. 건전 정보문화 확산과 정보윤리교육의 강화 = 218
제18장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노력 = 220
1. 정보격차의 정의 = 220
2.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노력 = 220
3. 정보화마을 = 221
4. 웹접근성 강화 노력 = 223
제19장 정보공동활용과 프라이버시의 조화 = 225
1. 서론 = 225
2. 현재의 관행 및 변화의 원동력 = 225
3. 목표와 원칙 = 227
4. 공공의 신뢰와 대화의 확립 = 228
5.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개선 = 230
6. 보다 안전하고 고도로 연계된 데이터의 활용 = 231
7. 정보관리와 프라이버시 = 232
8. 법적 프레임워크의 재정립 = 233
9.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새로운 제안 = 233
10. 결론 및 시사점 = 234
제20장 인터넷 과다사용의 영향요인과 중요도 평가 = 235
1. 서론 = 235
2. 선행연구 = 236
3. 인터넷과다사용의 영향요인 도출 = 242
4. AHP 분석에 의한 인터넷과다사용 영향요인별 중요도 평가 = 259
5. 결론 및 시사점 = 262
제21장 지역균형발전과 지역정보화 조직 = 272
1. 서론 = 272
2. 지역정보화 추진 경과 = 273
3. 중앙정부의 지역정보화 조직 = 275
4.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정보화 조직 = 278
5. 결론 및 시사점 = 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