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48024 | |
005 | 20160315143859 | |
007 | ta | |
008 | 130416s2013 ulkacd 001c kor | |
020 | ▼a 9788992803526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3099958 | |
040 | ▼a 211044 ▼c 211044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0 | ▼a 320 ▼2 23 |
085 | ▼a 320 ▼2 DDCK | |
090 | ▼a 320 ▼b 2013z1 | |
100 | 1 | ▼a Shively, W. Phillips, ▼d 1942- ▼0 AUTH(211009)133616 |
245 | 1 0 | ▼a 정치학 개론 : ▼b 권력과 선택 / ▼d 필립스 쉬블리 지음 ; ▼e 김계동 [외]옮김 |
246 | 1 9 | ▼a Power & choice : ▼b an introduction to political science ▼g (13th ed.) |
246 | 3 9 | ▼a Power and choice |
260 | ▼a 서울 : ▼b 명인문화사, ▼c 2013 ▼g (2014 3쇄) | |
300 | ▼a xvi, 480 p. : ▼b 삽화, 도표, 초상화 ; ▼c 25 cm | |
500 | ▼a 옮긴이: 김욱, 민병오, 윤진표, 최동주 | |
500 | ▼a 부록: 정치분석의 원칙 | |
500 | ▼a 색인수록 | |
650 | 0 | ▼a Political science ▼v Textbooks |
700 | 1 | ▼a 김계동, ▼e 역 ▼0 AUTH(211009)126594 |
700 | 1 | ▼a 김욱, ▼e 역 ▼0 AUTH(211009)11717 |
700 | 1 | ▼a 민병오, ▼e 역 ▼0 AUTH(211009)15924 |
700 | 1 | ▼a 윤진표, ▼e 역 ▼0 AUTH(211009)76089 |
700 | 1 | ▼a 최동주, ▼e 역 ▼0 AUTH(211009)133120 |
900 | 1 0 | ▼a 쉬블리, 필립스,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0 2013z1 | 등록번호 11169287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0 2013z1 | 등록번호 1117529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미국에서 1987년에 제1판이 출판되어 현재 제13판이 나왔을 정도로 거의 2년에 한 번씩 내용을 새롭게 보완하고, 현실에 적절하게 대응하면서 개정되었다. 특히 이번에 번역된 제13판은 국내 어느 정치학개론서보다도 최근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세계 어느 정치학개론 서적보다 변화하는 세계정치와 정치제도를 가장 앞선 시각에서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총 5개의 부와 18개의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쓰였다. 제11판까지의 변화 모습을 보면 문체가 보다 유연해져서 딱딱한 정치이론들을 부드럽게 표현하고 있으며, 표, 도표, 지도, 사진, 삽화 등을 풍부하게 넣어서 독자들이 글만 읽음으로서 지루해지는 것을 탈피할 수 있게 하였다. 각 장의 끝 부분에 그 장의 내용에 적합한 사례를 찾아서 각 사례 당 두 세 페이지를 할당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 부록에서는 정치분석에 관한 논리적 개념이 부연설명이 되어 있어서 정치학에 입문한 학생들에게 더 없이 중요한 서적이 될 것이다.
『정치학개론: 권력과 선택, 13판』은 2008년에 출간된 『정치학개론: 권력과 선택』의 개정판으로 미국 McGraw-Hill Education에서 2012년에 출간된 Power and Choice, 13th ed.의 번역서이다. 이 책은 미국에서 1987년에 제1판이 출판되어 현재 제13판이 나왔을 정도로 거의 2년에 한 번씩 내용을 새롭게 보완하고, 현실에 적절하게 대응하면서 개정되었다. 특히 이번에 번역된 제13판은 국내 어느 정치학개론서보다도 최근의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세계 어느 정치학개론 서적보다 변화하는 세계정치와 정치제도를 가장 앞선 시각에서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총 5개의 부와 18개의 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쉽게 쓰였다. 제11판까지의 변화 모습을 보면 문체가 보다 유연해져서 딱딱한 정치이론들을 부드럽게 표현하고 있으며, 표, 도표, 지도, 사진, 삽화 등을 풍부하게 넣어서 독자들이 글만 읽음으로서 지루해지는 것을 탈피할 수 있게 하였다. 각 장의 끝 부분에 그 장의 내용에 적합한 사례를 찾아서 각 사례 당 두 세 페이지를 할당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특히 마지막 부록에서는 정치분석에 관한 논리적 개념이 부연설명이 되어 있어서 정치학에 입문한 학생들에게 더 없이 중요한 서적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론서는 각 분야를 개괄적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각 장의 연결점이 없고, 따라서 읽기에 지루하고 흥미롭지도 않다. 이 책은 이러한 개론서의 한계를 뛰어 넘어 ‘권력과 선택’이라는 기본 주제를 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각 분야를 연결시켜 주고 있다. 각 장의 주제들을 권력과 선택의 관점에서 어떻게 볼 수 있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책 전체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는데 매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출판된 정치학개론 서적들을 보면 출판된 국가의 정치현상을 정도에 지나치게 많이 다루는 편협성을 벗어나지 못하는데, 이 책은 전 세계국가들의 정치이념, 정치제도 및 정책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정치학 개론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일부 사람들은 적절한 교재가 없다고 가끔 이야기 한다. 가장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서적이나 그 만큼 시간과 열정이 많이 투여되는 것이 정치학 개론서이다. 이 책은 그들의 요구에 꼭 알맞은 서적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정치학에 입문한 학생들과 그들을 지도하는 선생님 뿐만 아니라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알맞은 서적일 것이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역사서문 = XIII 저자서문 = XV PART 1 정치의 이해 = 1 제1장 정치: 무대의 설정 = 3 정치 = 4 공동결정수립으로서의 정치 = 5 권력 행사로서의 정치 = 6 권력과 선택 = 12 국가의 정치 = 19 정치학 = 21 정치의 즐거움 = 23 제2장 근대 이데올로기와 정치철학 = 27 미국의 이데올로기 = 29 자유주의 = 33 보수주의의 대응 = 36 사회주의적 대안 = 40 공산주의와 사회주의 = 43 파시즘 = 43 21세기의 이데올로기들 = 45 종교, 정치 그리고 정치철학 = 47 다른 역사적 시기의 정치철학 = 50 PART 2 국가와 공공정책 = 55 제3장 근대국가 = 57 근대국가의 발전 = 59 국가의 기원: 권력 또는 선택? = 61 공공재 제공 수단으로서의 국가 = 63 '국가', '민족' 그리고 '민족국가' = 65 국가건설 = 71 정부와 국가 = 72 국가에 대한 도전 = 74 사례 _ 나이지리아의 국가건설 = 76 사례 _ 유럽연합(EU)의 국가건설 = 79 제4장 국가의 정책 = 85 제3세계의 정부 역할 = 87 정책의 제약요인 및 조건 = 89 국방정책 = 93 교육 = 95 연구 및 개발 = 96 보건과 사회복지 = 98 정책 분석에서 권력의 위치 = 100 사례 _ 인구학적 도전 = 100 사례 _ '인간개발'과 비교한 경제발전 = 102 제5장 국가의 경제정책 = 105 경제성과 Ⅰ: 성장 = 106 경제적 성과 Ⅱ: 인플레이션과 실업 통제 = 112 실업 = 114 분배와 경제적 불평등 = 117 독립된 중앙은행들 = 120 부패 = 123 정부의 가용한 여타 조치들 = 127 세계화: 국가는 경제정책 결정능력을 상실하고 있는가? = 127 정치경제학 = 129 사례 _ 독일의 경제정책 = 131 사례 _ 인도네시아의 경제정책 = 134 제6장 정책의 기반: 공정성과 효율성 = 139 공정성의 문제 = 139 공정성의 다른 측면: 절차적 공정성 = 142 효율성 = 146 효율성에 관한 기본적 질문: 권위 대 시장 = 148 권력과 선택 = 154 불확실한 상황에서조차 행동해야 할 필요성 = 154 사례 _ 정치적 선택 = 155 PART 3 시민과 정치체제 = 159 제7장 민주주의와 권위주의 체제 = 161 민주주의 = 161 민주주의 정치체제의 성립과 붕괴 = 163 가능한 설명 = 165 제3의 물결로부터 우리는 무엇을 배웠나? = 167 경제적 번영을 누리는 나라가 민주주의 국가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170 민주주의와 자유 = 172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 174 권위주의체제 = 174 군사정부 = 176 군사정부가 많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 179 일당제 국가 = 180 군주제와 신정체제 = 182 민주주의 대 권위주의체제: 물질적 고려 = 183 다시 한번 '권력과 선택' = 185 사례 _ 스페인의 민주화 = 185 사례 _ 베네수엘라의 권위주의 체제로의 회귀? = 187 사례 _ 이란의 신정체제 = 189 제8장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 193 정치문화 분석 = 195 정치문화의 적용: 로버트 케이건의『낙원과 권력』 = 198 종교와 정치문화 = 199 정치사회화 = 201 정치문화와 '민주적 시민' = 203 이러한 필요성들은 얼마나 잘 충족될 수 있는가? = 205 사회자본 = 209 사례 _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서독에서의 권위와 정당성 구축하기 = 211 사례 _ 미국의 쇠퇴하는 민주적 정통성 = 213 PART 4 정부와 정치제도 = 217 제9장 헌법과 정부의 설계 = 219 형식의 다양성 = 220 모호성의 장점 = 221 헌법 설계의 다른 원칙들 = 222 헌법제정 = 226 권력의 지리적 집중 = 227 '단일' 국가와 '중앙집권적' 국가의 차이 = 230 어느 정도의 중앙집권화가 바람직한가? = 232 헌법들과 권리의 보장 = 233 '헌정주의'와 법의 지배 = 233 사례 _ 영국의 입헌정부 = 235 사례 _ 남아프리카의 헌법제정 = 237 제10장 선거 = 241 지지강화 수단으로서의 선거 = 242 지도자와 정책 선택 수단으로서의 선거 = 245 선거제도 = 246 국민투표 = 252 투표 참여 = 253 선택과 정보가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 = 257 투표의 역설 = 258 개인의 투표 선택의 기반 = 260 사례 _ 이스라엘의 비례대표 선거 = 263 사례 _ 나이지리아에서의 선거 = 265 제11장 정당: 정치의 연결 및 지도 메커니즘 = 269 정당 = 269 현대 정당의 기원 = 270 정당과 대중 동원 = 271 정당과 지도자의 충원과 사회화 = 273 정치적 정체성의 원천으로서의 정당 = 274 통제 수단으로서의 정당 = 277 정당조직 = 278 당 재정 = 280 정당체계 = 281 권력과 선택 = 287 사례 _ 중국의 공산당 = 287 사례 _ 캐나다의 정당 = 289 제12장 구조화된 갈등: 이익집단과 정치 = 295 이익집단과 대표 = 297 이익집단의 유형 = 304 이익집단의 전술 = 306 전술의 선택 = 313 이익집단 활동의 유형 = 314 다원주의 = 315 신조합주의 = 316 다원주의와 신조합주의: 권력과 선택 = 318 사례 _ 프랑스의 이익집단 = 319 사례 _ 방글라데시의 약화된 이익집단 = 321 제13장 사회운동과 투쟁적 정치 = 325 왜 지금인가? = 327 공공재 문제로서의 사회운동 = 329 비공식적 조직의 이점(그리고 단점) = 330 사례 _ 시애틀 전투 = 334 사례 _ 우크라이나의 '오렌지 혁명' = 336 제14장 국가 정책결정 제도: 의원내각제 = 339 국가 원수 = 341 정부의 수장 = 342 내각 통제 = 343 의회는 무엇을 하는가? = 344 의회의 위원회 = 347 상원 = 349 의원내각제의 장점과 단점 = 349 의원내각제의 다양한 형태 = 351 '협의' 의회주의 = 351 권위주의 체제 하에서의 의회 = 353 사례 _ 인도의 의원내각제 = 355 사례 _ 독일의 의원내각제 = 358 제15장 국가 정책결정 제도: 대통령중심제 = 363 정당과 대통령중심제 정부 = 364 대통령의 리더십 = 366 대통령중심제와 의원내각제의 비교 = 367 정책에 대한 책임 = 367 대통령중심제와 포괄적 정책 = 368 행정부 지도층의 충원 = 369 행정부에 대한 감사와 통제 = 371 정치과정의 유연성 = 371 의원내각제에서 행정부의 분립 = 371 왜 모든 민주주의 국가들은 의원내각제가 아닌가? = 373 민주주의와 책임성의 문제 = 374 제도와 권력에 대한 유의사항 = 379 사례 _ 프랑스의 혼합 대통령제 = 380 사례 _ 멕시코의 대통령제 정부 = 383 제16장 관료제와 공공부문 = 387 정치적 문제로서의 행정 = 388 좋은 행정의 특성들 = 390 '관료제': 19세기의 개혁 = 391 관료제 대 융통성 = 392 무능력자의 보호 문제 = 393 관료제의 조정 = 393 행정의 사회적 대표성 = 395 사례 _ 프랑스 관료제 = 397 사례 _ 유럽과 아프리카의 관료 문화 = 399 제17장 법과 법원 = 403 앵글로색슨 전통의 판례법 체계 = 404 유럽 대륙의 성문법 체계 = 405 판례법과 성문법의 혼합 = 407 종교법: 샤리아 = 409 법원 = 411 사례 _ 중국의 법 = 416 사례 _ 유럽사법재판소 = 418 PART 5 국제정치 = 421 제18장 세계정치: 국가 그리고 다른 행위자들 간의 정치 = 423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체제의 진화 = 423 냉전 이후의 세계 = 425 국제정치 = 432 중심적 권위의 부재 = 432 수탁자로서의 정치적 역할과 국제 도덕 = 434 국제적 의사소통의 장애물들 = 435 권력과 국제정치 = 436 국제정치의 과정 = 439 국제정치에서 권력과 선택 = 445 사례 _ 국제적 실패: 르완다 = 446 사례 _ 유엔 = 449 저자 후기 = 451 부록 : 정치분석의 원칙 = 453 용어해설 = 461 찾아보기 = 471 저자 및 번역자 소개 = 4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