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97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48016 | |
005 | 20130418150240 | |
007 | ta | |
008 | 130416s2013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84775350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3121342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495.77 ▼2 23 |
085 | ▼a 497.703 ▼2 DDCK | |
090 | ▼a 497.703 ▼b 2013 ▼c 3 | |
100 | 1 | ▼a 나찬연 ▼0 AUTH(211009)40103 |
245 | 1 0 | ▼a 근대 국어 문법의 이해. ▼p 강독편 / ▼d 나찬연 |
260 | ▼a 서울 : ▼b 월인, ▼c 2013 | |
300 | ▼a 452 p.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445]-452 | |
536 | ▼a 이 책은 2012학년도 '경성대학교 학술 연구비'의 지원으로 발간되었음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703 2013 3 | 등록번호 111692886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0-12-16 | 예약 예약가능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나찬연(지은이)
1960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나오고(1986),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석사(1993)와 문학 박사(1997) 학위를 받았다. 지금은 경성대학교 국어국문학과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국어학 분야의 강의를 맡고 있다. [주요 논저] 우리말 잉여 표현 연구(2004), 옛글 읽기(2011), 벼리 한국어 회화 초급 1, 2(2011), 벼리 한국어 읽기 초급 1, 2(2011), 제2판 언어・국어・문화(2013), 제2판 훈민정음의 이해(2013), 근대 국어 문법의 이해-강독편(2013), 표준 발음법의 이해(2013), 제5판 현대 국어 문법의 이해(2017), 쉽게 읽는 월인석보 서, 1, 2, 4, 7, 8, 9, 10, 11, 12(2017~2022), 쉽게 읽는 석보상절 3, 6, 9, 11, 13, 19(2017~2019), 제2판 학교 문법의 이해 1, 2(2018), 한국 시사 읽기(2019), 한국 문화 읽기(2019), 국어 어문 규정의 이해(2019), 현대 국어 의미론의 이해(2019), 국어 교사를 위한 ≪고등학교 문법≫(2020), 중세 국어의 이해(2020), 중세 국어 강독(2020), 근대 국어 강독(2020), 길라잡이 현대 국어 문법(2021), 길라잡이 국어 어문 규정(2021), 중세 국어 서답형 문제집(2022)

목차
목차 제1부 17세기의 옛글 = 11 1. 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 13 효자(孝子) = 15 충신(忠臣) = 23 열녀(烈女) = 29 2. 산셩일긔(山城日記) = 39 3.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 73 4. 첩해신어(捷解新語) = 89 5.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 117 6. 숑강가사(松江歌辭) = 139 관동별곡(關東別曲) = 141 사미인곡(思美人曲) = 166 쇽미인곡(續美人曲) = 176 쟝진쥬사(將進酒詞) = 183 제2부 18세기의 옛글 = 185 1.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 = 187 형제도(兄弟圖) = 189 종족도(宗族圖) = 193 붕우도(朋友圖) = 197 사생도(師生圖) = 203 2. 어제 경민음(御製警民音) = 207 3. 동명일긔(東溟日記) = 227 4. 한듕만록(閑中漫錄) = 253 5. 오륜행실도(五倫行實圖) = 289 효자(孝子) = 291 충신(忠臣) = 297 열녀(烈女) = 303 형제(兄弟) = 308 붕우(朋友) = 314 제3부 19세기의 옛글 = 321 1. 규합?서(閨閤叢書) = 423 서(序) = 425 규합총서 권지일(쥬사의, 酒食議) = 336 녜긔 팔진 텬자 먹던 것 = 338 후셰 팔진 = 344 듕원 사시 명졀쇼식지명 = 345 사태우 식시오관 = 346 2. 태상감응편도설언해(太上感應篇圖說諺解) = 355 감응편 인(感應篇 仁) = 357 지효지보(至孝之報) = 357 불음지보(不淫之報) = 360 호의지보(好義之報) = 366 재상선보(宰相善報) = 376 재상악보(宰相惡報) = 381 3. 사민필지(士民必知) = 387 (서문) = 389 해와 여덟 별의 그림 = 393 싸덩이 = 394 地球 總論 = 410 人種 總論 = 414 4. 독닙신문(獨立新聞) = 419 광고 = 422 논셜 = 424 외국통신 = 432 ?보 = 435 ?보 연속 = 439 주지회샤 = 441 안창회샤 = 441 사민 필지 = 442 한영자뎐 한영문법 = 442 가메야회샤 = 443 제물포 륜션 출발표 = 444 물가 = 444 우체시간표 = 445 [참고 문헌] =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