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마음의 서재 : 나만의 도서관을 향한 인문학 프로젝트 (Loan 1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여울
Title Statement
마음의 서재 : 나만의 도서관을 향한 인문학 프로젝트 / 정여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천년의상상,   2013  
Physical Medium
277 p. : 천연색삽화 ; 21 cm
ISBN
9788996870647
비통제주제어
책읽기 , 독서 , 도서목록 , 인문학독서 ,,
000 00656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747242
005 20130419154351
007 ta
008 130221s2013 ulka 000c kor
020 ▼a 9788996870647 ▼g 03100
035 ▼a (KERIS)BIB000013086082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82 0 4 ▼a 028.1 ▼2 23
085 ▼a 028.1 ▼2 DDCK
090 ▼a 028.1 ▼b 2013z8
100 1 ▼a 정여울 ▼0 AUTH(211009)124981
245 1 0 ▼a 마음의 서재 : ▼b 나만의 도서관을 향한 인문학 프로젝트 / ▼d 정여울 지음
260 ▼a 서울 : ▼b 천년의상상, ▼c 2013
300 ▼a 277 p. : ▼b 천연색삽화 ; ▼c 21 cm
653 ▼a 책읽기 ▼a 독서 ▼a 도서목록 ▼a 인문학독서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13z8 Accession No. 1116926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13z8 Accession No. 1310458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13z8 Accession No. 11169264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28.1 2013z8 Accession No. 13104587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나만의 도서관을 향한 인문학 프로젝트. 저자 정여울은 문학평론가다. 당장 '세계문학 필독서'라도 권해올 듯하지만, 오히려 '목록'에 기죽지 말라는 메시지부터 던진다. 남이 작성한 목록에만 의존하다가는 '타인의 목록'을 서재에 구비하게 될 뿐, 자신이 평생을 함께 할 내 '마음의 목록'은 절대 꾸릴 수 없다는 것이다. 중요한 건 '좋은 책' 자체가 아니라 그런 책을 읽고 싶다는 마음과 책을 고르는 과정에 있다는 말은 작지만 큰 울림을 전해온다.

이 책에서 저자는 식상한 추천도서 목록을 들이밀지 않는다. 때로는 편지처럼, 때로는 속삭임처럼 책을 화두로 하는 이야기를 풀어놓을 뿐이다. 그렇게 남들이 추천하는 책을 읽은 감상문이 아닌 현재를 살아가면서 느끼고 생각한 바를, 자기 마음에 새겨진 책을 통해 풀어낸다.

“얼마 전 문득 깨달았다.
내겐 ‘앞으로 읽어야 할 수많은 책들의 목록’ 때문에
‘이미 읽은 책들이 놓일 마음의 자리’가 없다는 것을.
나는 잠시 새로운 책에 대한 조바심을 내려놓고
오직 내가 읽은 책들로만 이루어진
작고 아름다운 마음의 도서관을 가꾸기로 했다.
중요한 것은 ‘읽어 가지는 것’이 아니라 ‘퍼뜨려 나누는 것’이니까.”

내가 사랑하는 책, 그리고 나를 사랑하는 책
나만의 서재에서 인문학이 움트다

1. “추천도서에 휘둘릴 이유는 없다”
― 이 책이 말하다


조금만 주위를 둘러보면 알 수 있는 사실 한 가지. 우리는 지나치게 많은 ‘추천도서’와 ‘필독서’ 목록에 둘러싸여 있다. 여전히 해마다 특정 시기가 되면, 언론이나 명문대학은 각종 목록을 작성하고 소개한다. 아마 많은 이들이 그 목록을 들고 내가 읽은 책이 몇 권이나 있나 헤아려본 경험이 있을 터이다. 추천도서나 필독서를 거의 다 읽었다고 해서, 혹은 읽은 책이 한 권도 없다고 해서 인성이나 지식의 깊이가 결정되는 것이 아닌데도 말이다.
그런데도 추천한 기관이나 인물의 지명도에 따라 해당 도서가 베스트셀러 목록에 오르내리는 일을 흔하게 볼 수 있다. 남들이 좋다는 책, 남들도 다 읽었다는 책은 왠지 사야 할 것 같다는 마음 때문일 것이다. 게다가 이른바 ‘좋은 책’을 거실 서재에 죄다 구비만 해놓으면 교양 있어 보이고, 품격 높아 보일 거라는 착각도 작용할 것이다.
저자 정여울은 문학평론가다. 당장 ‘세계문학 필독서’라도 권해올 듯하지만, 오히려 ‘목록’에 기죽지 말라는 메시지부터 던진다. 남이 작성한 목록에만 의존하다가는 ‘타인의 목록’을 서재에 구비하게 될 뿐, 자신이 평생을 함께 할 내 ‘마음의 목록’은 절대 꾸릴 수 없다는 것이다. 중요한 건 ‘좋은 책’ 자체가 아니라 그런 책을 읽고 싶다는 마음과 책을 고르는 과정에 있다는 말은 작지만 큰 울림을 전해온다.
《마음의 서재》에서 저자는 식상한 추천도서 목록을 들이밀지 않는다. 때로는 편지처럼, 때로는 속삭임처럼 책을 화두로 하는 이야기를 풀어놓을 뿐이다. 그렇게 남들이 추천하는 책을 읽은 감상문이 아닌 현재를 살아가면서 느끼고 생각한 바를, 자기 마음에 새겨진 책을 통해 풀어낸다. 이처럼 마음에 새겨진 책이 쌓여서 시나브로 책꽂이 하나를 꽉 채운다면, 그것이야말로 ‘타인에 의한 서재’가 아닌, 오직 나를 위한 내 ‘마음의 서재’가 될 것이다.

연인의 프러포즈 반지를 고르는 마음으로 책을 고른다면, 책을 고르는 과정 자체가 어엿한 ‘셀프’ 인문학 강좌다. 명문대학 필독서 목록에도, 유명인사의 서재 컬렉션에도 기죽을 필요 없다. 하버드대학교 추천도서 목록 등을 주섬주섬 뒤지다가 번뜩 깨달았다. 이렇게 평생 ‘타인의 목록’만 넘보다가는, 결코 나만의 ‘마음속 서재’를 만들 수 없겠구나. 이제 나는 광고나 목차를 보며 책을 상상하지 않는다. 무조건 부딪힌다. 낯선 책을 쓰다듬고 매만지며, 은밀하고 에로틱한 독서의 페티시즘을 즐긴다.

- <서문: 어떤 책을 읽어야 인생이 바뀔까> 중에서

2. 내밀한 ‘셀프 인문학 아카데미’를 엿보다
― 이 책에서 듣다


이제는 식상해질 정도로, ‘인문학 붐’, ‘인문학 부흥’이라는 이야기가 많아졌다. 실제로 서점에는 어느 때보다 ‘문사철’ 책이 풍부하고, 경제나 과학 분야에서도 인문학이 화두로 등장한다. 그 덕에 인문학의 이름을 단 강좌 또한 무척 늘었다. 누군가는 ‘교양’을 위해, 누군가는 삶의 진리나 정답을 고민해보기 위해 강의실을 찾지만, 과연 주입되다시피 하는 각종 ‘지식’이 수강생에게 얼마나 큰 깊이를 더해줄는지는 알 수 없다. 결국 근원부터가 실용과는 거리가 먼 ‘인문학’이 대체 무엇 때문에 필요하냐고 묻게 될지도 모른다.
저자는 《마음의 서재》에서 ‘무엇’이 아니라 ‘왜’를 절감한 그 순간, 이미 자기 안에 ‘셀프 아카데미’가 활짝 문 연 셈이라고 말한다. 무엇을 배우고, 무엇을 외우고, 무엇을 내 것으로 만들지 찾으려는 것은 인문학이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왜 배우고 싶고, 왜 기억하고 싶으며, 왜 체화하고 싶은지 의문을 품는 순간이 인문학의 시작이자 끝이다. 그리고 그 ‘왜’에 대한 자신만의 답을 구하는 과정에는 자기보다 먼저 그와 비슷한 ‘왜’를 고민한 사람들이 남긴 유산, 책이 있다.
《마음의 서재》에서 우리가 표면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수많은 책에 대한 기록이다. 그런데 저자는 수십 권의 책을 소재로 이야기를 펼쳐낼지언정 한 번도 ‘이 책에 대한 해석과 평가는 내가 말하는 게 정답이다’라고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때로는 시시콜콜하다고 여겨질 만큼 내밀한 50가지 이야기를 꺼내놓는다. 이 책은 ‘인문학 강좌’가 아니라 ‘저자 정여울의 셀프 아카데미’에 대한 기록이자 편지이자 일기장이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같은 책을 두고 나와는 판이하게 다른 생각해온 궤적을 엿보는 것만으로도 생각이 한 단계 더 새롭게 트이는 느낌을 받는다. 혹은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이 또 있다는 마음에 공감과 위로를 얻기도 한다. 이 책이 ‘나만의 도서관을 향한 인문학 프로젝트’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만약 인문학이라는 공부에 목표가 있다면, ‘남을 나처럼, 나를 남처럼 생각하는 능력과 태도’를 갖추는 것일 테니까 말이다.

교양은 학교나 사교계 같은 집단의 요구가 아닌 자기 내부의 열망으로부터 시작되는 마음속의 셀프 아카데미를 필요로 한다. ‘무엇을 암기할 것인가’가 아니라 그 방면의 지식이 ‘왜 필요한가’를 깨닫는 순간이 우리 안의 셀프 아카데미가 활짝 문을 여는 순간이다.
- 10장 <마음속 셀프 아카데미를 열어라> 중에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정여울(지은이)

지상의 모든 곳에서 신이 깜빡 흘리고 간 아름다운 문장을 용케 발견하고 싶은 사람. 산 자와 죽은 자를 잇는 바리데기처럼, 인간과 신을 잇는 오디세우스처럼, 집이 없는 존재와 집이 있는 존재를 잇는 빨간머리 앤처럼 문학과 독자의 ‘사이’를 잇고 싶은 사람. 그렇게 사이에 존재함으로써 ‘이해하고, 공감하고, 소통하는 의지’를 날마다 배우는 사람.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KBS 제1라디오 〈강유정의 영화관, 정여울의 도서관〉, 네이버 오디오클립 〈월간 정여울〉,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살롱 드 뮤즈〉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문학이 필요한 시간》 《나의 어린 왕자》 《가장 좋은 것을 너에게 줄게》 《비로소 내 마음의 적정 온도를 찾다》 《끝까지 쓰는 용기》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심리 수업 365》 《마지막 왈츠》 《블루밍》 《내성적인 여행자》 《상처조차 아름다운 당신에게》 《나를 돌보지 않는 나에게》 《그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빈센트 나의 빈센트》 《마흔에 관하여》 《늘 괜찮다 말하는 당신에게》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내 서재에 꽂은 작은 안테나》 등이 있다. 산문집 《마음의 서재》로 제3회 전숙희문학상을 수상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무슨 책을 읽어야 인생이 바뀔까 = 9
프롤로그 : 번쩍, 하는 인문학적 순간 = 13
1부 사랑을 깨닫다 
 1 누군가를 처음 사랑한다는 것 = 27
 2 매력이 사랑의 보증수표는 아니다 = 32
 3 화이트데이, 빼빼로데이? '에로스데이'는 어때 = 36
 4 '이방인'을 향한 사랑의 메신저, 빨강머리 앤 = 41
 5 불가능한 사랑을 꿈꿀 자유 = 45
 6 사랑은 서바이벌 게임이 아니다 = 49
 7 우리 사회의 수많은 안티고네들 = 53
2부 삶으로 내딛다 
 8 '피터팬'을 버려야 하는 사회 = 61
 9 '어쩔 수 없는 악역' 뒤에 도사린 덧 = 66
 10 마음속 셀프 아카데미를 열어라 = 70
 11 '존재감'보다 '존재'를 위한 에티켓 = 75
 12 '지못미' 대신에 지금 이 순간 애정을 = 79
 13 친구 같은 스승, 연인 같은 멘토 = 83
 14 세대교체 아닌 세대교감으로 = 87
 15 만인을 위한 책임, 만인을 향한 존엄 = 92
3부 현재와 마주서다 
 16 현대인들의 '말할 수 없는 비밀' 깨우라 = 99
 17 당신의 '우리'는 누구까지입니까 = 103
 18 우리는 무엇을 '괴물'이라 부르는가 = 107
 19 CCTV의 천국에서, 감시의 사각지대를 찾다 = 112
 20 사랑이란 탈을 쓴 증오의 잔인함 = 117
 21 알레고리, 다르지만 같은 것을 꿈꾸는 힘 = 121
 22 결점조차 아름다운 사람들의 매혹 = 126
4부 아픔을 말하다 
 23 '내 존재의 증명'을 강요당할 때 = 133
 24 '특별한 그'에게도 이런 평범함이 있었다니 = 139
 25 '세상의 상처' 알리는 메신저가 된다면 = 143
 26 국민의 분노가 두렵지 않은가 = 148
 27 정의는 팀플레이로 완성된다 = 152
 28 지름신은 콤플렉스 환자에게 해열제만 주신다 = 156
 29 언어 아닌 사유로 자유로워지자 = 161
5부 세상을 울리다 
 30 공의존, 사랑의 가면을 쓴 억압 = 167
 31 '정보'로 축약될 수 없는, '이야기'의 힘 = 171
 32 '자신만의 삶'을 쟁취하라, 인어공주처럼 = 176
 33 관계에도 '비무장지대'는 필요하다 = 180
 34 진화와 진보 구별 못 하는 사람들 = 185
 35 '왜냐고 묻는 배짱'이 인문학의 시작 = 189
 36 재능은 삶의 '비료'일 뿐, '흙'은 될 수 없다 = 193
6부 생각을 나누다 
 37 '국민'이 아닌 '나'로 살기 위하여 = 201
 38 그 시절 재산목록 1호, 비밀과 '베프' = 205
 39《어린 왕자》의 여우처럼, 멋진 '리액션'을 = 210
 40 성공 아닌 평범한 삶 살아갈 용기 = 214
 41 온 세상을 얻고도 제 영혼을 잃는다면 = 219
 42 아름다움에 대한 '유쾌한 시비' = 223
 43 국민총생산보다 훨씬 중요한 것 = 228
7부 마음을 열다 
 44 유토피아를 향한 지름길 = 235
 45 타인의 삶에 나를 은유하라 = 240
 46 억압ㆍ해방 가르는 금, '밟아야 제맛' = 244
 47 내면의 요새에 둥지를 틀어라 = 248
 48 '너를 구원해줄게'라는 의지에 숨은 폭력성 = 253
 49 모성, 나를 닮았지만 내가 아닌 존재를 향한 사랑 = 257
 50 '어여삐'라는 어여쁜 말 = 261
에필로그 : 나만의 글쓰기, 나만의 비평을 시작하자 = 26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