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UNIT Ⅰ 간호사로 성장하기
제1장 간호전문직 = 3
1. 전문직의 특성 = 6
1) 전문직의 이해 = 6
2) 전문직의 특성 및 분류기준 = 9
2. 전문직으로서의 간호 = 11
1) 간호의 전문직 특성 = 11
3. 전문직 사회화 = 27
1) 전문직 사회화 = 27
2) 간호학생에서 간호사로 = 30
4. 간호전문직의 사회적 인식 및 발전방향 = 40
1) 간호와 간호사에 대한 전통적 이미지 = 40
2) 긍정적 이미지 향상을 위한 전략 = 44
제2장 간호교육 = 55
1. 우리나라의 간호교육제도 = 58
1) 학부교육 = 58
2) 학사학위 취득 특별과정 = 59
3) 대학원 교육 = 63
2. 국내외 간호교육인증평가제도 = 70
1) 한국의 간호교육인증평가 현황 = 70
2) 미국의 간호교육인증평가 현황 = 72
3. 주요국가의 간호교육현황 = 73
1) 미국 = 73
2) 일본 = 75
3) 영국 = 77
4) 중국 = 78
5) 호주 = 79
6) 독일 = 79
제3장 진로탐색과 역량 증진 = 85
1. 진로분야 = 88
1) 병원 간호사 = 89
2) 보건직 공무원 = 92
3) 교육자 = 94
4) 산업장 관리자 = 95
5) 연구원 = 96
6) 간호장교 = 97
7) 창업 간호사 = 98
8) 해외취업 = 101
9) 기타 진로분야 = 101
2. 성공취업전략 = 106
1) 비전과 목표설정 = 106
2) 취업 관련 정보획득 = 107
3) 역량증진 = 111
4) 지원전략 = 112
UNIT Ⅱ 간호사로 생각하기
제4장 간호철학 = 127
1. 철학의 정의 = 130
2. 간호학의 철학적 기반 = 130
3. 간호학과 철학적 관점 = 139
1) 간호의 본질: 존재론적 질문 = 139
2) 간호의 탐구: 인식론적 접근 = 140
3) 간호의 윤리적 가치: 윤리학의 이해 = 141
4) 간호의 미학: 미학의 접목 = 142
4. 카퍼의 간호지식유형 = 143
제5장 간호의 이해 = 153
1. 간호의 이해 = 156
1) 간호의 정의 = 156
2) 간호개념의 변천 = 159
2. 간호의 특성 = 160
1) 과학으로서의 간호 = 160
2) 예술로서의 간호 = 162
3. 간호의 기본개념 = 164
1) 인간 = 164
2) 건강 = 165
3) 환경 = 166
4) 간호 = 168
4. 간호사의 역할 = 170
1) 간호제공자 = 170
2) 옹호자 = 173
3) 교육자 = 174
4) 리더 = 174
5) 협동가 = 175
6) 연구자 = 175
제6장 간호역사 = 183
Ⅰ. 세계간호역사 = 186
1. 간호전문직 발전의 역사적 이해 = 186
2. 고대문명과 간호 = 187
1) 상고문명시대와 간호 = 187
2) 초기 기독교 시대의 간호 = 190
3. 중세문명과 간호 = 193
4. 근대문명과 간호 = 195
5. 현대간호의 출현과 발달 = 196
1) 나이팅게일과 현대간호의 태동 = 197
2) 영국의 간호 = 200
3) 미국의 간호 = 203
6. 간호관련 국제조직 = 205
1) 국제간호협의회 = 205
2) 세계보건기구 = 210
3) 국제적십자사 = 211
4) 국제시그마학회 = 212
Ⅱ. 한국간호역사 = 222
1. 조선시대 간호 = 222
1) 조선시대의 간호 상황 = 222
2) 의녀제도 = 223
2. 개항기 간호 = 224
1) 서양의학과 의료기관의 발달 = 226
2) 간호교육 = 229
3. 일제강점기 간호 = 235
1) 간호교육 = 236
2) 공중보건간호 = 239
3) 전문직 단체: 조선간호부회 = 240
4) 간호면허제도와 간호실무 = 241
4. 해방과 정부수립기 간호 = 245
1) 간호행정 및 간호교육의 변화 = 245
2) 간호단체의 발달 = 248
3) 군 간호단 활동 = 250
5. 한국전쟁과 간호성장기 간호 = 250
1) 한국전쟁과 간호 = 251
2) 간호교육제도의 변화 = 254
3) 의료법 개정과 간호 = 255
4) 대한간호협회의 조직발전 및 활동 = 257
5) 간호사의 해외진출과 그 영향 = 258
6. 80년대 이후 간호발전기 간호 = 259
1) 현대 간호교육제도의 변화 = 260
2) 간호조직의 발달 = 261
UNIT Ⅲ 간호환경 둘러보기
제7장 간호윤리와 법 = 273
Ⅰ. 간호와 윤리 = 276
1. 간호윤리 개관 = 276
1) 규범으로서의 윤리 = 276
2) 간호윤리학과 생명윤리학 = 276
3) 간호윤리교육의 목적 = 277
2. 윤리적 사고과정 = 278
1) 윤리적 사고과정 = 278
2) 윤리이론 = 279
3) 윤리원칙 = 280
4) 윤리규칙 = 283
5) 윤리적 분석 및 의사결정 = 283
3.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문제와 윤리적 분석 = 285
1) 윤리적 문제의 형태 = 285
4. 간호사의 윤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지침 = 287
5. 간호와 윤리문제 = 288
1) 간호사의 윤리적 문제 = 288
2) 간호사와 대상자 윤리 = 291
3) 간호사와 협력자 간의 윤리 = 292
4) 간호실무상의 윤리 = 293
5) 간호윤리 상황극을 통한 역량 개발 = 294
Ⅱ. 간호와 법 = 305
1. 간호사 면허 = 305
2. 간호사의 업무범위 = 306
3. 간호사의 의무이행을 위한 법적 장치 = 306
1) 면허취소 및 정지 = 306
2) 무면허의료행위 = 307
4. 간호사의 법적 의무 = 308
1) 주의의무 = 308
2) 비밀유지의무 = 309
3) 설명 및 동의의무 = 310
4) 확인의무 = 311
5) 환자의 권리보호의무 = 313
5. 간호사의 법적 책임 = 315
1) 책임의 의미 = 315
2) 민사책임 = 316
3) 형사책임 = 317
제8장 보건의료환경의 변화와 건강관리체계 = 323
1. 건강관리환경의 변화 = 326
1) 저출산ㆍ고령화 사회 = 326
2) 질병구조의 다양화와 건강위해요인의 증가 = 328
3) 병원 중심에서 지역사회 중심으로 변화 = 329
4) 건강증진 및 예방 강화 = 329
5) U-Health를 통한 효율적 건강전달체계 구축 = 330
6) 건강불평등 해소 = 330
7) 보건의료서비스 국제개발 협력 = 331
2. 한국의 건강관리체계 = 331
1) 건강관리체계 개념 = 331
2) 한국의 서비스 전달체계 = 334
3) 건강관리체계의 유형 = 335
4) 한국의 사회보장제도 = 339
3. 한국 건강보험제도의 발전과정 = 341
1) 국민건강보험제도 = 342
2) 의료급여제도 = 346
3)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 348
제9장 최신간호동향 = 357
1. 문화적 역량 = 360
1) 소수집단에 대한 다양한 태도 = 361
2)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과제 = 362
2. 보완대체요법 = 363
1) 보완대체요법의 유형 = 364
2) 보완대체요법의 간호 = 364
3)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과제 = 366
3. 근거중심간호 = 367
1) 근거중심간호과정 = 368
2) 간호연구와 근거중심간호 = 369
3) 근거중심간호에 대한 비판 = 372
4. 환자안전 = 372
1) 의료오류의 원인과 유형 = 373
2) 환자안전을 위한 활동 = 374
5. 국제보건활동 = 378
1) 국제연합의 새천년개발목표 = 379
2) 국제보건활동과 관련된 기구들 = 380
3) 국제보건활동의 실제 = 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