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 참여자 명단
머리말 / 박영범
목차
요약 9
제1장 성취평가제 도입과 가사·실업 계열 교육과정의 이해 15
제1절 성취평가제의 의의 17
제2절 가사·실업 계열 교육과정의 이해 19
1. 가사·실업 계열 교육과정의 성격 19
2. 가사 실업 계열의 목표 20
3. 가사·실업 계열 전문 교과의 편제 25
4. 가사·실업 계열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향 29
제2장 개발 원칙 35
제1절 성취기준 개발 원칙 37
1. 성취기준의 의미 및 개발 의도 37
2. 성취기준 개발 원칙 37
제2절 성취수준 개발 원칙 39
1. 성취수준의 의미 39
2. 성취수준의 종류 39
3.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수준 개발 원리 41
4. 단원, 영역, 학기(과목)단위의 성취수준 개발 원리 43
제3절 평가도구 개발 원칙 45
1. 예시 평가도구 개발 목적 45
2. 개발 내용 46
3. 평가도구 개발 방향 46
4. 문항 제작 원리 48
제3장 성취기준 개발 51
제1절 식품과 영양 과목의 개요 53
1. 성격 53
2. 목표 53
3. 내용 54
제2절 단원 및 내용 요소 59
제3절 성취기준 64
제4장 성취수준 개발 79
제1절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 81
제2절 단원 단위 성취수준 113
1. 식생활의 이해 113
2.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114
3. 생애 주기에 따른 영양 116
4. 질병과 식생활 117
5. 식품의 특성과 이용 118
6. 식품의 가공과 저장 119
제3절 학기 단위 성취수준 120
1. 1학기 단위 성취수준 120
2. 2학기 단위 성취수준 121
제5장 예시 평가도구 개발 123
제1절 평가계획표 125
제2절 이원목적분류표 126
제3절 평가문항 129
1. 지필평가 129
2. 수행평가 149
제6장 학교에서의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153
제1절 학교에서의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절차 155
1단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개발 팀의 구성 155
2단계: 성취기준 초안 작성, 상호 검토 의견 작성, 검토 의견에 대한 반영 156
3단계: 내용 수준 성취수준 초안 작성 156
4단계: 단원 또는 영역 수준 성취수준 작성 156
5단계: 학기 또는 과목 수준 성취수준 작성 156
제2절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기초한 학생 평가의 단계 157
참고문헌 159
〈표 1-1〉 성취평가와 상대평가의 비교 18
〈표 1-2〉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가사·실업 계열 기준 학과 및 전문 교과의 편제 27
〈표 1-3〉 가사·실업 계열 교육과정 과목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내용 분석 32
〈표 2-1〉 성취수준 상·중·하 수준의 일반적 특성 42
〈표 2-2〉 단원, 영역, 학기(과목) 단위 성취수준 (A~E)에 대한 설명 44
〈표 5-1〉 식품과 영양 과목의 평가계획표(1학기 2차 고사 예시) 125
〈표 5-2〉 식품과 영양 과목의 1학기 2차 고사 이원목적분류표(예시) 126
〈표 6-1〉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대한 검토의견 제시 및 반영 양식 156
[그림 2-1] 성취수준의 종류 40
[그림 6-1] 성취평가제에 의한 학생 평가 절차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