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공부 상처 : 학습 부진의 심리학 : 배움의 본능 되살리기 (2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현수, 1966-
서명 / 저자사항
공부 상처 : 학습 부진의 심리학 : 배움의 본능 되살리기 / 김현수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에듀니티 :   웅진패스원,   2013  
형태사항
274 p. ; 21 cm
ISBN
9788929600457
일반주기
대한민국 교사ㆍ부모에게 드리는 메시지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73-274
000 00711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46393
005 20130329102531
007 ta
008 130328s2013 ulk b 000c kor
020 ▼a 9788929600457 ▼g 13370
035 ▼a (KERIS)BIB000013055244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70.15 ▼2 23
085 ▼a 370.15 ▼2 DDCK
090 ▼a 370.15 ▼b 2013
100 1 ▼a 김현수, ▼d 1966- ▼0 AUTH(211009)98568
245 1 0 ▼a 공부 상처 : ▼b 학습 부진의 심리학 : 배움의 본능 되살리기 / ▼d 김현수 지음
260 ▼a 서울 : ▼b 에듀니티 : ▼b 웅진패스원, ▼c 2013
300 ▼a 274 p. ; ▼c 21 cm
500 ▼a 대한민국 교사ㆍ부모에게 드리는 메시지
504 ▼a 참고문헌: p. 273-274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3 등록번호 11169167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20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3 등록번호 1310487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3 등록번호 11169167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1-20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70.15 2013 등록번호 13104875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 책을 펴낸 첫 번째 이유는 저자가 임상의학 진료실에서 만나는, 매일 공부 못한다고 혼나는 아이들을 대변하기 위해서이다. 그들이 원래 못하거나 일부러 못하고 싶어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알리기 위해서다. 두 번째 이유는 공부 못하는 아이들을 안타까워하는 부모님과 선생님들을 돕기 위해서이다.

‘무엇이든 하려고 하는데 길을 못 찾는 아이들, 혹은 하고자 하는 것을 포기하려는 아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 이 책을 내게 되었다. 자기 삶 안에서 ‘성공’이라는 경험이나 ‘칭찬’이라는 글자를 마주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현재의 공부라는 틀과 생활 현장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고 싶었다. 그래서 공부 상처에 대한 대안으로 아주 특별한 무엇을 기대하신 분들이라면 실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현실에서 ‘학습 부진아’라고 불리는 아이들이 그 대상이 될 것이고, 결국 학습 부진 상태에 있는 아이들을 돕는 책이다.

원래 못하는 아이는 없다

미세한 뇌 장애를 갖고 태어나는 안타까운 일부 아이들을 제외하고, 원래 배우는 것이 불가능한 아이는 없다. 또한 뇌에 미세한 장애를 갖고 태어난 아이들이라 하더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배워
나갈 수 있다. 그러나 아이들은 특정한 방식, 환경 등으로 인해 배움으로부터 멀어져 간다. 배움으로부터 멀어져 가게 되는 원인을 존 홀트 John Holt 같은 홈스쿨링 지도자들과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 같은 학자들은 현재의 지능 분류 및 진단 체계 그리고 이를 받아들이는 학교 교육에서 찾았다. 아이들이 타고난 본능으로서 배움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소위 말하는 공부로부터 멀어지는 데에는 모두 이유가 있다. 저자는 이것을 공부에 대해 상처받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흥미를 잃은 것은 결과이지, 흥미가 없었기 때문이 아니며 상처를 주어서 공부에 흥미를 잃은 상황이 되었을 뿐이라고 강조한다.

저자가 이 책을 펴낸 첫 번째 이유는 저자가 임상의학 진료실에서 만나는, 매일 공부 못한다고 혼나는 아이들을 대변하기 위해서이다. 그들이 원래 못하거나 일부러 못하고 싶어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우리는 왜 모를까. 혹은 알지만 왜 다른 기회를 만들어 주거나 접근법을 찾지 못할까. 두 번째 이유는 공부 못하는 아이들을 안타까워하는 부모님과 선생님들을 돕기 위해서이다. ‘무엇이든 하려고 하는데 길을 못 찾는 아이들, 혹은 하고자 하는 것을 포기하려는 아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싶어 이 책을 내게 되었다. 자기 삶 안에서 ‘성공’이라는 경험이나 ‘칭찬’이라는 글자를 마주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현재의 공부라는 틀과 생활 현장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고 싶었다. 그래서 공부 상처에 대한 대안으로 아주 특별한 무엇을 기대하신 분들이라면 실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은 현실에서 ‘학습 부진아’라고 불리는 아이들이 그 대상이 될 것이고, 결국 학습 부진 상태에 있는 아이들을 돕는 책이 될 것이다. 소위 ‘공부’라는 개념부터 논란을 부를 수 있겠지만, ‘무엇이든 하려고 하는데 길을 못 찾는 아이들, 혹은 하고자 하는 것을 포기하려는 아이들’을 둔 우리 선생님, 학부모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자기 삶 안에서 ‘성공’이라는 경험이나 ‘칭찬’이라는 글자를 마주하지 못하는 아이들에게, 현재의 공부라는 틀과 생활 현장에서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는 책이 되었으면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현수(지은이)

1966년 서울 출생.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교수. ‘성장학교 별’ 교장, 사단법인 ‘별의친구들’ 상임이사. 대한민국 사춘기 청소년들에게 사랑으로 다가서는 전문가로, 사춘기 자녀와 부모님 사이에서 청소년기를 통역하는 ‘사춘기 통역사’라는 별칭을 얻었다. 공중 보건의로 소년 교도소에 근무하면서 ‘문제 행동은 심리적 구조 신호’라는 것을 절감하고 청소년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다. 어려운 성장기를 보냈던 봉천동에서 ‘사는기쁨 신 경정신과’를 열면서 청소년들과 본격적으로 만나기 시작했고, 이듬해에는 사재를 털어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을 위한 치유형 대안 학교 ‘성장학교 별’을 세워 지금까지 교장을 맡고 있다. 게임 중독, 은둔형 외톨이, 학교 폭력, 느린 학습자, 자해 청소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청소년들의 어려움과 함께해 왔다. 교사들에게도 관심이 많아 ‘프레네 교육학’을 중심으로 공교육 교사들과 활발히 교류하며, 2018년 이후에는 ‘관계의 심리학을 연구하는 교사단’을 창립하여 애착 이론을 중심 으로 함께 공부하고 있다. 2011년 명지병원으로 자리를 옮겨 경기도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복지부 중앙심리부검센터, 안산 정신건강트라우마센터,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등에서 센터장으로 활동했으며, 코로나 시기에는 서울시 COVID19 심리지원단 단장을 맡았다. KBS 「아침마당」, EBS 「부모클래스」, 「세바시」 등에 다수 출 연한 바 있으며, ‘별’ 학교 운영의 공로로 2021년 교보재단에서 주는 참사람 대상을, 느린 학습자, 경계선급 청년들의 인권을 확대하는 활동을 인정받아 2022년 태평양-동천재단이 주는 태평양 공익 인권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 『무기력의 비밀』, 『요즘 아이들 마음고생의 비밀』, 『공부상처』, 『선생님, 오늘도 무사히!』 등이 있다. 진료, 교육, 강연 등 1인 10역을 소화하느라 깔끔한 의사 가운을 입는 날보다 덥수룩한 머리에 어깨에는 커다란 백팩을 멘 채 ‘동에 번쩍, 서에 번쩍’ 하는 날이 더 많다. “환자는 물론이고 환자의 환경까지 관심을 갖고 치료해 주는 의사가 되 고 싶다”는 소망을 갖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여는 글|덜 혼내고, 더 잘 돕기 = 4
추천의 글
 공부, 상처와 힐링의 변주곡 = 11
 둘째 아이의 공부 고민을 해결해 준 책 = 13
 낮별 같은 아이들에게 꿈을 = 14
프롤로그|원래 못하는 아이는 없다 = 18
PART Ⅰ 공부에 흥미를 잃은 아이들 
 01 누가, 어떻게 공부 상처를 주나? = 31
 02 공부 상처의 결과 : 학습 부진 = 42
 03 공부 상처를 주는 가정환경, 계층, 문화의 차이 = 52
PART Ⅱ 상처받은 아이에게 다가가기 
 01 공부 사연 듣기&내면 어루만지기 = 75
 02 공부 위기는 언제 찾아오나? = 98
 03 공부 동기 발견하기 = 113
 04 성공하는 계획 세우기 = 134
 05 공부에 대한 태도를 돕는 귀인 이론, 낙관 이론 = 142
 06 ADHD 아이들의 공부 지도 = 149
PART Ⅲ 공부 상처의 유형 알기 
 01 공부 방법을 바꿔 주어야 - 노력형 = 165
 02 자기 조절 습관이 필요한 - 동기형 = 174
 03 작은 성공을 통해 학습 동기를 얻는 - 조절형 = 185
 04 관계를 깨지 않는 인내심이 필요한 - 행동형 = 193
PART Ⅳ 아이에게 맞는 공부 돕기 
 01 공부 상처의 원인 찾기 = 205
 02 공부 동기를 강화하는 대화법 = 220
 03 공부 문화와 친해지도록 하려면 = 231
 04 아이의 특성에 맞는 공부 방법 찾아 주기 = 249
에필로그|아이들이 마음껏 공부하는 세상을 꿈꾸며 = 265
참고 문헌

관련분야 신착자료

장상호 (2023)
이용길 (2023)
小原國芳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