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국내 전력산업 동향과 전망 = 17
1. 국내 전력 산업 최근 동향 = 19
1-1. 개요 = 19
1-2. 국가 전력 소비지도 = 21
1) 추진배경 = 21
2) 조사결과 = 21
(1) 종합분석 = 21
(2) 광역지자체 분석 = 23
(3) 기초지자체 분석 = 32
2. 6차 전력 수급 기본계획 = 41
2-1. 개요 = 41
2-2. 전력수급 기본계획 주요 내용 = 41
1) 개요 = 41
2) 제 6차 전력수급계획 기본방향 = 42
(1) 대내외 환경변화 = 42
(2) 전력수급기본계획 기본방향 = 44
3)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주요내용 = 45
(1) 기준수요 전망 = 45
(2) 수요관리 목표 : 최대전력 12%↓(전력소비량 15%) = 47
(3) 목표수요 전망 = 48
(4) 발전설비 건설계획 = 49
(5) 발전설비 운영계획 = 58
3. 국내 전력산업 관련 통계 = 60
제2장 청정연료, IGCC(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개발 동향 = 131
1. 석탄가스화 복합발전(IGCC) 기술개발 전략 = 133
1-1.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기술 개요 = 133
1) 정의 = 133
2) 범위 = 134
3) 기술트리 분석 = 134
4) 필요성 및 파급효과 = 135
1-2. 환경변화 전망 분석 = 136
1-3. 시장현황 및 전망 분석 = 137
1) 세계시장 전망 = 137
2) 국내 시장전망 = 137
3) 세계시장 점유율 = 138
4) 국내외 주요기업 기술개발 및 사업화 활동 = 139
1-4. 경쟁여건 분석 = 140
1) 기술ㆍ산업 경쟁력 = 140
2) 국외 여건 = 141
3) 국내 여건 = 142
4) 기술개발 투자 현황 = 143
5) 기타 여건 = 144
6) 국내 이슈 및 쟁점 분석 = 145
1-5. 전략 방향 설정 = 146
1) 기술개발ㆍ산업화 전략 방향 설정 = 146
2) 해당기술의 개발 목표 설정 = 147
1-6. 기술로드맵 작성 = 148
1) 해당 기술 관련 전략제품ㆍ서비스 분석 = 149
2) 전략제품ㆍ서비스별 핵심세부기술 개발 = 150
3) 단계별 기술획득 전략 = 153
4) 민관의 역할분담 및 설정 근거 = 155
5) 기대효과 = 156
6) 단계별 투자 전략 = 157
(1) 투자 전략 = 157
(2) 투자 규모 = 157
1-7. 실용ㆍ사업화 전략 = 158
1) 전략제품 실용화ㆍ사업화 전략 분석틀 = 158
2) 제품ㆍ서비스별 전략방향 도출 = 159
3) 제품ㆍ서비스별 실용화ㆍ사업화 세부전략 도출 = 160
1-8. 정책적 지원방안 = 162
1-9. 관련사업 참여 기업 현황 = 163
1) 한국에너지 기술연구원(KIER) = 163
2) (주)두산중공업 = 164
3) 에너지관리공단 = 165
4) (재)기초전력연구원 = 166
5) (주)한국전력공사 = 167
6) 대우조선해양(주) = 168
7) 한국전력기술(주) = 169
8) (주)GS = 170
9) SK(주) = 171
2. 그린에너지 분야의 IGCC(석탄가스화 복합발전) 기술개발 전략 = 172
2-1. 개요 = 172
2-2. 기술개발 전략 = 178
2-3. 전략품목과 특징 = 181
1) 품목과 특징 = 181
2) 사업화전략 = 182
3) 정책 및 제도개선 = 183
2-4. 국내외 시장동향 = 183
1) 주요국 현황 = 183
2) 국내 현황 = 192
2-5. 기술개발 로드맵 = 194
1) 단기-장기 총괄로드맵 - IGCC = 194
2) 수출용 IGCC 플랜트 전략로드맵 = 195
3) 공정 기술 개발 전략로드맵 = 196
3. 신재생에너지산업과 석탄이용 청정연료 개발 전략 = 198
3-1. 산업여건 분석 = 198
1) 산업여건 및 구조 = 198
2) 성장동력화 가능성 = 200
3) 핵심 장애요인 = 200
3-2. 신성장동력 목표('13, '18 기준) = 201
3-3. 청정석탄에너지 추진 방향 = 202
1) 추진전략 = 202
2) 발전 로드맵 = 202
3) 세부 추진과제 내용 = 202
제3장 국내 신재생에너지 최근 동향 = 207
1. 신재생에너지 산업 개요 = 209
1-1. 신ㆍ재생에너지 개요 = 209
1) 개요 = 209
1-2. 발전원별 신ㆍ재생에너지 = 210
1) 태양광 = 210
(1) 태양광 이용기술 = 210
(2) 태양전지에 의한 발전원리 = 210
(3) 태양전지의 역사 = 211
(4) 태양광의 특징 및 시스템 구성도 = 211
2) 태양열 = 213
(1) 태양열 이용기술 = 213
(2) 태양열의 시스템 구성 및 집열기의 종류 = 213
(3) 태양열의 이용기술의 분류 = 214
3) 풍력 = 215
4) 연료전지 = 217
5) 수소 = 219
6) 바이오에너지 = 220
7) 폐기물 = 221
8) 석탄가스화ㆍ액화 = 222
9) 지열 = 224
10) 수력 = 225
11) 해양 = 226
1-3. 신재생에너지분야 신성장 동력 아이템 추진과제 목록 = 227
2. 국내 신ㆍ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 281
2-1.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동향 = 281
1) 2011년 신재생에너지 원별 공급비중 = 281
2) 전년대비 변동량 = 281
3) 1차에너지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 = 282
4) 연도별 공급량추이 = 282
5) 2011년 지역별 공급현황 = 283
6) 2011년 원별 공급비중(발전부문) = 283
7) 전년대비 변동량(발전부문) = 284
8) 총발전량 대비 연도별 증가추이(발전부문) = 284
9) 연도별 발전량추이 = 285
10) 2011년 지역별 발전현황 = 285
3.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산업 통계 = 286
3-1. 종합 = 286
3-2. 에너지원별 연도별 현황 = 301
1) 태양에너지 - 태양열 = 301
2) 태양에너지 - 태양광 = 302
3) 바이오에너지 - 바이오가스 = 304
4) 바이오에너지 - 매립지가스(LFG) = 305
5) 바이오에너지 - 바이오디젤 = 306
6) 바이오에너지 - 우드칩 = 307
7) 바이오에너지 - 성형탄 = 308
8) 바이오에너지 - 임산연료 = 309
9) 바이오에너지 - 목재펠릿 = 310
10) 바이오에너지 - 폐목재 = 312
11) 풍력 = 313
12) 수력 = 315
13) 연료전지 = 317
14) 폐기물 - 폐가스 소각열 = 319
15) 폐기물 - 산업폐기물 소각열 = 320
16) 폐기물 - 생활폐기물 소각열 = 321
17) 폐기물 - 대형도시쓰레기 = 322
18) 폐기물 - 시멘트킬른 보조연료 = 323
19) 폐기물 - RDF/RPF/TDF = 324
20) 폐기물 - 정제연료유 = 325
21) 지열 = 326
22) 해양 = 328
3-3.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 = 330
1) 국가별 1차에너지 소비량 추이 = 330
2) 국가별 발전량 추이 = 331
3)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공급 추이 = 332
4)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추이 = 334
제4장 참고자료 = 337
1.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 339
1-1. 개요 = 339
1-2.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 341
1) 계획수립 근거 및 경과 = 341
(1) 법적 근거 = 341
(2) 추진 경과 = 341
2) 제10차 계획 기본방향 = 342
(1) 불확실한 천연가스 수급환경에 대한 대응능력 확보 = 342
(2) 천연가스 공급인프라 확충 및 효율적 이용체계 구축 = 342
(3) 합리적 천연가스이용 촉진을 위한 수요관리 체제 구축 = 342
(4) 타 에너지 기본계획과의 정합성 제고 = 342
3) 장기 천연가스 수요전망 = 342
(1) 천연가스 수요 동향 = 342
(2) 천연가스 수요 전망 = 343
4) 분야별 계획 = 345
(1) 도입 계획 = 345
(2) 공급설비 건설 및 투자 계획 = 345
(3) 도시가스 미공급지역 보급 계획 = 348
(4) 수요 관리 계획 = 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