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윌리엄 파이너와 교육과정이론

윌리엄 파이너와 교육과정이론 (Loan 1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Pinar, William 정정훈, 편역 김영천, 편역
Title Statement
윌리엄 파이너와 교육과정이론 / William F. Pinar ; 정정훈, 김영천 편역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아카데미프레스,   2013  
Physical Medium
357 p. ; 24 cm
Varied Title
Autobiography, politics, and sexuality : essays in curriculum theory 1972-1992
ISBN
9788997544219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Education -- Curricula Education -- Curricula -- North America Education -- Biographical methods
000 01015camcc2200325 c 4500
001 000045745163
005 20130325102850
007 ta
008 130322s2013 ggk b 000c kor
020 ▼a 9788997544219 ▼g 93370
035 ▼a (KERIS)BIB000013055274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375 ▼2 23
085 ▼a 375 ▼2 DDCK
090 ▼a 375 ▼b 2013
100 1 ▼a Pinar, William ▼0 AUTH(211009)20340
245 1 0 ▼a 윌리엄 파이너와 교육과정이론 / ▼d William F. Pinar ; ▼e 정정훈, ▼e 김영천 편역
246 1 9 ▼a Autobiography, politics, and sexuality : ▼b essays in curriculum theory 1972-1992
260 ▼a 파주 : ▼b 아카데미프레스, ▼c 2013
300 ▼a 357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650 0 ▼a Education ▼x Curricula
650 0 ▼a Education ▼x Curricula ▼z North America
650 0 ▼a Education ▼x Biographical methods
700 1 ▼a 정정훈, ▼e 편역 ▼0 AUTH(211009)70277
700 1 ▼a 김영천, ▼e 편역 ▼0 AUTH(211009)91108
900 1 0 ▼a 파이너, 윌리엄,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 2013 Accession No. 1116912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William F. Pinar(지은이)

캐나다 벤쿠버 소재의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사범대학의 교육과정학과 석좌교수이다. 교육학 분야 세계 100대 서적의 하나인 Curriculum and Instruction의 저자이며 교육과정학과 교육학 분야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불러 온 역사적 인물로 평가된다. Currere의 새로운 개념화를 통하여 교육과정 연구에서 교육적 경험(educational experience), 정체성(identity), 주관성(subjectivity), 그리고 자서전적 탐구(autobiographical research)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Ralph Tyler가 교육과정과 평가 영역을 이론화시켰던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사범대학에서 학부를 졸업하고 뉴욕 근처의 고등학교 문학교사로 오랜 세월 재직하였다. 그 이후 다시 학교에 돌아와 교육과정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현상학에 대한 학술적 관심과 연구업적으로 박사학위를 받자마자 구미에서 학술적 명성을 얻었다. University of Rochester와 Louisiana State University 대학교의 교수로 재직하면서 무수한 논문과 저서작업, 그리고 학술대회와 학술지 창간을 통하여 교육과정학의 이론화의 구축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가 창립한 Journal of Curriculum Theorizing은 새로운 교육과정의 이론적 확산에 역사적으로 많은 기여를 하였고 세계교육과정학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Curriculum Studies)의 창립 역시 그의 아이디어로서 시작되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전 세계의 많은 대학교와 대학원의 교육과정분야의 연구서적으로 읽히고 있는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derstanding Curriculum: An Introduction of Historical and Contemporary Discourses, International Handbook of Curriculum Research가 있다.

김영천(옮긴이)

한양대학교 교육학과와 대학원 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 1995년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교육과정 이론과 질적연구방법론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1998년 이래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과 수업, 교육평가, 질적연구를 가르치고 있다. 지난 20여년에 걸쳐서 약 40권 이상의 저서와 50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2016년 한국의 학생들이 어떻게 학교교육과 그림자교육(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약 7년간 연구하여 맥밀란 출판사를 통하여 『Shadow Education and the Curriuclum and Culture of Schooling in South Korea』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정정훈(옮긴이)

진주교육대학교를 졸업하고 초등학교 교사로 약 십년 동안 근무하였다. 그 이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교육과정과 수업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캐나다의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에서교육과정이론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박사학위 논문을 쓰고 있다. 파이너 교수의 Research Assistant로 일하면서 그의 지도를 받고 있다. 연구분야로는 교육과정 이론화, 자서전적 교육과정 탐구, 질적연구, 다문화 교육이다. <미운 오리 새끼: 한국 초임교사의 일년 생활>의 공동저자이며, <다문화 교육의 탐구: 다섯 가지 방법들>을 공역하였다. 2012년에 AERA(미국 교육학화), AAACS(북미교육과정학회) 그리고 IAACS(세계 교육과정학회)에서 교육과정과 관련된 논문을 발표하였고 2013년에 AERA에서 쿠레레와 자서전적 탐구에 대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한국 독자들을 위한 서문(William F. Pinar) = 9
저자 서문(William F. Pinar) = 17
편저자 서문(Shirley R. Steinberg, Joe L, Kincheloe) = 23
1. 개인 내부로부터의 탐구(Working from Within, 1972) = 35
 전형성적 내용 = 36 
 자신으로부터 탐구하기 = 38 
2. 베넷 씨와 브라운 여사(Mr. Bennett and Mrs. Brown, 1973) = 41
3. 쿠레레방법(The Method of Currere, 1975) = 49
4. 소송(The Trial, 1976) = 63
 체포 : 정치적, 정신적, 형이상학적 = 75 
 이해 = 78 
 자서전적 의식 = 81 
 방법론의 서두 = 86 
 연구방법 = 100 
5. 재개념화란 무엇인가?(What is the Reconceptualization?, 1978) = 109
 재개념화 = 114 
6. 교육과정 영역에 대한 제언(Notes on the Curriculum Field, 1978) = 127
 교육과정 분야 개관 = 128 
 교육과정 분야의 최근 역사적 흐름 = 130 
 초이론적 영역 = 136 
7. 교육과정 이론화의 추상성과 구체성(The Abstract and the Concrete in Curriculum Theorizing, 1979) = 156
8. 출항: '주체'와 '객체' 사이의 관계로서의 교육과정(The Voyage Out : Curriculum as the Relation Between the Knower and the Known, 1979) = 173
 설계 = 181 
 정치적 견해(사상) = 189 
 Step 3 버지니아 울프의『출항(The Voyage Out)』속의 주제 = 193 
 자서전적 상황 = 201 
 해석 = 209 
 결론 = 214 
9. 젠더 텍스트로서의 교육과정 이해 : 재생산, 저항, 남성 - 남성의 관계(Understanding Curriculum as Gender Text, 1981) = 219
 도입 : 아버지 재생산 = 219 
 전 - 외디푸스(pre - oedipal)의 관계와 후 - 외디푸스(post-oedipal)의 왜곡 = 223 
 저항이 아닌 유혹 = 229 
 정치적 기구로서의 이성애 = 232 
 궂은 일/남이 하기 싫어하는 일 = 237 
 '뒤에서 보면 우리는 모두 여성' = 248 
 결론 : 할례로서의 학교교육, 성문화된 욕망으로서의 교육과정 = 254 
10. 페미니즘의 기업적 생산과 보이 조지(The corporate Production of Feminism and the Case of Boy George, 1983) = 257
11. 종신 대학교수의 죽음(Death in a Tenured Position, 1984) = 265
 배경 = 266 
 전경 = 267 
 고투의 장 = 272 
12. 자서전 그리고 자아의 구성(Autobiography and an Architecture of Self, 1985) = 275
 자아의 고고학 = 276 
 사회가 원하는 인간 = 290 
 자서전과 자아의 구성 = 295 
13. 교사교육의 재개념화(A Reconceptualization of Teacher Education, 1988) = 303
 우리의 관심 = 304
 인문교육 = 306
 예비교사를 위한 수업과정 = 307 
 학교 = 311 
 경고 = 312 
 결론 = 313 
 감사의 말 = 313 
14. '타자'에 의해 표상된 교사의 정체성 : 교육과정 이론과 학교 개혁(Dreamt into Existence by Others, 1991) = 315
 기대의 향연 = 315 
 교육과정에 대한 근본 생각 = 320
 타인에 의해 인식되는 존재 = 323 
 정체성 = 325 
 사회 정신분석학으로서의 교육과정 = 327 
 실패한 미래의 환영/아이들 = 330 
 결론 = 332 
15. 두루미의 잃어버린 언어 : 쿠레레 회귀 단계의 '창'과 '거울'(The Lost Language of Cranes, 1992) = 337
 나의 아들, 나의 아버지 = 341 
 피터(Peter)와 클레어(Clare)의 결혼식 = 347 
 사랑과 행복 = 350
 크레인(crane) 소년 = 351 
 결론 = 35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