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28n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743109 | |
005 | 20130315114428 | |
007 | ta | |
008 | 130314s2013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05039165 ▼g 9337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2 | 0 4 | ▼a 379.519 ▼c 23 |
085 | ▼a 379.53 ▼2 DDCK | |
090 | ▼a 379.53 ▼b 2013 | |
245 | 0 0 | ▼a 학교혁신의 이론과 실제 / ▼d 강충열 [외] |
260 | ▼a 서울 : ▼b 지학사, ▼c 2013 | |
300 | ▼a 348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공저자: 권동택, 신문승, 이성대, 송주명, 서길원, 이광호, 이범희 | |
504 | ▼a 참고문헌: p. 343-348 | |
700 | 1 | ▼a 강충열, ▼e 저 ▼0 AUTH(211009)33039 |
700 | 1 | ▼a 권동택, ▼e 저 ▼0 AUTH(211009)142747 |
700 | 1 | ▼a 신문승, ▼e 저 ▼0 AUTH(211009)95767 |
700 | 1 | ▼a 이성대, ▼e 저 ▼0 AUTH(211009)34512 |
700 | 1 | ▼a 송주명, ▼e 저 ▼0 AUTH(211009)108225 |
700 | 1 | ▼a 서길원, ▼e 저 ▼0 AUTH(211009)14203 |
700 | 1 | ▼a 이광호, ▼e 저 ▼0 AUTH(211009)74907 |
700 | 1 | ▼a 이범희, ▼e 저 ▼0 AUTH(211009)33370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53 2013 | 등록번호 1116908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9.53 2013 | 등록번호 1513152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9.53 2013 | 등록번호 11169089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79.53 2013 | 등록번호 1513152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본 책은 학교혁신에 대한 이론과 실제 사례들을 소개하여 학교혁신에 대한 ‘바른 앎’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1부는 학교혁신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돕기 위한 학교혁신의 이론적 배경, 학교혁신의 유형과 수행 모델,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공동체 문화와 리더십, 혁신학교 평가와 발전방향을 논의하고 마지막으로 주요국의 교육개혁과 학교혁신 동향을 살펴보는 순으로 구성하였다.
2부에서는 우리나라 공교육 혁신의 성공적 모델인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혁신교육 철학과 지향점, 창의지성교육과 배움중심수업, 그리고 경기도 혁신학교의 성과와 과제 순으로 구성하였다.
3부에서는 국내의 학교급별 학교혁신사례를 예시하는 순으로 구성하였다. 초등학교 4개교, 중등학교 5개교의 학교혁신사례를 중심으로 단위학교 차원에의 학교혁신의 성공적 추진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송주명(지은이)
국제정치경제, 정치학적 사상과 가치를 한국 교육현장에서의 실천, 경험과 결합하여 한국교육의 미래 방향에 대한 그랜드 디자인을 시도하는 교육전문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와 일본 도쿄대학 교에서 공부한 후 한신대학교 글로벌 협력대학의 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치는 한편, 한국사회의 민주주의와 불평등 개선을 위해 활동해왔다. ‘혁신교육’의 설계자로서, 2010년 초 경기도 혁신학교추진위원장, 창의지성교육 추진단장으로 활동하며 공공성과 민주성이 살아있는 혁신교육의 보편적 토대를 마련했다. 또한 우리교육의 내용을 바꾸는 시도인 ‘창의지성교육’을 설계해 이 새로운 미래지향적 교육이 교육현장에 적용되도록 기여했으며, ‘학교민주주의’를 경기교육에 최초로 도입했다. 민주화운동가로서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상임공동의장, 노무현 대통령 탄핵무효 부패정치청산 범국민행동정책위원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사회의 중요한 역사적 순간 고비 고비마다 민주주의 발전과 사회적 약자편에서 노력해왔다. 2018년 교육감 선거에서는 시민경선의 승자인 ‘민주진보단일 후보’(경기교육혁신연대)로 출마해 현역 교육감을 위협하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현재 교육시민단체 ‘민주주의학교’의 상임대표,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전략 자문관, 사회공공연구원(PPIP) 연구원장, 기본소득 국민운동경기본부 상임고문으로 활동하며, 특히 학교 안팎의 민주시민교육 설계와 실천에 매진하고 있다. 대전환적 위기의 시대에 가장 중요한 것이 교육의 재구성이라는 신념으로 한국사회와 교육의 미래비전 설계에 전념하고 있다. 「대전환시대 공교육대혁명」은 창의지성교육과 민주주의학교(2018), 오늘 시작한 미래(2020) 등 교육관련 저서와 인공지능과 인간(2019), 기본소득의 경제학(2020) 등 시대 현안에 대한 역서 작업을 통해 연구하고 성찰해온 결과를 집약한 것으로 한국교육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종합설계도이다.
강충열(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졸업 매릴랜드대학교 심리학 학사 위스콘신대학교 대학원 교육심리학 석·박사 김영삼문민정부 교육개혁위원회 전문위원 서울시내 초등학교 교사 한국교원대학교 제1대학장 현) 한국교원대학교 교수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장 한국교과영재학회장 한국교원대학교 교원능력개발센터장 한국교원대학교 학습부진전문가연수센터장 한국교원대학교 학교혁신연구지원센터장
권동택(지은이)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교육학 석사 및 박사 전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 현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과 부교수 한국비교교육학회 총무이사 한국초등교육학회 이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편집위원장

목차
목차 머리말 제1부 학교혁신의 기본적 이해 = 11 1장 학교혁신의 개념과 핵심 가치 = 12 1. 개념 = 12 2. 교육개혁과 교육혁신, 그리고 혁신학교 = 13 3. 핵심 가치 = 14 2장 학교혁신의 배경 = 18 1. 제1의 교육개혁 물결 = 18 2. 제2의 교육개혁 물결 = 21 3. 학교혁신 접근의 특징 = 25 3장 학교혁신의 이론 = 30 1. 혁신 이론의 기능 = 30 2. 평형 이론 = 31 3. 갈등 이론 = 35 4. 종합적 관점 = 40 4장 학교혁신의 유형과 수행 모델 = 41 1. 학교혁신의 유형 = 41 2. 학교혁신의 수행 모델 = 46 5장 학교혁신을 위한 학교공동체 문화 = 49 1. 학교 공동체의 의미와 성격 = 49 2. 민주적 자치 공동체의 기본 이해 = 52 3. 학습공동체의 기본 이해 = 63 6장 학교혁신을 위한 리더십 = 75 1. 리더십의 기본 이해 = 75 2. 혁신학교에서의 리더십의 역할 = 83 3. 혁신학교에서의 리더십의 발전 과제 = 95 7장 학교혁신의 평가와 발전 방향 = 99 1. 필요성과 목적 = 99 2. 학교혁신의 평가 모델 = 100 3. 혁신학교의 현황과 발전 방향 = 108 8장 주요국의 교육개혁과 학교혁신의 동향 = 110 1. 미국 교육개혁과 학교혁신 = 110 2. 영국 교육개혁과 학교혁신 = 116 3. 프랑스 교육개혁과 학교혁신 = 122 4. 핀란드 교육개혁과 학교혁신 = 127 제2부 경기도교육청의 학교혁신 사례 = 135 9장 미래사회의 변화와 교육의 혁신 = 136 1. 미래사회의 변화 = 136 2. 새로운 사회를 위한 교육의 혁신 = 140 10장 혁신교육의 철학과 지향점 = 143 1. 경기도 혁신교육의 기본 정신 = 143 2. 혁신교육의 모델 혁신학교 = 146 11장 새로운 학교와 학교공동체 = 160 1. 학교공동체 구성원의 역할 = 160 2. 학교문화 혁신운동으로서의 혁신학교 = 166 12장 창의지성교육과 배움중심수업 = 182 1. 창의지성교육이란? = 184 2. 창의지성교육의 추진방향 = 187 3. 창의지성교육의 목표 = 189 4. 창의지성교육의 내용 = 190 5. 창의지성교육의 실천 = 197 6. 배움중심수업의 정의 = 201 7. 창의지성교육의 실천방안, 배움중심수업 = 202 8. 평가의 혁신 = 214 9. 배움중심수업과 창의성역량 = 217 10. 외국의 창의적 교육사례 = 223 11. 창의지성교육을 위한 교사역량개발 = 230 13장 경기도 혁신학교의 성과와 과제 = 237 1. 혁신학교의 정의 = 237 2. 혁신학교의 특징 = 238 3. 혁신학교의 기본가치와 추진원칙 = 240 4. 경기도 혁신학교의 성과와 혁신교육 = 241 5. 혁신학교의 전망과 과제 = 242 제3부 국내의 학교급별 학교혁신의 사례 = 247 14장 초등학교 학교혁신의 사례 = 248 1. 경기 갈곶초등학교 = 248 2. 경기 대월초등학교 = 256 3. 경기 보평초등학교 = 263 4. 경기 조현초등학교 = 274 15장 중등학교 학교혁신 사례 = 283 1. 경기 덕양중학교 = 283 2. 경기 장곡중학교 = 294 3. 광주 수완중학교 = 307 4. 전북 회현중학교 = 320 5. 경기 흥덕고등학교 = 330 참고문헌 = 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