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진동의 기초
1.1. 서론 = 2
1.2. 진동의 역사적 배경 = 2
1.2.1. 진동의 기원 = 2
1.2.2. Galileo에서 Rayleigh까지 = 5
1.2.3. 최근의 공헌 = 8
1.3. 진동 연구의 중요성 = 10
1.4. 진동의 기본개념 = 13
1.4.1. 진동 = 13
1.4.2. 진동계의 기본 요소 = 13
1.4.3. 자유도 = 14
1.4.4. 이산 및 연속계 = 16
1.5. 진동분류 = 16
1.5.1. 자유 및 강제진동 = 16
1.5.2. 비감쇠 및 감쇠진동 = 17
1.5.3. 선형 및 비선형진동 = 17
1.5.4. 확정 및 확률진동 = 17
1.6. 진동 해석 절차 = 18
1.7. 스프링 요소 = 22
1.7.1. 비선형 스프링 = 23
1.7.2. 비선형 스프링의 선형화 = 25
1.7.3. 탄성 요소들의 스프링상수 = 27
1.7.4. 스프링의 조합 = 30
1.7.5. 중력에 의한 복원력과 연계된 스프링상수 = 38
1.8. 질량 또는 관성 요소 = 39
1.8.1. 질량의 조합 = 40
1.9. 감쇠 요소 = 45
1.9.1. 점성감쇠기의 구조 = 46
1.9.2. 비선형감쇠기의 선형화 = 52
1.9.3. 감쇠기의 조합 = 52
1.10. 조화운동 = 55
1.10.1. 조화운동의 벡터 표시 = 56
1.10.2. 조화운동의 복소수 표시 = 56
1.10.3. 복소 대수학 = 58
1.10.4. 조화함수의 연산 = 59
1.10.5. 용어와 정의 = 62
1.11. 조화해석 = 65
1.11.1. Fourier 급수 전개 = 65
1.11.2. 복수 Fourier 급수 = 67
1.11.3. 주파수 스펙트럼 = 68
1.11.4. 시간 및 주파수 영역 표현 = 69
1.11.5. 짝함수와 홀함수 = 70
1.11.6. 반영역 전개 = 72
1.11.7. 계수의 수치 계산 = 73
1.12. MATLAB을 이용한 예제 = 77
1.13. 진동에 관한 문헌 = 81
요약 = 82
참고문헌 = 82
복습문제 = 85
연습문제 = 89
설계과제 = 120
제2장 1자유도계의 자유진동
2.1. 서론 = 126
2.2. 비감쇠 병진계의 자유진동 = 129
2.2.1. Newton의 제2운동법칙을 이용한 운동방정식 = 129
2.2.2. 다른 방법을 이용한 운동방정식 = 130
2.2.3. 수직으로 놓인 스프링 - 질량계의 운동방정식 = 132
2.2.4. 풀이 = 133
2.2.5. 조화운동 = 135
2.3. 비감쇠 비틀림계의 자유진동 = 146
2.3.1 운동방정식 = 147
2.3.2 풀이 = 148
2.4. 1차계의 응답과 시정수 = 151
2.5. Rayleigh 에너지법 = 153
2.6. 점성감쇠 자유진동 = 159
2.6.1. 운동방정식 = 159
2.6.2. 풀이 = 159
2.6.3. 대수 감소율 = 165
2.6.4. 점성감쇠의 소산에너지 = 167
2.6.5. 점성감쇠 비틀림진동계 = 167
2.7. 특성근과 해당 해의 도식 표현 = 168
2.7.1. 특성방정식의 근 = 175
2.7.2. 특성근과 해당 해의 도식 표현 = 175
2.8. 매개변수 변동과 근 궤적 표현 = 176
2.8.1. s-평면에서 ωn, ωd, ζ, ??04AD藪?대한 설명 = 177
2.8.2. 근 궤적과 매개변수 변동 = 178
2.9. Coulomb감쇠 자유진동 = 185
2.9.1. 운동방정식 = 186
2.9.2. 풀이 = 187
2.9.3. Coulomb감쇠 비틀림계 = 190
2.10. 이력감쇠가 있는 자유진동 = 192
2.11. 계의 안정성 = 198
2.12. MATLAB을 이용한 예제 = 203
요약 = 209
참고문헌 = 209
복습문제 = 210
연습문제 = 215
설계과제 = 253
제3장 조화 가진진동
3.1. 서론 = 258
3.2. 운동방정식 = 259
3.3. 조화력을 받는 비감쇠계의 운동 = 260
3.3.1. 전체응답 = 264
3.3.2. 맥놀이 현상 = 264
3.4. 조화력을 받는 감쇠계의 응답 = 267
3.4.1. 전체응답 = 271
3.4.2. 양호도와 대역폭 = 273
3.5. F(t)=$$F_0$$$$e^{iωt}$$ 를 받는 감쇠계의 응답 = 274
3.6. 기초의 조화운동으로 인한 감쇠계의 응답 = 277
3.6.1. 전달력 = 280
3.6.2. 상대운동 = 281
3.7. 회전 불평형으로 인한 감쇠계의 응답 = 284
3.8. Coulomb감쇠를 갖는 강제진동 = 289
3.9. 이력감쇠를 갖는 강제진동 = 293
3.10. 다른 유형의 감쇠를 갖는 강제운동 = 295
3.11. 자력와 안정성 해석 = 296
3.11.1. 동적 안정성 해석 = 296
3.11.2. 유체 유동으로 야기된 동적 불안정 = 299
3.12. 전달함수법 = 307
3.13. Laplace 변환을 이용한 해 = 310
3.14. 주파수전달함수 = 314
3.14.1. 일반전달함수 T(s)와 주파수전달함수 T(iω) 사이의 관계 = 315
3.14.2. 주파수응답 특성의 표시 = 316
3.15. MATLAB을 이용한 예제 = 319
요약 = 325
참고문헌 = 325
복습문제 = 327
연습문제 = 331
설계과제 = 354
제4장 일반적인 가진 조건에서의 진동
4.1. 서론 = 358
4.2. 주기력에 의한 응답 = 359
4.2.1. 1차계 = 359
4.2.2. 2차계 = 365
4.3. 불규칙한 형태의 주기력을 받는 계의 응답 = 370
4.4. 비주기력에 의한 응답 = 373
4.5. 컨볼루션 적분 = 373
4.5.1 충격에 의한 응답 = 374
4.5.2 일반 가진 조건에서의 응답 = 378
4.5.3 기초 가진에 의한 응답 = 379
4.6. 응답 스펙트럼 = 385
4.6.1 바닥 가진에 대한 응답 스펙트럼 = 388
4.6.2 지진에 대한 응답 스펙트럼 = 391
4.6.3 충격 환경에서의 설계 = 395
4.7. Laplace 변환 = 398
4.7.1. 천이응답과 정상상태 응답 = 398
4.7.2. 1차계 응답 = 398
4.7.3. 2차계 응답 = 400
4.7.4. 계단 가진에 대한 응답 = 405
4.7.5. 계단응답 해석 = 411
4.7.6. 천이응답 = 412
4.8. 수치해석 = 418
4.8.1. Runge-kutta법 = 419
4.9. 불규칙 가진에 대한 수치해석 = 421
4.10. MATLAB을 이용한 예제 = 425
요약 = 429
참고문헌 = 430
복습문제 = 431
연습문제 = 435
설계과제 = 455
제5장 2자유도계
5.1. 서론 = 458
5.2. 강제진동의 운동방정식 = 461
5.3. 비감쇠계의 자유진동 해석 = 463
5.4. 비틀림계 = 472
5.5. 좌표의 연성과 주좌표계 = 477
5.6. 강제진동 해석 = 484
5.7. 반한정계 = 487
5.8. 자려와 안정성 해석 = 490
5.9. 전달함수 접근법 = 492
5.10. Laplace 변환법을 이용한 풀이 = 494
5.11. 주파수전달함수를 이용한 풀이 = 502
5.12. MATLAB을 이용한 예제 = 505
요약 = 512
참고문헌 = 512
복습문제 = 513
연습문제 = 516
연구과제 = 540
제6장 다자유도계
6.1. 서론 = 544
6.2. 연속계의 다자유도계 모형화 = 545
6.3. Newton의 제2운동법칙을 이용한 운동방정식 유도 = 546
6.4. 영향계수 = 551
6.4.1. 강성영향계수 = 552
6.4.2. 유연영향계수 = 557
6.4.3. 관성영향계수 = 562
6.5.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행렬 형태 = 564
6.6. 일반좌표와 일반힘 = 566
6.7. Lagrange 방정식에 의한 운동방정식의 유도 = 568
6.8. 비감쇠계에 대한 행렬 형태의 운동방정식 = 571
6.9. 고유치 문제 = 573
6.10. 고유치 문제의 해 = 575
6.10.1. 특성방정식(다항식)의 해 = 576
6.10.2. 정규모드의 직교성 = 581
6.10.3. 중복 고유치 = 584
6.11. 전개 이론 = 587
6.12. 불구속계 = 588
6.13. 비감쇠계의 자유진동 = 592
6.14. 모드 해석을 이용한 비감쇠계의 강제진동 = 594
6.15. 점성감쇠계의 강제진동 = 602
6.16. 자려 가진과 안정성 해석 = 608
6.17. MATLAB을 이용한 예제 = 611
요약 = 619
참고문헌 = 620
복습문제 = 621
연습문제 = 625
설계과제 = 646
제7장 고유진동수와 모우드형의 계산
7.1. 서론 = 650
7.2. Dunkerley 공식 = 651
7.3. Rayleigh법 = 653
7.3.1. Rayleigh 상수의 성질 = 654
7.3.2. 기본진동수의 계산 = 656
7.3.3. 보와 축의 기본진동수 = 657
7.4. Holzer법 = 660
7.4.1. 비틀림 운동계 = 661
7.4.2. 스프링-질량계 = 664
7.5. 행렬반복법 = 665
7.5.1. 최고차 고유진동수에의 수렴 = 667
7.5.2. 중간차 고유진동수의 계산 = 668
7.6. Jacobi법 = 673
7.7. 표준 고유치 문제 = 675
7.7.1. Choleski 분해 = 676
7.7.2. 기타 해법 = 678
7.8. MATLAB을 이용한 예제 = 678
요약 = 681
참고문헌 = 682
복습문제 = 684
연습문제 = 687
설계과제 = 694
제8장 연속계
8.1. 서론 = 698
8.2. 현 또는 케이블의 횡진동 = 699
8.2.1. 운동방정식 = 699
8.2.2. 초기 조건과 경계 조건 = 700
8.2.3. 균일한 현의 자유진동 = 702
8.2.4. 양 끝이 고정된 현의 자유진동 = 702
8.2.5. 이동파 해 = 706
8.3. 봉 또는 막대의 종진동 = 708
8.3.1. 운동방정식과 해 = 708
8.3.2. 정규함수의 직교성 = 710
8.4. 축 또는 막대의 비틀림진동 = 715
8.5. 보의 횡진동 = 718
8.5.1. 운동방정식 = 718
8.5.2. 초기 조건 = 720
8.5.3. 자유진동 = 720
8.5.4. 경계 조건 = 722
8.5.5. 정규함수의 직교성 = 724
8.5.6. 강제진동 = 727
8.5.7. 축방향 힘의 영향 = 729
8.5.8. 회전관성과 전단변형의 영향 = 732
8.5.9. 그 외의 영향 = 736
8.6. 막의 진동 = 737
8.6.1. 운동방정식 = 737
8.6.2. 초기조건과 경계조건 = 738
8.7. Rayleigh법 = 740
8.8. Rayleigh - Ritz법 = 742
8.9. MATLAB을 이용한 예제 = 745
요약 = 748
참고문헌 = 748
복습질문 = 750
연습문제 = 754
설계과제 = 765
제9장 진동제어
9.1. 서론 = 768
9.2. 진동 노모그래프와 진동 허용 기준 = 769
9.3. 진동원에서의 진동 감소 = 773
9.4. 회전 기계의 평형잡기 = 774
9.4.1. 단일면 평형잡기 = 774
9.4.2. 양면 평형잡기 = 777
9.5. 회전축의 선회운동 = 782
9.5.1. 운동방정식 = 783
9.5.2. 임계속도 = 785
9.5.3. 시스템의 응답 = 785
9.5.4. 안정성 해석 = 787
9.6. 왕복 엔진의 평형잡기 = 789
9.6.1. 가스압력의 변동에 의한 불평형력 = 790
9.6.2. 운동부의 관성에 의한 불평형력 = 791
9.6.3. 왕복 엔진의 평형잡기 = 794
9.7. 진동제어 = 796
9.8. 고유진동수의 제어 = 796
9.9. 감쇠의 이용 = 797
9.10. 진동절연 = 799
9.10.1. 강체기반에서의 진동절연 = 801
9.10.2. 기초가 운동하는 진동절연계 = 811
9.10.3. 유연한 지지대에 설치된 진동절연계 = 818
9.10.4. 부분적으로 유연한 지지대를 가진 진동절연계 = 819
9.10.5. 충격절연 = 821
9.10.6. 능동 진동제어 = 824
9.11. 흡진기 = 829
9.11.1. 비감쇠 동흡진기 = 830
9.11.2. 감쇠기를 가진 동흡진기 = 836
9.12. MATLAB을 이용한 예제 = 840
요약 = 847
참고문헌 = 847
복습문제 = 850
연습문제 = 853
설계과제 = 867
제10장 진동 측정과 응용
10.1. 서론 = 870
10.2. 변환기 = 872
10.2.1. 가변저항 변환기 = 872
10.2.2. 압전변환기 = 875
10.2.3. 전동변환기 = 876
10.2.4. 차동변압변환기 = 877
10.3. 진동 감지기 = 878
10.3.1. 진동계 = 880
10.3.2. 가속도계 = 881
10.3.3. 속도계 = 884
10.3.4. 위상왜곡 = 885
10.4. 진동수 측정기기 = 888
10.5. 가진기 = 889
10.5.1. 기계식 가진기 = 889
10.5.2. 전동식 가진기 = 890
10.6. 신호해석 = 893
10.6.1. 스펙트럼 분석기 = 894
10.6.2. 대역 필터 = 894
10.6.3. 일정백분율대역폭 분석기와 일정대역폭 분석기 = 895
10.7. 기계 및 구조물의 동적 시험 = 897
10.7.1. 작동조건에서 처짐 형태의 측정 = 897
10.7.2. 모드 시험의 사용 = 897
10.8. 실험적 모드 해석 = 898
10.8.1. 기본 개념 = 898
10.8.2. 필요 장비 = 898
10.8.3. 디지털 신호 처리 = 900
10.8.4. 확률 신호의 분석 = 902
10.8.5. 관측된 피크로부터 모드 자료의 결정 = 905
10.8.6. Nyquist 선도로부터 모드 자료의 결정 = 907
10.8.7. 진동형의 측정 = 909
10.9. 기계 상태의 감시 및 진단 = 912
10.9.1. 진동 심각도 기준 = 912
10.9.2. 기계 유지 기법 = 912
10.9.3. 기계 상태 점검 기법 = 914
10.9.4. 진동 점검 기법 = 915
10.9.5. 장비 시스템 = 920
10.9.6. 점검 매개변수의 선택 = 922
10.10. MATLAB을 사용한 예제 = 922
요약 = 925
참고문헌 = 926
복습문제 = 927
연습문제 = 931
설계과제 = 936
제11장 수치적분법을 이용한 진동 해석
11.1. 서론 = 940
11.2. 유한차분법 = 940
11.3. 1자유도계에 대한 중앙차분법 = 941
11.4. 1자유도계에 대한 Runge - Kutta법 = 944
11.5. 다자유도계에 대한 중앙차분법 = 946
11.6. 연속계에서의 유한차분법 = 951
11.6.1 봉의 종진동 = 951
11.6.2 보의 횡진동 = 954
11.7. Runge - Kutta법에 의한 다자유도계 해석 = 959
11.8. Houbolt법 = 961
11.9. Wilson법 = 965
11.10. Newmark법 = 967
11.11. MATLAB을 이용하는 예제 = 971
요약 = 977
참고문헌 = 977
복습질문 = 979
연습문제 = 981
제12장 유한요소법
12.1. 서론 = 988
12.2. 요소의 운동방정식 = 988
12.3. 질량행렬, 강성행렬, 힘 벡터 = 990
12.3.1. 막대 요소 = 990
12.3.2. 비틀림 요소 = 993
12.3.3. 보 요소 = 994
12.4. 요소행렬 및 벡터의 변환 = 997
12.5. 유한요소로 구성된 완전한 계에 대한 운동방정식 = 1000
12.6. 경계 조건의 적용 = 1002
12.7. 일관 질량행렬과 집중 질량행렬 = 1010
12.7.1. 막대 요소의 집중 질량행렬 = 1011
12.7.2. 보 요소의 집중 질량행렬 = 1011
12.7.3. 집중 질량행렬 대 일관 질량행렬 = 1011
12.8. MATLAB을 이용한 예제 = 1014
요약 = 1018
참고문헌 = 1018
복습문제 = 1019
연습문제 = 1021
설계과제 = 1032
제13장 비선형진동
13.1. 서론 = 1036
13.2. 비선형진동의 예 = 1036
13.2.1. 단진자 = 1036
13.2.2. 채터와 벨트 마찰계 = 1038
13.2.3. 가변 질량계 = 1039
13.3. 엄밀해법 = 1039
13.4. 근사해법 = 1041
13.4.1. 기본 개념 = 1041
13.4.2. Lindstedt법= 1043
13.4.3. 반복법 = 1046
13.4.4. Ritz-Galerkin법 = 1049
13.5. 아조화 및 초조화진동 = 1052
13.5.1. 아조화진동 = 1052
13.5.2. 초조화진동 = 1055
13.6. 시변계수를 갖는 계 = 1056
13.7. 도식적 방법 = 1061
13.7.1. 위상 평면에서의 표현 = 1061
13.7.2. 위상 속도 = 1066
13.7.3. 궤적을 그리는 방법 = 1066
13.7.4. 위상평면 궤적들로부터 시간해를 구하는 방법 = 1068
13.8. 평형상태의 안정성 = 1069
13.8.1. 안정성 해석 = 1069
13.8.2. 특이점 분류 = 1071
13.9. Limit Cycle = 1073
13.10. 혼돈운동 = 1075
13.10.1. 안정 궤적을 갖는 함수 = 1076
13.10.2. 불안정 궤적을 갖는 함수 = 1077
13.10.3. 가진항이 없는 Duffing 방정식의 혼돈 운동 = 1078
13.10.4. 가진항을 갖는 Duffing 방정식의 혼돈 운동 = 1081
13.11. 수치해석 = 1083
13.12. MATLAB을 이용한 예제 = 1084
요약 = 1093
참고문헌 = 1094
복습문제 = 1096
연습문제 = 1099
설계과제 = 1106
제14장 확률진동
14.1. 서론 = 1110
14.2. 확률변수와 확률과정 = 1110
14.3. 확률분포 = 1111
14.4. 평균값과 표준편차 = 1113
14.5. 여러 확률변수의 결합확률분포 = 1115
14.6. 확률과정의 상관함수 = 1117
14.7. 정상확률과정 = 1117
14.8. Gauss 확률과정 = 1121
14.9. Fourier 해석 = 1123
14.9.1 Fourier 급수 = 1123
14.9.2 Fourier 적분 = 1126
14.10. 파워스펙트럼밀도 = 1130
14.11. 광대역과 협대역 과정 = 1132
14.12. 1자유도계의 응답 = 1134
14.12.1 임펄스응답 접근법 = 1135
14.12.2 주파수응답 접근법 = 1135
14.12.3 응답함수의 성질 = 1137
14.13. 정상확률 가진에 대한 응답 = 1138
14.13.1 임펄스응답 접근법 = 1138
14.13.2 주파수응답 접근법 = 1139
14.14. 다자유도계의 응답 = 1145
14.15. MATLAB을 이용한 예제 = 1152
요약 = 1155
참고문헌 = 1155
복습문제 = 1157
연습문제 = 1160
설계과제 = 1167
부록 A. 수학관계식 = A-1
부록 B. 보와 평판의 처짐 = A-5
부록 C. 행렬 = A-7
C.1 정의 = A-7
C.2 기본적인 행렬 연산 = A-12
부록 D. Laplace 변환 = A-15
D.1 정의 = A-15
D.2 도함수의 변환 = A-16
D.3 이동 정리 = A-17
D.4 부분분수법 = A-18
D.5 컨볼루션 적분 = A-20
부록 E. 단위 = A-25
단위의 환산 = A-25
부록 F. MATLAB의 소개 = A-29
F.1 변수 = A-30
F.2 배열과 행렬 = A-30
F.3 특별한 구조를 갖는 배열 = A-31
F.4 특별한 행렬 = A-31
F.5 행렬연산 = A-32
F.6 MATLAB에서의 함수 = A-32
F.7 복수수 = A-33
F.8 M-파일 = A-33
F.9 그래프의 도시 = A-34
F.10 비선형방정식의 근 = A-35
F.11 선형대수방정식의 해 = A-36
F.12 고유값 문제의 해 = A-37
F.13 미분 방정식의 해 = A-38
해답 = S-1
찾아보기 = I-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