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평생교육방법론

평생교육방법론 (Loan 2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성희, 저 송영선, 저 나항진, 저 황치석, 저 문정수, 저 박미숙, 저
Title Statement
평생교육방법론 / 박성희 [외]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3  
Physical Medium
445 p. : 삽화 ; 25 cm
ISBN
9788963309934
General Note
공저자: 송영선, 나항진, 황치석, 문정수, 박미숙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867camcc2200313 c 4500
001 000045742363
005 20130313190855
007 ta
008 130308s2013 ulka b 001c kor
020 ▼a 9788963309934 ▼g 93370
035 ▼a (KERIS)BIB000013080733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74 ▼2 23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13
245 0 0 ▼a 평생교육방법론 / ▼d 박성희 [외] 공저
246 1 1 ▼a Educational methods of lifelong learning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3
300 ▼a 445 p. : ▼b 삽화 ; ▼c 25 cm
500 ▼a 공저자: 송영선, 나항진, 황치석, 문정수, 박미숙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700 1 ▼a 박성희, ▼e▼0 AUTH(211009)69901
700 1 ▼a 송영선, ▼e▼0 AUTH(211009)99183
700 1 ▼a 나항진, ▼e▼0 AUTH(211009)79784
700 1 ▼a 황치석, ▼e▼0 AUTH(211009)19387
700 1 ▼a 문정수, ▼e▼0 AUTH(211009)36731
700 1 ▼a 박미숙, ▼e▼0 AUTH(211009)99184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13 Accession No. 11169017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사회가 산업화사회를 지나 지식정보화사회로 변하면서 구성주의는 교육 현장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였다. 산업화 시대에 강조되었던 집단화, 표준화, 보편화, 확실성의 개념들이 정보화 시대에는 개인화, 다양화, 창의성, 불확실성으로 대체되고 있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은 정보화 시대에 쌍방향적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면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개인 간의 관계가 수평적으로 변화하고 다원화 관계로 전환되며 신속한 정보 교류와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면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학습자가 소지하고 있는 개별적인 사고와 경험이 큰 가치를 지니게 되면서 구성주의 학습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구성주의는 세상에 이미 객관적으로 존재해 있는 지식이 아니라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인 학습방법을 통하여 직접 경험하고 의미를 파악해 나가는 과정으로 창의적이고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 갈 것을 강조한다. 지식사회에서 교수자는 학습자가 직접 탐구하는 과정을 통하여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지식과 새로운 지식을 결합하여 또 다른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 내도록 안내해야 한다.
평생학습을 실천하는 교육 현장에서는 학교 현장과는 다른 교육방법으로 학습자를 안내해야 한다. 평생학습 현장에서는 교사가 가르치는 지식을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교사 중심의 수업방법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자율적 활동이 촉진되어야 한다.
지식 습득의 과정을 중시하는 구성주의는 지식을 구성해 나가는 개인의 경험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상호 협력적인 활동을 통하여 구성된 지식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도 중시한다. 즉, 교육의 방법으로 개인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지식 탐구의 과정뿐만 아니라 타인과 경험을 공감하고 나누는 소통의 과정도 중시되어야 한다.
‘평생교육방법론’은 평생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수-학습을 위한 이론적 모델과 실천 전략을 안내하는 과목이다. 그 교재가 되는 이 책은 평생학습자를 지도하는 교수자가 알아야 할 구성주의 원칙에 기반한 다양한 교수법과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촉진하는 여러 학습기법을 안내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박성희(지은이)

·서울여자대학교 학사 ·독일 Georg-August 괴팅겐 대학교 교육학 석사 ·독일 Georg-August 괴팅겐 대학교 교육학 박사 ·전) 강원대학교, 공주대학교 연구교수 현) 공주대학교, 인하대학교 출강 【주요저서】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2004). 원미사. ·교육사회학(2011, 공저). 양서원. ·평생교육론(2010, 공저). 양서원. ·노인교육론(2011). 양서원. ·성인학습 및 상담(2012, 공저). 양서원. ·평생교육방법론(2013, 대표저자). 학지사. ·독일교육 왜 강한가?(2014). 살림터. ·Individuelle Modernisierungsprozesse im Alter und Generationsbeziehungen der Fraeun in Sudkorea(한국 여성의 노년과 세대관계로 살펴본 여성노인의 현대화과정) 【논문】 1. 소외 중학생의 직업 선택 과정 및 진로 탐색 교육 방안(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227-245. 2. 청소년 가해자의 생애사 재구성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방안(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1), 35-58. 3.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2011). 한국노년학, 31(2). 4. 노년기의 자기정체성 만들기와 비판적 제라고지의 의의(2010). 평생교육학연구, 16(4). 5. 노인의 학습경험에서 도출한 노인완성학습으로서의 노인학습 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2009). 평생교육학연구, 15(1). 6. 직업생애사에 기반한 고령층여성의 고용가능성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 방안(2009). 안드라고지 투데이, 12(4). 7. 여성노인의 젠더불평등 경험과 인식전환에 대한 연구(2008). 한국여성학, 24(4). 8.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 연구(2006). 평생교육학연구, 12(3). 9. 평생교육으로서의 연구방법론/생애사분석법(2003). 안드라고지 투데이, 6(1). go42431@hanmail.net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3
제1부 평생교육의 이론적 이해 
 제1장 평생교육방법과 패러다임 = 14
  1. 교육방법의 개념 = 16
  2. 교육방법의 영역 = 21
  3. 평생교육방법의 원칙 = 30
 제2장 평생교육방법의 기초 철학과 이론 = 38
  1. 평생교육방법의 기초 철학 = 40
  2. 평생교육방법의 기초 이론 = 46
 제3장 학습자 중심의 평생교육방법 = 56
  1. 학습자 중심의 교육방법 = 58
  2. 자기지시적 학습 = 69
  3. 자기조절학습과 교육방법 = 74
 제4장 문화예술을 위한 평생교육방법 = 92
  1. 에듀테인먼트 = 94
  2. 문화예술과 교육방법 = 99
  3. 유머를 이용한 교육방법 = 110
 제5장 시민사회를 위한 평생교육방법 = 118
  1. 대상집단 중심의 교육방법 = 120
  2. 미래를 위한 지식생산 공작소 = 128
  3. 시민사회와 시민교육 = 137
제2부 평생교육방법의 실제적 이해 
 제6장 문제 중심 교육방법 = 148
  1. 브레인스토밍 = 150
  2. 브레인라이팅 = 153
  3. KJ법 = 155
  4. 체크리스트법 = 157
  5. 결점 열거법 = 160
  6. 희망점 열거법 = 161
  7. 사례연구법 = 163
 제7장 사람 중심 교육방법 = 170
  1. 상담 기법 = 172
  2. 적극적 경청 = 176
  3. 나 전달법 = 180
  4. 피드백 = 184
  5. 역할연기 = 187
 제8장 기법 중심 교육방법 = 194
  1. 프레젠테이션 기법 = 196
  2. 토론 기법 = 204
  3. 퍼실리테이션 기법 = 210
 제9장 집단 중심 교육방법 = 220
  1. 강의법 = 222
  2. 액션러닝 = 230
  3. 감수성 훈련 = 237
제3부 생애 발달 단계별 평생교육방법 
 제10장 아동기 교육 = 246
  1. 아동기 학습의 특징 = 248
  2. 아동을 위한 평생교육기관 = 256
  3. 아동 교육방법 = 267
 제11장 청소년기 교육 = 274
  1.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 = 276
  2. 청소년기 학습의 특징 = 276
  3. 청소년기 학습지도의 관점 = 279
  4. 청소년을 위한 평생교육기관 = 281
  5. 청소년 교육방법 = 286
 제12장 성인기 교육 = 300
  1. 성인 학습자의 특징 = 302
  2. 성인을 위한 평생교육기관 = 312
  3. 성인 교육방법 = 317
 제13장 노년기 교육 = 322
  1. 노년기 학습의 특징 = 324
  2. 노인을 위한 평생교육기관 = 327
  3. 노인 교육방법 = 338
제4부 여성과 다문화 평생교육방법 
 제14장 여성과 평생교육방법 = 356
  1. 여성 평생교육의 특징 = 358
  2. 여성을 위한 평생교육기관 = 369
  3. 여성 평생교육방법 = 375
 제15장 다문화와 평생교육방법 = 388
  1. 다문화와 다문화교육의 이해 = 390
  2. 다문화사회, 다원적 시민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 397
  3. 다문화교육 = 400
  4. 다문화 형성의 배경과 사회적, 공간적 통합을 위한 평생교육 = 407
  5. 다문화가족 정책 및 동향 : 동화에서 융화로 = 414
  6. 외국의 사회통합 노력 사례 및 다문화정책 = 417
  7. 비전 : 포용사회로의 지향 = 431
찾아보기 = 43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