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64camcc2200313 c 4500 | |
001 | 000045742246 | |
005 | 20130311200719 | |
007 | ta | |
008 | 130308s2011 ggkad b 001c kor | |
020 | ▼a 9788936311964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2652284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372.0117 ▼2 23 |
085 | ▼a 372.0117 ▼2 DDCK | |
090 | ▼a 372.0117 ▼b 2011 | |
245 | 0 0 | ▼a 유아 다문화 교육 = ▼x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 / ▼d 이순형 [외] 지음 |
260 | ▼a 파주 : ▼b 교문사, ▼c 2011 | |
300 | ▼a xi, 275 p. : ▼b 삽화, 도표 ; ▼c 25 cm | |
500 | ▼a 공저자: 권미경, 최인화, 김미정, 김헤라, 권윤정 | |
500 | ▼a 부록: 2011년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 총 200개소 | |
504 | ▼a 참고문헌(p. 260-271)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이순형, ▼e 저 ▼0 AUTH(211009)5487 |
700 | 1 | ▼a 권미경, ▼e 저 ▼0 AUTH(211009)65183 |
700 | 1 | ▼a 최인화, ▼e 저 ▼0 AUTH(211009)2565 |
700 | 1 | ▼a 김미정, ▼e 저 ▼0 AUTH(211009)51988 |
700 | 1 | ▼a 김헤라, ▼e 저 ▼0 AUTH(211009)68634 |
700 | 1 | ▼a 권윤정, ▼e 저 ▼0 AUTH(211009)82084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0117 2011 | 등록번호 1116903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2.0117 2011 | 등록번호 11175294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이순형(지은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석사, 박사(아동학) 한국아동학회,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주요 저서: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2007, 공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2009, 공저),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2009, 공저), <한국아동의 일상생활문화>(2009), <한국인의 자아정체 형성과 변화>(2010), <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2011, 공저),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도덕성, 법의식과 권위 인식>(2014, 공저)

목차
목차 머리말 = ⅳ part 1 다문화 사회의 이해 chapter 1 다문화 사회의 개념과 특성 = 4 1. 다문화 사회의 개념 = 4 2. 다문화 사회의 유형 = 5 3. 다문화 사회의 특징 = 8 chapter 2 다문화 사회의 이론적 기초 = 12 1. 다문화 사회 통합의 관점 = 12 1) 차별적 배제주의 관점 = 12 2) 동화주의 관점 = 13 3) 다문화주의 관점 = 14 2. 다문화 사회에서의 문화적응 갈등 = 18 3. 다문화 사회에서의 문화적응 이론 = 20 1) 스트레스 대처 이론 = 21 2) 문화학습 이론 = 22 3) 사회정체성 이론 = 23 4) 문화적응 ABC 이론 = 23 5) 문화적응 발달 이론 = 25 4. 다문화 사회와 문화 정체성 = 26 1) 문화 정체성의 개념 = 27 2) 문화 정체성을 결정하는 요인 = 27 3) 문화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 = 28 chapter 3 한국 다문화 사회의 특성과 유아의 발달 = 32 1. 다문화 사회의 형성 배경 = 32 1) 사회변동으로 인한 초기 이주 = 32 2) 노동 이주 = 33 3) 결혼 이주 = 34 4) 탈북민의 귀화ㆍ정착 이주 = 36 2. 다문화 가정의 특성 = 37 1) 결혼이민자 가정의 특성 = 38 2) 이주노동자 가정의 특성 = 42 3) 탈북이주민 가정의 특성 = 45 3. 다문화 가정 유아의 발달특성 = 48 1) 언어 발달의 지체 = 48 2) 정체성 혼란 = 49 3) 차별 = 51 4. 다문화 가정의 당면 과제 = 52 chapter 4 유아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 56 1. 영유아기 발달특성과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 56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 58 part 2 다문화 교육의 내용 chapter 5 유아 다문화 교육의 개념 및 목표 = 66 1. 유아 다문화 교육의 개념 = 66 2. 유아 다문화 교육의 목표 = 70 chapter 6 유아 다문화 교육 접근방법 및 교육과정 = 76 1. 유아 다문화 교육 접근 = 77 1) 문화적 다양성을 억압하는 접근 = 77 2) 용광로 접근 = 78 3) 부가적 다문화 교육 접근 = 78 4) 이중언어ㆍ이중문화 접근 = 79 5) 반편견 접근과 다문화 교육 = 79 2. 유아 다문화 교육과정 = 80 1) 유아 다문화 교육과정 구성원리 = 81 2) 국가수준 유아 다문화 교육과정 = 83 chapter 7 유아 다문화 교육의 운영 = 90 1. 유아 다문화 교육과 교사 = 90 1) 교사의 신념이 실제 다문화 교육에 영향을 미친다 = 91 2) 교사의 신념이 일상 행동에 자연스럽게 반영된다 = 91 3) 교사의 특성이 다문화 교육 신념에 영향을 미친다 = 92 4) 교사의 기대가 유아의 행동과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 93 5) 다문화 교육은 교사 자신에게서 시작된다 = 93 2. 유아 다문화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 94 1) 유아의 발달특성에 대한 이해 = 95 2) 유아 다문화 교육을 지원하는 교수학습방법 = 97 3. 유아 다문화 교육의 환경 구성 = 103 1) 극놀이 영역 = 104 2) 쌓기놀이 영역 = 106 3) 언어 영역 = 106 4. 유아 다문화 교육과 가정 및 지역사회 연계 = 108 1) 가정과의 연계 = 109 2) 지역사회와의 협력 = 111 chapter 8 유아 다문화 교육의 평가 = 114 1. 유아 다문화 교육의 평가목적 = 114 2. 유아 다문화 교육의 평가방법 = 115 3. 유아 다문화 교육의 평가결과 활용 = 120 part 3 다문화 교육의 현황 chapter 9 유아 다문화 교육의 국가별 사례 = 126 1. 미국의 유아 다문화 교육 = 126 1) 미국 다문화 사회의 특성 = 126 2) 미국 다문화 교육의 목표와 정책 = 129 3) 미국의 다문화 교육 사례 = 129 4) 미국 다문화 교육의 시사점 = 133 2. 영국의 유아 다문화 교육 = 134 1) 영국 다문화 사회의 특성 = 134 2) 영국 다문화 교육의 목표와 정책 = 136 3) 영국의 다문화 교육 사례 = 137 4) 영국 다문화 교육의 시사점 = 139 3. 일본의 유아 다문화 교육 = 142 1) 일본 다문화 사회의 특성 = 142 2) 일본 다문화 교육의 목표와 정책 = 145 3) 일본의 다문화 교육 사례 = 147 4) 일본 다문화 교육의 시사점 = 148 chapter 10 국내 다문화 교육 정책 = 150 1. 교육 정책 및 교육 방향 = 150 2.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 실태 = 153 3. 다문화 교육 사례 = 155 part 4 다문화 교육의 실제 chpater 11 유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 170 1. 유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 170 2. 유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기본 원리 및 특성 = 173 1) 학습 준비도 향상을 위한 체계적 독해와 작문 활동 = 173 2) 표현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이야기 창작 활동 = 174 3)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언어적 문제해결 활동 = 175 4) 개념어 중심의 어휘 놀이 활동 = 175 5) 일상생활과의 연계를 통한 적응력 향상 교육 = 176 6) 한국어와 한글의 특성을 살린 체계적 교육 = 176 7) 한국어능력과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한 수준별 교육 = 177 8) 자발적 동기와 흥미, 확산적 사고를 촉진하는 유아중심 교육 = 177 9) 부모자녀통합 교육 = 178 10) 문화통합 교육 = 178 3. 유아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179 chapter 12 서울대 어린이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 184 1. 서울대 어린이 다문화 교육센터의 교육철학 = 184 2. 서울대 어린이 다문화 교육센터 교육목표 = 185 3. 서울대 어린이 다문화 교육센터 운영 = 186 1) 연간 운영일 및 운영시간 = 186 2) 입ㆍ퇴소 관리 = 187 3) 교육 프로그램 안내 = 187 4) 생활안내 = 192 4. 서울대 어린이 다문화 교육센터의 교육내용 = 196 1) 주제탐구표현활동 = 196 2) 다중언어 프로그램 = 201 3) 숲 활동 프로그램 = 211 4) 클럽활동 프로그램 = 216 chapter 13 국립국어원 다문화 한국어 프로그램 = 226 1. 이용자별 학습자료의 내용 = 227 1) 다문화 가정 유아용 한국어 방문 학습자료 = 227 2) 방문 교사용 자료 = 236 3) 다문화 가정 부모용 지도서 = 236 2. 다문화 가정 유아의 한국어 교육의 기대 효과와 실제 = 237 1) 다문화 가정 유아의 한국어 교육의 기대 효과 = 237 2) 다문화 가정 유아 한국어 학습자료 사례 = 240 부록 = 251 참고문헌 = 260 찾아보기 = 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