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Loan 14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근호, 연구책임 곽영순, 연구 이승미, 연구 최정순, 연구
Title Statement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 이근호 연구책임 ;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 공동연구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Physical Medium
xiv, 266 p. : 삽화, 도표 ; 26 cm
Series Statement
연구보고 ;RRC 2012-4
ISBN
978896687248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31-238)과 부록수록
000 01180namcc2200349 c 4500
001 000045742112
005 20130318214531
007 ta
008 130308s2012 ulkad b 000c kor
020 ▼a 9788966872480 ▼g 9337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eng
082 0 4 ▼a 375.006 ▼2 23
085 ▼a 375.006 ▼2 DDCK
090 ▼a 375.006 ▼b 1998a ▼c RRC2012-4
245 0 0 ▼a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 ▼d 이근호 연구책임 ; ▼e 곽영순, ▼e 이승미, ▼e 최정순 공동연구
246 1 1 ▼a Design of the competencies-based national curriculum for the future society
260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12
300 ▼a xiv, 266 p. : ▼b 삽화, 도표 ; ▼c 26 cm
490 1 0 ▼a 연구보고 ; ▼v RRC 2012-4
504 ▼a 참고문헌(p. 231-238)과 부록수록
700 1 ▼a 이근호, ▼e 연구책임 ▼0 AUTH(211009)118361
700 1 ▼a 곽영순, ▼e 연구 ▼0 AUTH(211009)62753
700 1 ▼a 이승미, ▼e 연구 ▼0 AUTH(211009)61580
700 1 ▼a 최정순, ▼e 연구 ▼0 AUTH(211009)85901
830 0 ▼a 연구보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C 2012-4
900 1 0 ▼a Lee, Keun-ho, ▼e 연구책임
900 1 0 ▼a Kwak, Young-sun, ▼e 연구
900 1 0 ▼a Lee, Seung-mi, ▼e 연구
900 1 0 ▼a Choi, Jung-soon, ▼e 연구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5.006 1998a RRC2012-4 Accession No. 11168995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2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3
2. 연구 내용 | 26
가. 미래 사회 변화 전망 및 미래 교육의 방향 진단 | 27
나. 핵심역량의 재구조화 | 27
다.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 구상 | 28
3. 연구 방법 | 29
가. 문헌 분석 | 29
나. 전문가 협의회 및 관계 전문가 심층면담 | 29
다. 델파이 조사 | 31
라. 설문조사 | 34
마. 워크숍 및 정책포럼 개최 | 37

Ⅱ.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의 방향 탐색 | 39
1. 미래 사회 변화 전망 | 42
가. 미래 사회 관련 선행 연구 | 42
나. 미래 사회의 변화 방향 | 51
2. 미래 교육의 방향 | 62
가. 메가트렌드별 교육 요구 | 62
나. 미래 교육 요구에 대한 현장 조사 | 74
3. 소결 | 81

Ⅲ. 미래 학교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 85
1. 미래 교육환경 변화와 핵심역량의 관계 | 87
2. 핵심역량 재구조화의 필요성 | 89
가. 핵심역량의 의미와 특징 | 89
나.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핵심역량의 타당성 점검 | 93
다. 추가되어야 할 핵심역량 구성요소 | 96
3. 핵심역량의 3가지 대범주 | 98
가. 인성 역량 | 100
나. 지적 역량 | 107
다. 사회적 역량 | 110
라. 핵심역량 대범주의 적절성: 델파이 조사 결과 | 113
마. 핵심역량 대범주의 적절성: 설문조사 결과 | 119
4. 핵심역량 대범주별 구성요소 | 120
가. 인성 역량 | 120
나. 지적 역량 | 123
다. 사회적 역량 | 125
5. 메가트렌드별로 요구되는 핵심역량 | 127
가. 인성 역량 | 131
나. 지적 역량 | 135
다. 사회적 역량 | 142
6. 소결 | 148

Ⅳ.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구상 | 151
1.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위상과 역할 | 153
가. 해외 사례를 통해서 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 153
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조사 | 158
다. 학교교육에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위상과 역할 | 164
2.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 편성 방안 | 171
가. 핵심역량 제시 방식 | 172
나. 목표 설정 | 173
다. 영역 구성 | 176
라. 교과 교육과정 | 178
마. 운영 | 180
3.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구상 | 182
가.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상의 필요성 | 182
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구상 방향 | 185
다.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구상 방안 | 193
4. 소결 | 216

Ⅴ. 요약 및 정책 제언 | 219
1. 요약 | 221
가. 서론 | 221
나.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의 방향 탐색 | 222
다. 미래 학교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 223
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구상 | 225
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안) | 227
가.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 편성 방안 | 227
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구상(안) | 231
3. 정책 제언 | 235

* 참고문헌 | 251

* ABSTRACT | 259

* 부록 | 263
[부록 1] 델파이 조사지(1차): 미래 사회 대비 초·중등 교육과정의 비전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지 | 265
[부록 2] 델파이 조사지(2차): 미래 사회 대비 초·중등 교육과정의 비전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지 | 274
[부록 3] 설문지: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 구상에대한 의견 조사 | 28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