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2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3
2. 연구 내용 | 26
가. 미래 사회 변화 전망 및 미래 교육의 방향 진단 | 27
나. 핵심역량의 재구조화 | 27
다.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 구상 | 28
3. 연구 방법 | 29
가. 문헌 분석 | 29
나. 전문가 협의회 및 관계 전문가 심층면담 | 29
다. 델파이 조사 | 31
라. 설문조사 | 34
마. 워크숍 및 정책포럼 개최 | 37
Ⅱ.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의 방향 탐색 | 39
1. 미래 사회 변화 전망 | 42
가. 미래 사회 관련 선행 연구 | 42
나. 미래 사회의 변화 방향 | 51
2. 미래 교육의 방향 | 62
가. 메가트렌드별 교육 요구 | 62
나. 미래 교육 요구에 대한 현장 조사 | 74
3. 소결 | 81
Ⅲ. 미래 학교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 85
1. 미래 교육환경 변화와 핵심역량의 관계 | 87
2. 핵심역량 재구조화의 필요성 | 89
가. 핵심역량의 의미와 특징 | 89
나. 선행연구에서 도출된 핵심역량의 타당성 점검 | 93
다. 추가되어야 할 핵심역량 구성요소 | 96
3. 핵심역량의 3가지 대범주 | 98
가. 인성 역량 | 100
나. 지적 역량 | 107
다. 사회적 역량 | 110
라. 핵심역량 대범주의 적절성: 델파이 조사 결과 | 113
마. 핵심역량 대범주의 적절성: 설문조사 결과 | 119
4. 핵심역량 대범주별 구성요소 | 120
가. 인성 역량 | 120
나. 지적 역량 | 123
다. 사회적 역량 | 125
5. 메가트렌드별로 요구되는 핵심역량 | 127
가. 인성 역량 | 131
나. 지적 역량 | 135
다. 사회적 역량 | 142
6. 소결 | 148
Ⅳ.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구상 | 151
1.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위상과 역할 | 153
가. 해외 사례를 통해서 본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 153
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조사 | 158
다. 학교교육에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위상과 역할 | 164
2.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 편성 방안 | 171
가. 핵심역량 제시 방식 | 172
나. 목표 설정 | 173
다. 영역 구성 | 176
라. 교과 교육과정 | 178
마. 운영 | 180
3.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구상 | 182
가.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구상의 필요성 | 182
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구상 방향 | 185
다.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의 구상 방안 | 193
4. 소결 | 216
Ⅴ. 요약 및 정책 제언 | 219
1. 요약 | 221
가. 서론 | 221
나. 미래 사회 변화에 따른 교육의 방향 탐색 | 222
다. 미래 학교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 탐색 | 223
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구상 | 225
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안) | 227
가.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 편성 방안 | 227
나.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 구상(안) | 231
3. 정책 제언 | 235
* 참고문헌 | 251
* ABSTRACT | 259
* 부록 | 263
[부록 1] 델파이 조사지(1차): 미래 사회 대비 초·중등 교육과정의 비전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지 | 265
[부록 2] 델파이 조사지(2차): 미래 사회 대비 초·중등 교육과정의 비전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지 | 274
[부록 3] 설문지: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미래 국가 교육과정 구상에대한 의견 조사 | 2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