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교육평가 : 이해와 적용 / 수정·보완판

교육평가 : 이해와 적용 / 수정·보완판 (Loan 3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도순, 저 권순달, 저 김명화, 金明和, 1963-, 저 김영애, 저
Title Statement
교육평가 : 이해와 적용 / 박도순 [외] 저
판사항
수정·보완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교육과학사,   2012   (2013)  
Physical Medium
358 p. : 삽화 ; 25 cm
ISBN
9788925406060
General Note
공저자: 권순달, 김명화, 김영애 외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48-353)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41988
005 20230816150251
007 ta
008 130307s2012 ggka b 001c kor
020 ▼a 9788925406060 ▼g 93370
035 ▼a (KERIS)BIB000012914582
040 ▼a 249002 ▼c 249002 ▼d 211009
082 0 4 ▼a 371.26 ▼2 23
085 ▼a 371.26 ▼2 DDCK
090 ▼a 371.26 ▼b 2012z34
245 0 0 ▼a 교육평가 : ▼b 이해와 적용 / ▼d 박도순 [외] 저
246 1 1 ▼a Education evaluation
250 ▼a 수정·보완판
260 ▼a 파주 : ▼b 교육과학사, ▼c 2012 ▼g (2013)
300 ▼a 358 p. : ▼b 삽화 ; ▼c 25 cm
500 ▼a 공저자: 권순달, 김명화, 김영애 외
504 ▼a 참고문헌(p. 348-353)과 색인수록
700 1 ▼a 박도순, ▼e
700 1 ▼a 권순달, ▼e
700 1 ▼a 김명화, ▼g 金明和, ▼d 1963-, ▼e▼0 AUTH(211009)102182
700 1 ▼a 김영애,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2z34 Accession No. 11169002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26 2012z34 Accession No. 11174190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교육평가의 이해
 1. 교육관과 평가 = 13
  1.1 선발적 교육관 = 14
  1.2 발달적 교육관 = 15
  1.3 인본주의적 교육관 = 16
 2. 교육평가의 개념과 기능 = 18
  2.1 교육평가의 개념 = 18
  2.2 교육평가의 재개념화 = 20
  2.3 학교 교육평가의 기능= 23
  2.4 수행평가의 시대적 요청 = 25
  2.5 교사의 평가권 회복 = 26
  2.6 교육평가 영역의 확장 = 27
 3. 교육평가관 = 30
  3.1 측정관 = 31
  3.2 평가관 = 32
  3.3 총평관 = 33
  3.4 교육평가관의 비교 = 35
 4. 교육평가의 유형 = 37
  4.1 평가기능에 따른 평가의 유형= 37
  4.2 참조 유형에 따른 평가의 유형= 44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1. 타당도 = 55
  1.1 전통적 관점 = 56
  1.2 통합적 관점 = 61
 2. 신뢰도 = 66
  2.1 신뢰도의 정의 = 66
  2.2 신뢰도의 종류 = 67
  2.3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74
제3장 문항 제작
 1. 문항 제작의 기초 = 77
  1.1 문항의 요건 = 78
  1.2 문항의 유형 = 79
  1.3 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 92
 2. 선택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05
  2.1 진위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05
  2.2 연결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08
  2.3 선다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10
 3. 서답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21
  3.1 단답형ㆍ완성형 문항 제작상의 유의점 = 121
  3.2 논술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24
  3.3 서답형 문항 채점 상의 유의점 = 129
제4장 문항분석 및 점수 보고
 1. 문항분석 = 136
  1.1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136
  1.2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149
 2. 점수 보고 = 160
  2.1 원점수(raw score) = 160
  2.2 규준점수 = 162
  2.3 문항반응이론에서의 검사 점수 = 169
  2.4 준거점수 = 170
제5장 표준화검사와 컴퓨터화검사
 1. 표준화 검사 = 173
  1.1 표준화 검사의 개념 = 173
  1.2 표준화검사의 유형 = 174
  1.3 표준화 검사의 제작 절차 = 177
  1.4 표준화 검사의 활용 = 178
 2. 컴퓨터화 검사 = 179
  2.1 컴퓨터화 검사 = 179
  2.2 컴퓨터화 검사의 발달 = 181
  2.3 컴퓨터이용검사 = 182
  2.4 컴퓨터개별적응검사 = 186
제6장 수행평가
 1. 수행평가의 성격 = 193
  1.1 수행평가의 개념 = 193
  1.2 수행평가의 유사용어 = 196
  1.3 수행평가의 특징 = 197
 2. 수행평가 방법 = 199
  2.1 논술형 검사= 200
  2.2 포트폴리오법 = 200
  2.3 관찰법 = 203
  2.4 면접법 = 204
  2.5 구술시험 = 206
  2.6 연구보고서법 = 207
  2.7 토론법 = 208
  2.8 실기시험 = 209
  2.9 실험ㆍ실습법 = 210
  2.10 컴퓨터 시뮬레이션 = 212
  2.11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보고서법 = 212
 3. 수행평가 과제의 개발과 시행 = 214
  3.1 평가 목적과 방향 설정 = 214
  3.2 수행 과제의 상세화 = 216
  3.3 수행 평가의 시행 = 218
  3.4 평정과 채점 = 219
제7장 정의적 특성의 평가
 1. 정의적 특성 평가의 이해 = 223
  1.1 정의적 특성의 기본 개념 = 223
  1.2 정의적 특성 평가의 필요성 = 228
  1.3 정의적 특성의 조작적 정의 = 231
 2. 정의적 특성 교육목표의 분류 = 234
  2.1 Krathwhol, Bloom,&Masia의 분류 = 234
  2.2 Anderson의 분류 = 235
 3. 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 236
  3.1 관찰법 = 237
  3.2 자기보고법 = 238
  3.3 동료평정법 = 341
 4. 정의적 특성의 척도화 기법 = 242
  4.1 유시동간척도(Equal appearing interval scale: Thurstone 척도) = 244
  4.2 총합평정척도(Summated rating scale: Likert 척도) = 246
  4.3 척도분석법(scalogram analysis: Guttman 척도) = 249
  4.4 의미변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 252
제8장 평가와 입시
 1. 학교생활기록 = 257
  1.1 학교생활기록부의 의의와 도입 배경 = 258
  1.2 학교생활기록의 변화 과정과 현행 제도 = 262
  1.3 학교생활기록의 발전 방향 = 267
 2.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학별고사 = 270
  2.1 대학입학시험의 의의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도입 배경 = 270
  2.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과 발전 방향 = 274
 3. 대학별고사 = 284
  3.1 대학별고사의 의의 = 284
  3.2 대학별고사의 종류와 특징 = 285
  3.3 대학별고사의 변천 과정 = 290
  3.4 대학별고사의 발전 방향 = 294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1. 교육평가의 과제 = 295
  1.1 이론적 측면 = 295
  1.2 실제적 측면 = 301
 2. 교육평가의 전망 = 305
  2.1 개선 방향 = 305
  2.2 미래의 교육평가= 308
 3. 평가의 확대 = 314
  3.1 평가의 대중화 = 314
  3.2 평가의 정교화 = 315
  3.3 평가의 비전 = 317
부록 : 기초통계
 1. 교육평가에서 통계의 역할과 필요성 = 319
 2. 빈도분포와 그래프 = 321
  2.1 빈도분포 = 321
  2.2 그래프 = 326
 3. 집중경향값 = 330
  3.1 평균 = 330
  3.2 중앙값 = 331
  3.3 최빈값 = 332
 4. 분산도 = 332
  4.1 사분위 편차 = 333
  4.2 분산 및 표준편차 = 335
 5. 표준점수와 정규분포 = 337
  5.1 표준점수 = 337
  5.2 정규분포 = 339
 6. 상관관계 = 340
  6.1 상관관계의 의미와 산포도 = 341
  6.2 상관관계의 계산 = 342
  6.3 상관관계의 해석 = 344
참고문헌 = 348
찾아보기 = 35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