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평가의 이해
1. 교육관과 평가 = 13
1.1 선발적 교육관 = 14
1.2 발달적 교육관 = 15
1.3 인본주의적 교육관 = 16
2. 교육평가의 개념과 기능 = 18
2.1 교육평가의 개념 = 18
2.2 교육평가의 재개념화 = 20
2.3 학교 교육평가의 기능= 23
2.4 수행평가의 시대적 요청 = 25
2.5 교사의 평가권 회복 = 26
2.6 교육평가 영역의 확장 = 27
3. 교육평가관 = 30
3.1 측정관 = 31
3.2 평가관 = 32
3.3 총평관 = 33
3.4 교육평가관의 비교 = 35
4. 교육평가의 유형 = 37
4.1 평가기능에 따른 평가의 유형= 37
4.2 참조 유형에 따른 평가의 유형= 44
제2장 평가도구의 질 판단 기준
1. 타당도 = 55
1.1 전통적 관점 = 56
1.2 통합적 관점 = 61
2. 신뢰도 = 66
2.1 신뢰도의 정의 = 66
2.2 신뢰도의 종류 = 67
2.3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 74
제3장 문항 제작
1. 문항 제작의 기초 = 77
1.1 문항의 요건 = 78
1.2 문항의 유형 = 79
1.3 문항 및 검사의 제작 절차 = 92
2. 선택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05
2.1 진위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05
2.2 연결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08
2.3 선다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10
3. 서답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21
3.1 단답형ㆍ완성형 문항 제작상의 유의점 = 121
3.2 논술형 문항 제작 상의 유의점 = 124
3.3 서답형 문항 채점 상의 유의점 = 129
제4장 문항분석 및 점수 보고
1. 문항분석 = 136
1.1 고전검사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136
1.2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 = 149
2. 점수 보고 = 160
2.1 원점수(raw score) = 160
2.2 규준점수 = 162
2.3 문항반응이론에서의 검사 점수 = 169
2.4 준거점수 = 170
제5장 표준화검사와 컴퓨터화검사
1. 표준화 검사 = 173
1.1 표준화 검사의 개념 = 173
1.2 표준화검사의 유형 = 174
1.3 표준화 검사의 제작 절차 = 177
1.4 표준화 검사의 활용 = 178
2. 컴퓨터화 검사 = 179
2.1 컴퓨터화 검사 = 179
2.2 컴퓨터화 검사의 발달 = 181
2.3 컴퓨터이용검사 = 182
2.4 컴퓨터개별적응검사 = 186
제6장 수행평가
1. 수행평가의 성격 = 193
1.1 수행평가의 개념 = 193
1.2 수행평가의 유사용어 = 196
1.3 수행평가의 특징 = 197
2. 수행평가 방법 = 199
2.1 논술형 검사= 200
2.2 포트폴리오법 = 200
2.3 관찰법 = 203
2.4 면접법 = 204
2.5 구술시험 = 206
2.6 연구보고서법 = 207
2.7 토론법 = 208
2.8 실기시험 = 209
2.9 실험ㆍ실습법 = 210
2.10 컴퓨터 시뮬레이션 = 212
2.11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보고서법 = 212
3. 수행평가 과제의 개발과 시행 = 214
3.1 평가 목적과 방향 설정 = 214
3.2 수행 과제의 상세화 = 216
3.3 수행 평가의 시행 = 218
3.4 평정과 채점 = 219
제7장 정의적 특성의 평가
1. 정의적 특성 평가의 이해 = 223
1.1 정의적 특성의 기본 개념 = 223
1.2 정의적 특성 평가의 필요성 = 228
1.3 정의적 특성의 조작적 정의 = 231
2. 정의적 특성 교육목표의 분류 = 234
2.1 Krathwhol, Bloom,&Masia의 분류 = 234
2.2 Anderson의 분류 = 235
3. 정의적 특성의 평가방법 = 236
3.1 관찰법 = 237
3.2 자기보고법 = 238
3.3 동료평정법 = 341
4. 정의적 특성의 척도화 기법 = 242
4.1 유시동간척도(Equal appearing interval scale: Thurstone 척도) = 244
4.2 총합평정척도(Summated rating scale: Likert 척도) = 246
4.3 척도분석법(scalogram analysis: Guttman 척도) = 249
4.4 의미변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 252
제8장 평가와 입시
1. 학교생활기록 = 257
1.1 학교생활기록부의 의의와 도입 배경 = 258
1.2 학교생활기록의 변화 과정과 현행 제도 = 262
1.3 학교생활기록의 발전 방향 = 267
2.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학별고사 = 270
2.1 대학입학시험의 의의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도입 배경 = 270
2.2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화 과정과 발전 방향 = 274
3. 대학별고사 = 284
3.1 대학별고사의 의의 = 284
3.2 대학별고사의 종류와 특징 = 285
3.3 대학별고사의 변천 과정 = 290
3.4 대학별고사의 발전 방향 = 294
제9장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
1. 교육평가의 과제 = 295
1.1 이론적 측면 = 295
1.2 실제적 측면 = 301
2. 교육평가의 전망 = 305
2.1 개선 방향 = 305
2.2 미래의 교육평가= 308
3. 평가의 확대 = 314
3.1 평가의 대중화 = 314
3.2 평가의 정교화 = 315
3.3 평가의 비전 = 317
부록 : 기초통계
1. 교육평가에서 통계의 역할과 필요성 = 319
2. 빈도분포와 그래프 = 321
2.1 빈도분포 = 321
2.2 그래프 = 326
3. 집중경향값 = 330
3.1 평균 = 330
3.2 중앙값 = 331
3.3 최빈값 = 332
4. 분산도 = 332
4.1 사분위 편차 = 333
4.2 분산 및 표준편차 = 335
5. 표준점수와 정규분포 = 337
5.1 표준점수 = 337
5.2 정규분포 = 339
6. 상관관계 = 340
6.1 상관관계의 의미와 산포도 = 341
6.2 상관관계의 계산 = 342
6.3 상관관계의 해석 = 344
참고문헌 = 348
찾아보기 =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