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69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741594 | |
005 | 20130306170710 | |
007 | ta | |
008 | 130305s2010 ulka 000c kor | |
020 | ▼a 9788994159102 ▼g 04810 | |
020 | 1 | ▼a 9788996168607 (세트) |
035 | ▼a (KERIS)BIB000012151530 | |
040 | ▼d 242002 ▼d 211009 | |
082 | 0 4 | ▼a 331.6209519 ▼2 23 |
085 | ▼a 331.620953 ▼2 DDCK | |
090 | ▼a 331.620953 ▼b 2010 | |
100 | 1 | ▼a Alam, Mahbub, ▼d 1977- ▼0 AUTH(211009)127743 |
245 | 1 0 | ▼a 나는 지구인이다 / ▼d 마붑 알엄 |
260 | ▼a 서울 : ▼b 텍스트, ▼c 2010 | |
300 | ▼a 206 p. : ▼b 삽화 ; ▼c 21 cm | |
440 | 0 0 | ▼a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 = ▼x Story of young men in our age ; ▼v 015 |
500 | ▼a 아주 낯선 이주노동자 | |
900 | 1 0 | ▼a 알엄, 마붑, ▼e 저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620953 2010 | 등록번호 11168980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 15권은 영화 [반두비]의 주인공으로 얼굴을 알린, 방글라데시에서 온 이주민 마붑 알엄의 이야기다. 공장 노동자에서 노동운동가, 영화감독, 영화배우까지 변신에 변신을 거듭한 그는 한국인 아내와의 러브 스토리를 들려주며 외국인을 향한 이중적인 시선도 지적한다.
특히, 이 책은 마붑 알엄의 구술을 바탕으로 완성되었다. 편집자는 2개월이 넘는 시간을 들여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녹취된 내용을 정리하여 책으로 낼 수 있었다. 피부색, 계급으로 찢긴 소수자들의 연대와 소통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 5차분 출간!
이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자화상을 모아 ‘지금 그리고 여기’의 젊은 풍경을 그려 내고자 하는 도서출판 텍스트의 우리 시대 젊은 만인보(이하 우시만보) 시리즈 5차분이 독자들을 만나게 되었다. 이로써 우시만보 시리즈는 기존에 출간된 13권에 이어 이정학의 《두 번의 탈출, 하나의 꿈》, 마붑 알엄의 《나는 지구인이다》, 한음파의 《수상한 음파탐지기》로 총 16권을 갖추게 되었다.
탈북자 출신인 이정학은 《두 번의 탈출, 하나의 꿈》을 통해 한국에 들어오기까지의 험난한 여정을 보여 준다.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던 북한의 열악한 현실, 가짜 신분증으로 생활하던 외로운 중국 생활, 그리고 한국에서 부딪힌 현실의 벽까지. 국경을 두 번이나 넘어 정착한 한국 땅에서 그는 ‘폐타이어’를 꿈꾼다. 배와 부두 사이에서 충격을 완화해 주는 폐타이어처럼 남과 북 사이에서 이 책이 폐타이어 역할을 하길 바란다.
마붑 알엄은 영화 <반두비>의 주인공으로 얼굴을 알린, 방글라데시에서 온 이주민이다. 공장 노동자에서 노동운동가, 영화감독, 영화배우까지 변신에 변신을 거듭한 마붑 알엄은 《나는 지구인이다》에서 새로운 ‘코리안 드림’을 이야기한다. 한국인 아내와의 러브 스토리를 들려주며 외국인을 향한 이중적인 시선도 지적한다. 특히, 이 책은 마붑 알엄의 구술을 바탕으로 완성되었다. 담당 편집자는 2개월이 넘는 시간을 들여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녹취된 내용을 정리하여 《나는 지구인이다》를 완성했다.
《수상한 음파탐지기》는 ‘한음파’라는 밴드에서 활동하는 네 명의 젊은이들(박종근, 이정훈, 백승엽, 장혁조) 각자의 이야기를 담았다. 2001년 잠정적인 휴식에 들어가 2007년 다시 부활하기까지 6년 동안의 공백을 겪었던 한음파의 멤버들은 결국 ‘음악’이라는 끈을 놓지 못했던 과거의 시간들을 털어놓는다. 먼 길을 돌고 돌아 다시 한음파로 돌아온 이들의 밴드를 향한 열정이 이 책 안에 들어 있다.
다문화 시대에 다양한 젊은이들의 목소리를 듣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우시만보를 만나 보기를 권한다. 그리고 그곳에서 우리 시대의 젊은 꿈과 희망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들어가는 글 = 3 이주민으로 태어나다 = 9 너 비하리 맞지? = 15 강변의 진보운동 = 21 중국 찍고, 홍콩 찍고…… 언제 한국으로? = 30 예쁜 나라 한국과 24시간 반짝이 공장 = 41 갈비탕과 3개월짜리 비자 = 46 어머니가 돌아가셨대! = 53 내 손가락은? 내 퇴직금은? = 59 이주노동자 공동체 생활 = 63 우리의 입으로 말하게 하라 = 68 연대의 시작 = 72 2002년, 그리고 380일의 농성 = 75 농성장 뉴스를 말씀드리겠습니다! = 81 날마다 비명, 그리고 사라지는 사람들 = 86 필요한 운동과 좋아하는 운동 = 91 이주노동자들의 백분토론 = 103 쫓겨난 사람들을 뒤따르다 = 116 영화배우가 되다 = 127 좋은 친구, 반두비 = 133 투쟁할 때와 사랑할 때 = 139 싸우면서 사랑하다 = 148 결혼식 없는 결혼, 그리고 돼지고기 = 158 외국인 남자와 한국인 여자 = 167 종교와 전쟁 = 174 질문하는 외국인 남자 = 183 나는 지구인이다 = 189 우시만보 릴레이 인터뷰 =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