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4
3. 연구 방법 및 절차 = 5
4. 개념 정의 = 7
Ⅱ. 현황분석 및 선행연구의 정책제안 = 9
1. 학교 현황 개요 = 9
2. 문제의 제기 = 10
3. 선행 연구의 분석 = 11
가. 선행 연구 A = 12
나. 선행 연구 B = 14
다. 정책제안 및 현황 비교 = 21
Ⅲ. 교사의 근무조건 국제비교 = 22
1. 교사 1인당 학생수 및 학급 규모 = 22
가. 교사 1인당 학생수 = 24
나. 학급 규모 = 24
2. 교원 주당 근무시간과 연간 수업일수 = 25
가. 교사 1인당 주당·연간 수업일수 및 방학기간 = 27
나. 교원의 주당 수업 시간 수 = 29
Ⅳ. 여론조사결과 분석 및 논의 = 31
1. 조사 결과 분석 = 31
가. 조사 영역 및 내용 = 31
나. 조사 방법 및 절차 = 31
다. 질문지 조사 결과 = 32
2. 논의 = 43
Ⅴ. 교사의 직무 분석 = 49
1. 초등학교 교사 = 49
가. 초등학교 교사의 업무와 시간 = 49
나. 전교조가 주관한 조사 결과 = 52
다. 초등교사의 하루 = 56
2. 중학교 = 57
가. 담임활동 = 58
나. 수업 -교과지도활동 = 67
3. 고등학교 = 72
가. 교사의 역할과 직무 = 72
나. 고등학교 부장교사와 담임교사의 직무분석 = 79
4. 직무분석 종합 = 89
Ⅵ. 표준 수업시수(안) 설정 = 93
1. 표준 수업시수 설정 = 93
가. 표준 수업 시수 설정 기준 = 93
나. 표준 수업 시간 수 설정 = 95
2. 표준 수업 시수 실천 전략 = 98
가. 전제 조건 = 98
나. 표준 수업 시수 결정을 위한 노사 합의 = 103
다. 단계적 적용의 필연성 = 104
Ⅶ. 요약 및 결론 = 109
1. 요약 = 109
2. 현황분석 및 선행연구의 정책제안 = 109
3. 교사의 근무 여건 국제 비교 = 111
4. 여론 조사 결과 분석 및 논의 = 112
5. 교사의 직무 분석 = 114
6. 표준 수업 시수(안) = 115
참고문헌 = 116
부록 = 118
부록Ⅰ : 서울시 교원 주당수업시수 의견 조사지 = 118
부록Ⅱ : 서울시 교원 의견 조사지에 기입하여 보낸 기타 의견 = 124
부록Ⅲ : 시도별 교원 1인당 주당 수업시간수별 교원수 = 130
부록Ⅳ : 정책협의회 토론 내용 = 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