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9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수상
서명 / 저자사항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 이수상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논형,   2012  
형태사항
370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총서 ;2
ISBN
9788963571409
서지주기
참고문헌(p. 350-360)과 색인수록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39840
005 20180828142050
007 ta
008 130218s2012 ulka b 001c kor
020 ▼a 9788963571409 ▼g 94300
035 ▼a (KERIS)BIB000013058655
040 ▼a 211048 ▼c 211048 ▼d 211009
082 0 4 ▼a 302.4 ▼2 23
085 ▼a 302.4 ▼2 DDCK
090 ▼a 302.4 ▼b 2012z1
100 1 ▼a 이수상 ▼0 AUTH(211009)130826
245 1 0 ▼a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 ▼d 이수상 지음
246 1 1 ▼a Network analysis methods
260 ▼a 서울 : ▼b 논형, ▼c 2012
300 ▼a 370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총서 ; ▼v 2
504 ▼a 참고문헌(p. 350-360)과 색인수록
900 1 0 ▼a Lee, Soo-Sang,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12z1 등록번호 11168855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2.4 2012z1 등록번호 12122348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1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3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12z1 등록번호 1310508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12z1 등록번호 111688550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7-0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302.4 2012z1 등록번호 121223487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1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302.4 2012z1 등록번호 1310508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최근 들어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적 영역에서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네트워크의 분석에 관한 논의는 크게 사회과학 영역에서 사회 네트워크 분석, 문헌정보학 영역에서는 지식 네트워크 분석, 그리고 보다 학제적인 영역이라 할 수 있는 복잡계 네트워크 분석 등으로 구분되어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이론과 방법들을 살펴보고, 관련된 개념(용어)과 지표 등을 정리하며, 하나의 연구방법론적 관점에서 통합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방법론을 체계화하고 있다.

21세기는 초연결 사회(hyper connected society) 또는 초연결 시대라 한다. 대규모의 노드가 언제 어디에 있든지 항상 연결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사회라는 의미이다. 네트워크에서의 연결을 떠나서는 사회적 행동이 어려울 정도로 네트워크의 연결성이 중시되고 있다. 이러한 초연결성은 온라인 상에서 소셜미디어가 주도하고 있다. 어느 사이엔가 현실 세계에서 관계를 맺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이전에 이미 알고 지냈던 사람들이 온라인으로 연결이 되어 버린 것이다. 네트워크 과학은 이러한 초연결 사회에서의 정보학(information science)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초연결 사회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유형의 복잡계 현상들을 네트워크로 정보화하여 그 속에 내재된 복잡한 특성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 책은 최근 들어 사회과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학문적 영역에서 새로운 연구방법론으로서 주목을 받고 있는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에 대한 이론과 실제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네트워크의 분석에 관한 논의는 크게 사회과학 영역에서 사회 네트워크 분석, 문헌정보학 영역에서는 지식 네트워크 분석, 그리고 보다 학제적인 영역이라 할 수 있는 복잡계 네트워크 분석 등으로 구분되어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는 다양한 이론과 방법들을 살펴보고, 관련된 개념(용어)과 지표 등을 정리하며, 하나의 연구방법론적 관점에서 통합하고자 하는 시도로서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방법론을 체계화하고 있다.

최근의 사회과학 영역에서는 사회적 현상을 관계의 네트워크로 표현하고 그것의 특성들을 분석하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이라는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부각되고 있다. 문헌정보학에서는 오래 전부터 계량정보학(Informetrics)이라는 영역에서 인용 네트워크, 공저 네트워크, 지식지도 등과 같은 지식자원들 간의 다양한 관계를 네트워크로 표현하고 분석하는 방법론을 사용하여 왔다. 지식 네트워크 분석인 셈이다. 그리고 최근에는 거대하고 복잡한 네트워크의 특성을 밝히는 복잡계 네트워크 분석도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네트워크 분석이라는 하나의 방법론을 정립하는 데 충분한 지적 토대가 되었다.

연구방법론으로서 통계분석 방법과 비교하여 네트워크 분석 방법은 두 가지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다. 첫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이 통계분석 방법을 보완한다는 관점이다. 네트워크 분석 방법이 기존의 다른 연구방법으로는 쉽게 발견할 수 없는 의미가 있는 연구결과들을 발견해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것은 온화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자들의 주장이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은 기존의 연구방법을 대체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연구방법이라는 관점이다. 기존 연구방법들이 사회현상의 분석에 부적합하며 네트워크 분석 방법이야말로 사회현상을 분석하는 올바른 연구방법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상대적으로 강경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자들의 주장이다.

네트워크 분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연구는 국내외 모두 아직은 이론적?방법론적 체계가 탄탄하다고 말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책은 선행의 연구를 토대로 연접 학문과의 연계까지 종합하는 기본 공구서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수상(지은이)

1985년 부산대학교 계산통계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전산학, 문헌정보학) 및 박사(문헌정보학) 학위를 받았다. 부산대학교 도서관의 전산화업무 담당 사서, 한국도서관협회 교육연수사업 부장 그리고 (주)퓨쳐인포넷 정보기술연구소 부장을 거치면서 도서관과 정보기술 관련 다양한 실무들을 경험하였다. 현재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로는 각종 정보기술을 도서관과 정보센터의 서비스에 활용하는 것에 관한 주제이며, 그 동안 디지털도서관, 정보검색, 네트워크 분석 등에 많은 연구논문들을 발표하였다. 지금까지 발표된 주요 저서로는 <한국문헌정보학의 현단계>, <디지털도서관 운영론>, <정보검색의 세계> 등이 있다. 지난 5년 동안 주로 지식 네트워크, 사회 네트워크, 복잡계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의 네트워크들이 어떻게 형성되며, 그것의 구조와 특징이 나타내는 현상들을 분석하고 설명하는 연구에 전념해왔다. 최근에는 네트워크 분석과 관련된 각종 이론과 지식을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하여 페이스북 페이지(http://www.facebook.com/NetworkAnalysis)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분석 기법들을 적용하여 소셜 미디어, 도서관 서비스 등에 나타나는 다양한 유형의 빅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문제에 대한 연구도 준비 중에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1장 네트워크 과학의 등장   
 1. 개요 = 13
 2. 네트워크 과학의 정의 = 16
 3. 네트워크 과학의 관련 영역 = 21
 4. 네트워크 과학의 역사 = 23
2장 네트워크 이론   
 1. 네트워크 = 39
 2. 그래프 이론 = 42
 3. 행렬 이론 = 54
 4. 네트워크 이론의 기초 = 60
3장 네트워크의 주요 유형   
 1. 사회 네트워크 = 73
 2. 지식 네트워크 = 88
 3. 복잡계 네트워크 = 107
4장 네트워크 연구의 절차   
 1. 네트워크 연구의 개요 = 125
 2. 분석 문제의 제기 = 133
 3. 네트워크 데이터의 조사 = 138
 4. 네트워크의 생성 = 151
 5. 네트워크의 시각화 = 168
 6. 네트워크의 분석 기법 = 177
 7. 네트워크 연구의 문제점 = 180
5장 관계 데이터의 조사방법   
 1. 설문조사 = 183
 2. 면담조사 = 201
 3. 마이닝 조사 = 204
 4. 실험조사 = 222
6장 네트워크의 기본 속성 분석   
 1. 네트워크 수준의 속성 분석 = 229
 2. 노드 수준의 속성 분석 = 231
 3. 네트워크에 내재된 속성 분석 = 243
7장 중심성 분석   
 1. 중심성 = 255
 2. 연결정도 중심성 = 257
 3. 근접 중심성 = 259
 4. 매개 중심성 = 261
 5. 위세 중심성 = 268
 6. 중심성 지표의 요약 = 277
 7. 기타 중심성 분석 = 278
8장 하위집단 분석   
 1. 개요 = 283
 2. 컴포넌트 분석 = 285
 3. 파당 분석 = 292
9장 구조적 등위성 분석   
 1. 등위성 = 303
 2. 구조적 등위성 분석 = 307
 3. 클러스터 분석 = 311
 4. CONCOR 분석 = 319
 5. 다차원척도 분석 = 325
10장 에고 네트워크 분석   
 1. 에고 네트워크 = 331
 2. 에고 네트워크의 주요 분석 지표 = 333
 3. 중개성 분석 = 336
 4. 구조적 공백 분석 = 340
참고문헌 = 350
색인 = 361

관련분야 신착자료

Pegrum, Mark (2022)
Kylie Jarrett (2022)
Stirner, Max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