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80camcc2200289 c 4500 | |
001 | 000045739826 | |
005 | 20130221180200 | |
007 | ta | |
008 | 130218s2013 ulkaj b 000c kor | |
020 | ▼a 9788996244158 ▼g 03330 | |
035 | ▼a (KERIS)REQ000026156464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331.881136211 ▼2 23 |
085 | ▼a 331.88113621 ▼2 DDCK | |
090 | ▼a 331.88113621 ▼b 2013 ▼c 20 | |
110 | ▼a 서울대학교. ▼b 병원. ▼b 노동조합 | |
245 | 1 0 | ▼a 신새벽 : ▼b 서울대병원노동조합 20년사 / ▼d 김영수, ▼e 정경원 저 |
246 | 3 | ▼a 서울대병원노동조합 이십년사 |
260 | ▼a 서울 : ▼b 한내, ▼c 2013 | |
300 | ▼a 416 p. : ▼b 삽화, 연표 ; ▼c 24 cm | |
500 | ▼a 기획: 서울대병원노조20년사 편찬위원회 | |
500 | ▼a 부록: 연도별 임원현황 | |
504 | ▼a 참고문헌: p. 403 | |
700 | 1 | ▼a 김영수, ▼e 저 ▼0 AUTH(211009)137917 |
700 | 1 | ▼a 정경원, ▼e 저 ▼0 AUTH(211009)29376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1.88113621 2013 20 | 등록번호 1116885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서울대병원노동조합 20년사는 1987년 7월 31일, 노동조합의 결성부터 시작하여 2010년까지 전개되었던 노동조합의 일상 활동과 다양한 투쟁을 책으로 엮었다. 제1장은 노동조합을 결성할 당시의 사회와 왜 노동조합을 결성해야 했는가의 문제와 그 의미, 그리고 병원과의 노동조합 인정 투쟁과정을 그리고 있다. 옛날이야기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현재에서 가장 많이 배워야 할 시기이다.
제2장은 산별노조 건설과 투쟁시기이다. 조직발전의 역사적 과정을 상급조직 건설운동, 산별노조 건설운동과 투쟁을 기술하고 있다. 제3장은 구조조정에 맞선 투쟁들과 보건의료노조 산별협약의 문제가 발단이 된 올바른 산별노조운동을 위한 보건의료노조 탈퇴 및 새로운 산별노조 건설운동의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제4장은 비정규직 철폐투쟁에 대한 서울대병원노조의 실천투쟁과 올바른 산별노조 건설을 위한 노력들과 공공대산별 건설로의 도약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5장은 서울대병원노동조합의 의의와 성과, 그리고 과제를 정리하고 있다.
서울대병원노동조합 20년사는 1987년 7월 31일, 노동조합의 결성부터 시작하여 2010년까지 전개되었던 노동조합의 일상 활동과 다양한 투쟁을 보듬고 있다. 두려움과 설렘으로 함께했던 노동조합의 결성! 그 주역들이 이제 자신의 삶을 돌아보는 나이가 되었다. 지난 세월 동안 주역들이 바뀌었지만 그 정신만은 하나로 이어져 왔던 서울대병원노동조합!! 새로운 주역들을 기대하며 이 책을 엮었다.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미래에 대한 지평을 열고자 준비한 책이다. 신새벽은 노동조합운동의 추상적이면서 전략적인 과제와 구체적인 현실을 조응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신새벽』은 서울대병원노동조합의 20년을 크게 네시기로 구분하고 있다. 그것은 노동조합 건설과 노동조합 인정 투쟁시기, 산별노조 건설에 앞장섰던 시기, 구조조정에 맞선 투쟁기, 비정규직 철폐와 노동자단결을 위한 도약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는 한국사회 민주노조운동이 겪어왔던 과정이기도 하다. 집행부별로 정리하지 않은 것은 서울대병원노조의 역사가 노조 간부들의 역사가 아닌 조합원들의 역사임을 분명히 하는 것이며 큰 흐름을 공유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노동조합의 20년을 기계적으로 분리할 수는 없지만 서울대병원노조는 시기별로 한국사회 운동과제를 고민하며 대응해 왔다.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명목으로 희생과 봉사를 강요당하고 국립대병원의 위치 때문에 겪어야 했던 정권의 탄압은 서울대병원 노동자들에게는 견디기 힘든 이중고였다. 이러한 난관을 서울대병원 노동자들은 투쟁으로 돌파해 왔다.
『신새벽』은 서울대병원노동조합의 구체적인 족적과 그것들이 갖고 있는 의의를 연결시키려고 노력하였다. 제1장은 노동조합을 결성할 당시의 사회와 왜 노동조합을 결성해야 했는가의 문제와 그 의미, 그리고 병원과의 노동조합 인정 투쟁과정을 그리고 있다. 옛날이야기 같은 시기이기도 하지만 현재에서 가장 많이 배워야 할 시기이다. 제2장은 산별노조 건설과 투쟁시기이다. 조직발전의 역사적 과정을 상급조직 건설운동, 산별노조 건설운동과 투쟁을 기술하고 있다. 제3장은 구조조정에 맞선 투쟁들과 보건의료노조 산별협약의 문제가 발단이 된 올바른 산별노조운동을 위한 보건의료노조 탈퇴 및 새로운 산별노조 건설운동의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제4장은 비정규직 철폐투쟁에 대한 서울대병원노조의 실천투쟁과 올바른 산별노조 건설을 위한 노력들과 공공대산별 건설로의 도약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5장은 서울대병원노동조합의 의의와 성과, 그리고 과제를 정리하고 있다. 물론 각 시기의 투쟁과 임단협, 근골격계 투쟁, 노동조합의 일상활동은 해당 시기별로 정리되어 있다. 의료공공성투쟁은 단체협약의 핵심요구였기에 별도로 분리하지 않았으나, 임단협에 묻히지 않도록 중요 투쟁으로 서술하였다. 노동조합의 가장 기본 기능인 단체협약에서 의료공공성을 다룬다는 자체가 서울대병원의 역사가 빛나는 이유일 것이다.
서울대병원노동조합 20년사는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다. 서울대병원노동조합은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었던 자료들을 꼼꼼히 챙겼고, 노동자역사 한내는 이러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서울대병원노동조합 운동을 역사의 한 축으로 남게 하였다. 그리고 공식적인 자료로 확인할 수 없는 소중한 자료들을 수많은 사람들이 남겨 주었다. 면담에서 아주 성실하게 답변해 주었던 사람들이다. 그런데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은 바로 서울대병원노동조합의 조합원들이다. 이들의 삶이 곧 20년 역사이다. 서울대병원노동조합 20년사는 바로 조합원들의 삶을 기록하려 했다.
서울대병원노동조합 20년사 『신새벽』은 서울대병원 노동자들만의 희망이 아니라 보건의료운동과 민주노조운동, 나아가 노동자 계급운동에게 희망을 던지는 우리의 역사이길 바라며, 김영수, 정경원이 집필하였다.
20년의 세월을 책 한권에 담는다는 것이 다소 무리가 있었으나, 15권에 달하는 기초자료집을 남겨 이후 서울대병원노동조합의 역사적 사실들을 모아냈다는 것이 큰 성과라고 자평한다. 조합원들의 목소리를 더 풍부하게 담아내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현재의 고민들을 과거의 교훈을 통해 풀어내고 미래로 전진하는 길잡이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영수(지은이)
아프리카 정치의 역사를 공부하고 연구하였다. 그들의 공동체적인 삶 속에 들어 있는 다양한 민주주의적 대안에 천착하였다. 그곳에는 권력보다 권리가 살아 있었다. 그리고 권리 주체들의 생활이 자유로웠다. 권력은 그저 권리의 보조 장치로 남아 있었다. 한국 민주주의가 나아갈 길을 아프리카 공동체의 권리 모델에서 찾고자 배우고 가르쳤던 이유였다. 정치학으로 학위를 받은 이후 학술 연구지 《진보평론》의 편집위원으로 연구 활동을 하면서, 한편으로는 공공운수노동조합의 조직국과 정책국에서 활동하였다. 삶의 현장과 멀리 떨어진 이론의 추상성과, 사유와 성찰의 빈곤함 때문에 드러나는 구체적 삶의 앙상함을 넘어서기 위해 각종 사회운동 단체에서 ‘활동 연구자 혹은 연구활동가’로 살았다. 보편성과 특수성이 만나는 교차로의 복합성과 접합성을, 거시적이거나 미시적인 것보다 그 두 가지를 융합시키는 중범위적인 접근으로 탈자본주의 사회의 대안적인 권력 관계와 이상적인 권리 자치 사회를 모색하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현재는 10여 년 전부터 귀농귀촌해 시간의 절반은 사과밭에서 노동을, 나머지 절반은 대학에서 연구와 가르침과 배움을 함께하는 ‘반노반지(半勞半知)’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저서로는 『화해는 용서보다 진실을 요구한다-남아공 민주주의의 역사·현실·미래』, 『과거사청산, 민주화를 넘어 사회화로』, 『민주주의를 혁명하라』, 『당신은 민주국가에 살고 있습니까』 등이 있고, 공저로 『지식의 공공성 딜레마』, 『공무원 노동운동사』 등이 있다.
정경원(지은이)
『전노협백서』발간을 계기로 노동운동 자료를 모으고 노동자 역사를 기록하는 일을 꾸준히 하고 있다. 2008년 이후 노동자역사 한내에서 역사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통신계약직노조 투쟁백서 『517일간의 외침』(공저), 발전노조 투쟁백서 『가자! 총파업으로』(공저), 쌍용자동차노조 투쟁백서 『해고는 살인이다』(공저, 한내), 홍익대 청소경비노동자 투쟁 이야기 『우리가 보이나요』(공저, 한내), 『현자노조 20년사』(공저, 한내), 서울대병원노조 20년사『신새벽』(공저, 한내),『가스공사노동조합 30년사』, 『서울지하철노동조합 30년사』가 있다.

목차
목차 발간사 = 4 서문 = 8 1 서울대병원노동조합 설립과 투쟁(1987∼1992) 1. 노조를 만들기까지 = 19 1) 저항 = 19 2) 노동조합 설립 = 23 3) 왜 노조를 만들었나 = 37 2. 노동현장을 장악한 힘 = 57 1) 현안문제를 해결하라 = 58 2) 미지불수당 되찾기 소송 투쟁 = 67 3) 노동조합을 인정하라: 최초의 임단협 체결 투쟁 = 71 4) 직권중재 철폐! 업무조사 거부! = 77 5) 급식과 노동자들의 부당인사 철회투쟁 = 82 6) 간호부 주 44시간 쟁취투쟁: 간호근무시간 개악저지투쟁 = 90 7) 임단협을 조합원의 힘으로 = 97 8) 해고자 원직복직투쟁 = 107 3. 서울대병원 노동자들의 의료민주화 쟁취투쟁 = 110 1) 의료민주화 쟁취투쟁의 서막을 열다 = 110 2) 서울대병원 노동자들의 의료민주화 쟁취투쟁 = 114 4. 조직 체계와 운영 = 122 1) 조직 현황 = 122 2) 조직 체계 = 124 3) 교육 활동 = 137 4) 선전 활동 = 144 5. 연대 = 147 1) 병원노동자들의 단결 조직과 연대투쟁 = 148 2) 서노협과 전노협을 통한 전국, 지역적 연대 = 150 2 산별노조 건설을 향하여(1993∼1997) 1. 조직 체계와 운영 = 156 2. 산별노조 건설을 위하여 = 158 1) 산별노조 건설의 중심에서 = 158 2) 산별노조 건설을 향한 임단협: 공동교섭 공동투쟁 = 165 3) 간호사위원회 준비위원회 = 169 4) 마침내 오른 산별노조 깃발 = 180 3. 1996∼97년 노동법개정투쟁 = 188 3 구조조정 저지 투쟁(1998∼2004) 1. 산별지부 조직 체계와 운영 = 199 2. 구조조정 저지, 의료공공성 쟁취 투쟁 = 202 1) 임단협 = 202 2) 정부의 공공의료부문 구조조정에 대항한 의료공공성 강화 투쟁 = 206 3) 팀제 연봉제 차등성과급제 도입 저지 투쟁 = 216 4) 의약분업과 의사파업에 대응한 의료민주화 투쟁 = 217 5) 소아급식과 위탁 반대투쟁 = 221 6) 퇴직금누진제 폐지에 대항한 13일간의 파업 = 224 7) 3인 해고자 원직복직투쟁 = 234 8) 분당서울대병원 조합원 조직화 투쟁 = 237 9) 치과병원설립 반대, 민주노조 사수 투쟁 = 240 3. 여성권리 확보 투쟁 = 247 1) 여성노동권 확보 = 248 2) 병원 내 폭력과 성희롱에 맞선 투쟁 = 250 4. 산별협약 쟁취 투쟁과 보건의료노조 탈퇴 = 261 1) 보건의료노조의 산별협약 쟁취 투쟁 = 261 2) 서울대병?부 총파업 = 266 3) 보건의료노조 산별협약을 둘러싼 논쟁 = 272 4) 서울대병원지부의 보건의료노조 탈퇴 = 281 4 비정규직 철폐와 노동자 단결을 위한 도약(2005∼2009) 1. 산업노조 조직 체계와 운영 = 292 1) 서울지역지부 구성과 활동 = 292 2) 조직력 = 293 2. 비정규직 차별철폐투쟁과 조직화 = 297 1) 일상적 구조조정, 비정규직 = 297 2) 간병인 노동자성 인정과 지부 설립 투쟁 = 308 3) 정규직화 및 차별시정 쟁취투쟁 = 319 4) 희망터 설립 = 325 5) 시설관리 노동자들과 공동투쟁 = 328 6) 민들레분회 청소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329 7) 식당분회 노동자들의 고용승계투쟁 = 332 8) 중소병의원 노동자 조직화 사업 = 333 3. 의료상업화 정책에 맞선 투쟁 = 336 1) 의료 상업화 정책의 개요와 그 문제점 = 336 2) 의료공공성 투쟁의 진행 = 344 4. 현장을 살리려 했던 투쟁 = 349 1) 근골격계 투쟁 = 349 2) 병원 합리화에 맞선 투쟁 = 359 3) 임단협투쟁 = 366 4) 간호부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투쟁 = 368 5. 공공 대산별의 토대를 향하여 = 378 1) 전국병원노동조합협의회 결성 = 378 2) 새로운 산업노조, 의료연대노동조합 건설 = 385 5 서울대병원노동조합 활동의 의의와 과제 1. 서울대병원노동조합 활동의 의의 = 388 1) 자주성, 민주성을 견지한 노동조합 = 388 2) 의료공공성, 병원민주화 실현의 주체 = 390 3) 보건의료분야의 노동권을 선도한 노동조합 = 392 4) 계급적 단결, 보건의료 산업별노조 건설의 주체 = 394 2. 과제 = 396 1) 의료공공성 확대 = 396 2) 새로운 산업노조 정착 = 397 3) 현장 조직력 강화 = 399 부록 1 연도별 임원현황 = 404 부록 2 서울대병원노동조합 연표 = 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