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03namcc2200313 c 4500 | |
001 | 000045739775 | |
005 | 20130219140025 | |
007 | ta | |
008 | 130218s2013 ulka 000c kor | |
020 | ▼a 9788993292985 ▼g 9332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352.7/48216 ▼2 23 |
085 | ▼a 352.748216 ▼2 DDCK | |
090 | ▼a 352.748216 ▼b 2013 | |
245 | 2 0 | ▼a (글로벌시대) 도시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 : ▼b 이론과 사례 / ▼d Keith Dinnie [편] ; ▼e 김유경 ; ▼e 이현주 역 |
246 | 1 9 | ▼a City branding : ▼b theory and cases |
260 | ▼a 서울 : ▼b 한경사, ▼c 2013 | |
300 | ▼a 447 p. : ▼b 삽화 ; ▼c 24 cm | |
536 | ▼a 이 역서는 2010년도 정부재원(교육과학기술부 인문사회연구역량 강화사업비)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일부 수행되었음 | |
650 | 0 | ▼a Branding (Marketing) ▼v Case studies |
650 | 0 | ▼a City promotion ▼v Case studies |
650 | 0 | ▼a Municipal government ▼x Public relations ▼v Case studies |
700 | 1 | ▼a Dinnie, Keith, ▼e 편 ▼0 AUTH(211009)48340 |
700 | 1 | ▼a 김유경, ▼e 역 ▼0 AUTH(211009)71839 |
700 | 1 | ▼a 이현주, ▼e 역 ▼0 AUTH(211009)56013 |
900 | 1 0 | ▼a 디니, 키스, ▼e 편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748216 2013 | Accession No. 11168862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유경(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 대외부총장이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을 역임했고, 국가브랜드개발위원회 위원이며 국가브랜드연구센터장을 맡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브랜드개발위원회 위원과 서울시 브랜드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관광공사, 해외문화홍보원, 아리랑국제방송, 디자인온, 메타브랜딩 등에서 자문위원으로 있다. 외대·한경 주관 공공브랜드아카데미의 책임교수를 맡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신문방송학 학사를, 하와이주립대학에서 커뮤니케이션 석사를, 미국 시러큐스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학 박사를 취득했다. 주로 글로벌 브랜딩, 국제 광고,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관리, 국가 브랜드 및 도시 브랜드 관리에 관해 연구하며, Corporate Reputation Review, ≪언론학보≫, ≪방송학보≫, ≪광고학연구≫, ≪광고홍보학연구≫, ≪광고연구≫ 등의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저서와 역서로 『공공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공저, 2015), 『해외 시장에서의 브랜드 전략』(공역, 2013), 『글로벌 시대 도시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공역, 2013), 『스마트 시대의 광고미디어』(2012), City Branding(2011), 『브랜드 관리』(2010)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머리말 = 9 머리말 = 12 들어가며 = 16 1부 이론편 1장 도시 브랜딩 개론 = 20 들어가며 = 20 브랜드 계층구조와 브랜드 속성 = 23 네트워크 구축 = 24 지속가능성 = 26 요약 = 27 2장 매력적인 거주지로서의 도시 브랜딩 = 28 들어가며 = 28 주민과 도시 브랜딩의 관련성 = 29 주민 만족 - 도시 브랜딩의 궁극적 결과 = 31 주민 만족을 위한 도시 브랜딩 시행 = 33 요약 = 39 3장 도시 브랜딩과 투자 유치 = 41 들어가며 = 41 브랜드로서의 도시 = 43 투자 유치에 있어 브랜드의 역할 = 47 캐나다 토론토 - '스위스인이 운영하는 뉴욕' = 52 토론토의 경제 = 53 토론토의 투자 유치 = 56 요약 = 60 4장 도시 브랜딩과 관광객의 시선 = 64 들어가며 = 64 도시와 관광객의 시선 = 65 도시의 이미지 전달자 = 69 도시 브랜딩 관계자를 위한 교훈 = 72 헬싱키와 바르셀로나 = 75 요약 = 79 5장 도시 브랜드 파트너십 = 81 들어가며 = 81 이해당사자들의 참여 = 82 효과적인 파트너십의 원칙 = 86 도시 브랜드 파트너십의 구축 = 94 요약 = 96 6장 도시 브랜딩과 이해당사자 참여 = 99 들어가며 = 99 이해당사자 참여가 중요한 이유 = 100 성공적인 이해당사자 참여를 위한 방법 = 105 갈등과 문제 = 110 요약 = 115 7장 도시 브랜딩과 사회적 변화의 역설 = 116 들어가며 = 116 도시 브랜딩과 사회적 변화 = 120 역설 1 - 똑같이 특별해지기 = 123 역설 2 - 상향식과 하향식의 충돌 = 125 역설 3 - 주민들과 외부인의 해석의 차이 = 128 요약 = 130 8장 음식 문화를 통한 도시 브랜딩 - 지역 브랜딩 차원에서의 고찰 = 132 들어가며 = 132 장소와 음식의 역사적 관계 = 133 정치적인 식문화 브랜딩 = 135 지역 브랜드의 상업적 활용 = 139 정치적, 상업적 브랜딩의 문화적 활용 = 144 요약 = 145 9장 새로운 녹지를 통한 도시 브랜딩 = 147 들어가며 = 147 배경 = 151 가로의 역할 = 154 옥상 정원에서 수직 정원까지 = 156 하천 및 해안 복원 = 158 녹지를 도시의 경쟁력으로 만드는 방법 = 160 요약 = 166 10장 온라인 도시 브랜딩 = 169 들어가며 = 169 도시 브랜드 정체성의 전달 수단으로서의 웹사이트 = 173 블로고스피어를 통한 도시 브랜딩 = 175 소셜 네트워크와 인터랙티브한 도시 브랜드 구축 = 180 3차원 가상환경에서의 장소 브랜딩 = 183 도시 브랜드 전략의 일환으로서의 이메일 = 185 요약 = 186 1부 각주 = 187 2부 사례편 11장 도시브랜딩 실례 - 들어가며 = 210 들어가며 = 210 기본적 도시 브랜딩 문제의 해결 = 211 정체성과 이미지의 확립 = 213 가시적 근거의 중요성 = 215 행사 유치 = 216 사업 제휴 = 217 창조성, 혁신, 대담함 = 218 도시 브랜드의 재포지셔닝 = 220 요약 = 221 12장 아크라의 도시 브랜딩 = 222 들어가며 = 222 아크라의 역할 성장과 현대화 노력 = 223 국제 회담의 개최지 = 226 아크라 도시 브랜딩의 장애 요소 = 227 '더 나은 가나를 위한 새로운 아크라' = 230 요약 = 232 13장 아메다바드의 도시 브랜딩 = 234 들어가며 = 234 아메다바드의 성장 = 236 구자라트의 주요 브랜딩 작업 = 236 아메다바드의 중요한 최근 개발 = 239 아메다바드의 독특한 특징의 활용과 개발의 근황 = 242 요약 = 243 14장 아테네의 도시 브랜딩과 2004년 올림픽 = 245 들어가며 = 245 2004 올림픽 입찰 = 246 새로운 것과 오래된 것의 균형 잡기 = 247 아테네의 이미지와 게임의 영향 = 252 요약 = 253 15장 바르셀로나의 도시 브랜딩: 성공담 = 255 들어가며 = 255 바르셀로나의 도시 브랜딩: 성공담 = 257 1992 올림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 262 요약 = 265 16장 부다페스트를 브랜딩하다 = 266 들어가며 = 266 부다페스트 브랜딩의 과제 = 267 브랜딩 컨셉 = 269 커뮤니티로서의 도시 브랜드 = 272 이벤트 중심의 접근 = 273 부다페스트 도시 브랜드 조사 및 평가 = 274 요약 = 277 17장 충칭의 도시 브랜딩: 그래픽 디자인의 역할 = 278 들어가며 = 278 연구원으로서의 그래픽 디자이너 = 282 충칭: 3천 년의 역사와 30만 명의 인구 = 283 당신에게 이 도시는 어떤 의미입니까? = 285 영감을 주는 과거를 들여다보다 = 287 최종 디자인 = 288 요약 = 289 18장 에든버러: 스코틀랜드의 영감을 주는 수도 = 290 들어가며 = 290 에든버러 도시 브랜드의 리포지셔닝 = 291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공동 작업 = 295 에든버러 브랜드에 대한 인식 관리 = 303 요약 = 308 19장 국제 평화와 정의의 도시 헤이그: 관계적 네트워크 브랜드 = 310 들어가며 = 310 개념화 = 312 관계형 네트워크 브랜드로서의 헤이그 = 315 헤이그의 도시 브랜드에 대한 세 가지 개념 관점 = 318 요약 = 319 20장 홍콩 브랜드 = 321 들어가며 = 321 홍콩 브랜드의 관리 = 322 관광 = 324 문화와 창의성 = 326 투자 = 327 사람들 = 327 제품 및 서비스 = 328 요약 = 328 21장 쿠알라룸푸르: 적합한 브랜드를 찾다 = 330 들어가며 = 330 도시 브랜드의 정의 = 331 쿠알라룸푸르의 장소 브랜딩 노력 = 332 인프라 및 서비스의 개발/개선을 통하여 지식의 도시 만들기 = 335 관광 개발과 내부 관계자를 위한 브랜딩 = 337 쿠알라룸푸르의 브랜드는 무엇인가 = 339 요약 = 340 22장 리스본 브랜딩 - 도시 브랜드의 관점 정의 = 342 들어가며 = 342 리스보아 에 발레 두 테조 브랜드 = 347 리스보아 브랜드 대 리스본 시 = 348 요약 = 350 23장 몬테비데오 도시 브랜딩 = 352 들어가며 = 352 우루과이와 몬테비데오 시에 있어 관광의 중요성 = 353 몬테비데오 관광 브랜드 '몬테비데오를 발견하다' = 356 요약 = 358 24장 뉴욕 시를 브랜딩하다 - '아이러브뉴욕'의 전설 = 359 들어가며 = 359 뉴욕의 여러 가지 정체성 = 360 '빅애플'과 '아이러브뉴욕' 캠페인 = 361 요약 = 366 25장 브랜드로서의 파리 = 368 들어가며 = 368 도시들은 직접 경쟁 중이다 = 369 도시 브랜드의 초석을 다지다: 대표 제품, 핵심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사람 = 371 도시 이미지와 국가 이미지: 연결점은 무엇인가 = 372 도시를 브랜드로서 관리할 수 있는가 = 373 브랜드인가 슬로건인가 = 375 요약 = 377 26장 서울의 도시 브랜딩 = 378 들어가며 = 378 서울 특별시의 마케팅 역사 = 379 2006년 이전: 초기 홍보 활동 = 380 2006년: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원년 = 380 2007년: 서울의 해외 마케팅의 변화 = 382 2008년: 서울의 마케팅 예산을 눈에 띄게 증가시키다 = 385 2009년: 서울의 도시 브랜드에 대한 새로운 글로벌 포지셔닝 = 391 요약 = 396 27장 시드니의 도시 브랜딩 = 398 들어가며 = 398 2008년 시드니 = 399 시드니를 브랜딩하다 = 400 시드니의 브랜드 모델 만들기 = 402 2010년 시드니 = 405 요약 = 408 28장 슈퍼플랫 도쿄: 비밀의 최상급의 도시 = 409 들어가며 = 409 하이브리드 도시 도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412 도쿄의 브랜드 기획자 = 414 29장 울릉공의 도시 브랜딩 = 422 들어가며 = 422 울릉공 시에 대해 = 423 이미지 캠페인의 필요성 = 424 재원 제공 단계 = 426 개념 구축 단계 = 428 구현 단계 = 429 이해관계자들의 설명 = 431 울릉공의 캠페인의 성공 = 433 요약 = 434 2부 각주 = 436 역자 소개 =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