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인문학으로 문화읽기 : 2012 상록 문화강좌

인문학으로 문화읽기 : 2012 상록 문화강좌 (Loan 2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조송식, 저 박천남, 저 최영미, 저 윤범모, 저 한창호, 저 박만우, 저 김하림, 저 惠祥雲, 저 박하선, 저
Title Statement
인문학으로 문화읽기 : 2012 상록 문화강좌 / 조송식 [외]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광주 :   광주시립미술관,   2013  
Physical Medium
127 p. : 삽화 ; 26 cm
General Note
저자: 박천남, 최영미, 윤범모, 한창호, 박만우, 김하림, 후이썅윈, 박하선  
처음 서명은 '현대미술과 인문학'(2010년)임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39406
005 20150306131637
007 ta
008 130213s2013 kjka 000c kor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00.104 ▼2 23
085 ▼a 700.104 ▼2 DDCK
090 ▼a 700.104 ▼b 2010 ▼c 2012a
245 0 0 ▼a 인문학으로 문화읽기 : ▼b 2012 상록 문화강좌 / ▼d 조송식 [외]
246 3 0 ▼a 상록 문화강좌
260 ▼a 광주 : ▼b 광주시립미술관, ▼c 2013
300 ▼a 127 p. : ▼b 삽화 ; ▼c 26 cm
500 ▼a 저자: 박천남, 최영미, 윤범모, 한창호, 박만우, 김하림, 후이썅윈, 박하선
500 ▼a 처음 서명은 '현대미술과 인문학'(2010년)임
700 1 ▼a 조송식, ▼e
700 1 ▼a 박천남, ▼e
700 1 ▼a 최영미, ▼e
700 1 ▼a 윤범모, ▼e
700 1 ▼a 한창호, ▼e
700 1 ▼a 박만우, ▼e
700 1 ▼a 김하림, ▼e
700 1 ▼a 惠祥雲, ▼e
700 1 ▼a 박하선, ▼e
740 2 ▼a 현대미술과 인문학
900 1 0 ▼a 후이썅윈, ▼e
900 1 0 ▼a Hui, Xiangyun, ▼e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00.104 2010 2012a Accession No. 11168810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발간취지 / 황영성 6


1강 동양화의 맛과 즐거움 / 조송식 9


동양화라는 용어 12


감정의 진실성 13


감회의 표현 15


담백한 맛, 평담 16


그리는 즐거움 18


보는 즐거움 20


2강 현대미술, 어렵거나 쉽거나 / 박천남 23


예술의 정의(definition of art) 26


변증법적(dialectical) 진화 26


재현과 표현 26


공간의 문제 26


멀티플(multiple) 27


avant-garde 28


less is more 28


blank canvas 28


mono(단)와 mono(물) 30


less is bore 30


설치(設置)는 설치(設置) 30


전통의 문제 31


미래의 미술 31


3강 내가 사랑하는 시 / 최영미 33


시와 인생 36


내가 사랑한는 시 37


4강 한국의 미, 다시 생각하기 / 윤범모 45


왜 한국미론인가 48


한국미론의 기존 학설에 대한 검토 49


종교와 한국미의 특성 50


자연환경과 민족미론 52


화이부동의 정신과 자연친화주의 54


무애미론의 검토 57


마무리 59


5강 영화는 미술을 어떻게 이용하는가? 미술, 영화의 탄생을 앞당기다 / 한창호 61


영화의 탄생과 미술의 역할 64


영화가 프랑스에서 탄생한 이유 67


6강 백남준의 삶과 예술 / 박만우 69


백남준의 정신적 유산과 그 현재적 의미 72


미디어스케이프와 백남준의 비디오 74


백남준 비디오아트의 새로운 감각지형 75


7강 다시 루쉰 읽기의 의미 / 김하림 79


먹으로 쓴 거짓과 피로 쓴 사실 82


「루쉰전집」의 번역과 출간의 의미 83


8강 도자기의 나라 중국 / 후이썅윈 87


도자기의 나라 중국 90


고궁 소장 의흥 자사호 : 섬세한 공예적 처리와 화려한 장식 94


청나라 3대 황제시기의 다양한 자사호 94


봉건왕조의 뛰어난 문화 자사 97


황제가 사용한 고급스럽고 아름다운 자사호 99


자사오행지덕(紫砂五行之德) 102


9강 천명을 받들어 떠나는 여행 / 박하선 109


천명을 받들어 떠나는 여행 112


발해(渤海)의 땅에서 118


발해의 주요 교통로 12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