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00camcc2200265 c 4500 | |
001 | 000045738930 | |
005 | 20130212170757 | |
007 | ta | |
008 | 130208s2012 ulkad b 000c kor | |
020 | ▼a 9788993292947 ▼g 93320 | |
035 | ▼a (KERIS)BIB000012942042 | |
040 | ▼a 244004 ▼c 244004 ▼d 211009 | |
082 | 0 4 | ▼a 659.1 ▼2 23 |
085 | ▼a 659.1 ▼2 DDCK | |
090 | ▼a 659.1 ▼b 2012z6 | |
100 | 1 | ▼a 이정교 ▼0 AUTH(211009)78401 |
245 | 1 0 | ▼a 유명인 광고의 이해 : ▼b 이론과 전략 / ▼d 이정교 지음 |
246 | 1 1 | ▼a Celebrity advertising : ▼b theory and practice |
260 | ▼a 서울 : ▼b 한경사, ▼c 2012 | |
300 | ▼a 317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440 | 0 0 | ▼a 방송문화진흥총서 ; ▼v 126 |
504 | ▼a 참고문헌 : p. 295-317 | |
536 | ▼a 이 책은 MBC재단 방송문화진흥회의 지원을 받아 출간되었음 |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659.1 2012z6 | Accession No. 1116878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정교(지은이)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무역학을 전공하였고,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에서 광고학 석사를 미주리대학교에서 언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노스플로리다대학교에서 교수직을 역임하였으며, 2004년부터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 광고 및 소비자 심리 관련 과목들을 강의하고 있다. 한국광고학회 총무이사, 한국광고홍보학회 기획이사, ≪광고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한국언론학보≫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광고학회 이사, ≪광고학연구≫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유명인 광고 전략 및 효과, 소비자 심리, 브랜드 관리, 뉴미디어 광고 등이다. 저서로 『유명인 광고의 이해: 이론과 전략』(2012), 『광고 인사이트』(2009, 공저), 『신문광고 시장의 미래』(2006, 공저), 『현대사회와 광고』(2006, 공저), 『현대사회와 언론』(2006, 공저)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10 1장 유명인과 광고 = 15 1. 유명인의 개념과 특성 = 18 2. 유명인 모델과 보증방식 = 31 3. 광고모델로서 유명인 = 36 1) 광고모델의 개념 = 36 2) 광고모델의 유형과 특성 = 37 4. 외국인 광고모델 = 50 5. 캐릭터 광고모델 = 58 6. 동물 광고모델 = 65 2장 국내광고시장과 유명인 광고의 현황 = 73 1. 국내 광고시장의 현황 = 76 2. 유명인 광고의 현황 = 81 1) 국내 유명인 광고 시장의 현황과 특성 = 81 2) 복수 모델 전략 = 87 3장 유명인 광고의 특성 = 95 1. 유명인 광고의 장점 = 99 1) 광고 주목도의 증대 = 99 2) 광고 호감도의 창출 = 101 3) 광고 신뢰도의 구축 = 108 2. 유명인 광고의 문제점 = 110 1) 높은 비용 = 110 2) 광고 메시지의 기억 방해 = 118 3) 중복 출연의 부정적 효과 = 119 4) 단기적인 효과 = 130 5) 유명인에 대한 부정적 정보 = 133 6) 광고의 창의성 저해 = 145 4장 유명인과 수용자 = 147 1. 유명인과 동일시 = 150 2. 유명인과 준사회적 상호작용 = 160 5장 유명인 광고의 효과 = 169 1. 유명인 광고 효과의 긍정적 연구 결과 = 172 2. 유명인 광고 효과의 부정적 연구 결과 = 179 6장 유명인 광고의 이론적 배경 Ⅰ= 183 1. 정보원 신뢰도 모델 = 188 2. 정보원 매력도 모델 = 194 3. 조화가설 = 199 4. 의미전이 모델 = 209 7장 유명인 광고의 이론적 배경 Ⅱ = 215 1. 켈먼의 사회적 영향 이론 = 218 2. 고전적 조건화 = 223 3. 스키마 이론 = 230 4. 균형 이론 = 240 8장 유명인 광고모델의 선정기준과 평가방법 = 247 1. Performer Q-Score = 250 2. FREDO = 254 3. Davie Brown Index(DBI) = 260 4. AHP를 활용한 광고모델 선정 방법 = 262 5. 프링글의 4F = 268 9장 유명인 광고의 성공 사례: 'Got milk?' 캠페인 = 277 1. 캠페인 배경 = 280 2. 시장 상황 분석 = 282 3. 목표 소비자 = 283 4. 광고 목표 및 전략 = 285 5. 캠페인 결과 = 292 참고문헌 =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