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면역력이 살아야 내 몸이 산다 (2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安保徹, 1947-2016 박재현, 1971-, 역 박용우, 감수
서명 / 저자사항
면역력이 살아야 내 몸이 산다 / 아보 토오루 지음 ; 박재현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이상미디어,   2013.  
형태사항
189 p. : 삽화 ; 21 cm.
원표제
病氣知らずになる免疫力の高め方 : 安保新理論をわかりやすく紹介
기타표제
면역력을 키우고 병에 걸리지 않는 법
ISBN
9788994478289
일반주기
감수자: 박용우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38301
005 20231019172748
007 ta
008 130128s2013 ulka 000c kor
020 ▼a 9788994478289 ▼g 13510
035 ▼a (KERIS)BIB000013040795
040 ▼a 241050 ▼c 241050 ▼d 211009
041 1 ▼a kor ▼h jpn
082 0 4 ▼a 616.079 ▼a 613 ▼2 23
085 ▼a 616.079 ▼2 DDCK
090 ▼a 616.079 ▼b 2013
100 1 ▼a 安保徹, ▼d 1947-2016 ▼0 AUTH(211009)80334
245 1 0 ▼a 면역력이 살아야 내 몸이 산다 / ▼d 아보 토오루 지음 ; ▼e 박재현 옮김.
246 1 9 ▼a 病氣知らずになる免疫力の高め方 : ▼b 安保新理論をわかりやすく紹介
246 1 3 ▼a 면역력을 키우고 병에 걸리지 않는 법
260 ▼a 서울 : ▼b 이상미디어, ▼c 2013.
300 ▼a 189 p. : ▼b 삽화 ; ▼c 21 cm.
500 ▼a 감수자: 박용우
700 1 ▼a 박재현, ▼d 1971-, ▼e▼0 AUTH(211009)115935
700 1 ▼a 박용우, ▼e 감수
900 1 1 ▼a 아보 토오루, ▼e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616.079 2013 등록번호 1310456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6.079 2013 등록번호 1513148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616.079 2013 등록번호 13104562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6.079 2013 등록번호 1513148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대인들을 괴롭히는 수많은 질병의 원인은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면역력 저하이다.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해 자율신경계, 체온, 백혈구, 에너지 생성계에 이상이 생기면 면역력이 떨어진다. 이 네 가지는 몸 전체를 통솔하는 시스템으로 우리의 ‘건강한 생활’과 직결되어 있다. 이 책에서는 네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병이 생기는 원인과 과정을 설명하고 병을 치유하기 위한 지침을 제시한다.

질병의 대다수, 특히 고혈압, 당뇨병, 각종 암은 오랜 세월 동안 방치된 잘못된 습관과 주변 환경 때문에 생긴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런 질병들은 어느 날 갑자기 ‘불행하게도’ 찾아오는 것이 아니다. 질병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기까지 자신이 무관심하고 그 상태를 방치했을 뿐이다. 병을 키우고 불행한 노년을 맞이하는 삶을 살 텐가, 아니면 면역력을 강화하고 건강한 노년을 준비할 것인가? 건강과 질병의 열쇠는 면역력이 쥐고 있다.

[출판사 서평]

당신의 자율신경계(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는 안녕하십니까?
인간은 고민과 불안, 근심 같은 정신활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교감신경 긴장으로 이어진다. 인간의 몸은 본래 낮에는 집중해서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교감신경이 활발하고 휴식을 취해야 하는 밤에는 부교감신경이 우위를 차지해 몸이 나른해지고 수면을 취하게 된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밤낮없이 교감신경이 우위인 채로 과로하고 지나치게 신경을 쓰다 보니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무너져버리고 면역력이 약화되어 병이 된다.
교감신경 긴장상태가 오래도록 이어지면 과립구(세균처럼 비교적 큰 이물질을 처치하는 백혈구의 구성물질)가 증가하여 위염과 위궤양, 과민성 대장염, 치질, 크론병, 치주농양 등이 생기며, 때때로 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과립구는 원래 체내에 상주하는 세균을 물리치는 역할을 하지만 교감신경의 지나친 긴장으로 인해 정상적인 세포와 조직을 공격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교감신경이 우위인 상태에서는 림프구(바이러스 같은 작은 이물질 공격)가 줄어들어 바이러스 등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한다.
반대로 긴장완화 상태가 오래도록 이어지면 부교감신경이 지나치게 활성화되어 신체 능력이 저하되거나 무기력, 우울증 같은 질병을 일으킨다. 림프구가 많아지면 극단적인 상황에서 각종 과민증을 일으킨다. 림프구 과잉에 의해 초래되는 질병은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천식 등이 있다.
결국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낮에는 열심히 일하고 밤에는 긴장을 풀고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투철한 책임감과 지나친 장시간 노동과 스트레스는 혈압과 혈당을 상승시키고 면역력을 약화시켜 병을 키운다.(과립구와 림프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102~104쪽 참고)

죽음을 부르는 3종 세트 : 고민, 과로, 분노
분노라는 감정은 교감신경의 긴장을 더욱 증폭시킨다. 분노에 사로잡히면 혈압과 맥박이 상승한다. 또한 낮에는 열심히 일하고 밤에는 쉬어야 하는데 야근이 반복되면 교감신경 긴장이 지속되어 몸 상태가 급격히 악화된다.

미니스커트를 즐겨 입으면 자궁경부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체온이 1도 내려가면 면역력은 37퍼센트, 체내 효소의 기능은 50퍼센트로 뚝 떨어진다. 체온이 낮아지면 대사산물이 혈액이나 체액 속에 잘 용해되지 않는 불용화가 시작된다. 예를 들어 소화관에서 분비되는 대사산물이 쓸개즙의 주요성분인 담즙산과 불용화하면 담석이 된다.
인간의 몸은 하룻밤만 추위에 떨어도 체온이 떨어지고 면역력이 약해져 감기에 걸린다. 요즘 들어 부쩍 자궁경부암이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 또한 미니스커트를 즐겨 입는 여성들의 몸이 지나치게 차가워져 면역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자궁경부암의 원인인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피부를 자극하면 사마귀가 되는데, 이 또한 면역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해열제, 소염진통제가 오히려 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우리 몸은 건강한 조직이 교감신경 긴장으로 장애를 일으켰을 때 부교감신경 반사가 일어난다. 통증을 일으키고 열과 땀이 나며, 설사 등의 증상으로 병을 고치기 위한 치유반응을 하는 것이다. 인간의 몸은 스스로 치유할 수 있는 힘이 있다. 예를 들어 화상을 입으면 피부가 부어오른다. 어떤 식으로든 조직이 파괴되면 혈류를 증가시켜 열을 내고 붓고 끙끙 앓으면서 회복이 시작된다.
그러나 이런 증상을 진통제나 해열제, 소염제로 멈추려고 하면 일시적으로 증상이 가라앉기는 하지만 본래 인간의 몸이 가지고 있는 치유반응에 역행하게 된다. 따라서 소염진통제는 급성 증상에 대해 일시적으로 사용해도 괜찮지만 장기간 사용하거나 습관적으로 의지하면 바람직하지 않다. 열을 낮추거나 통증을 완화시키는 처방은 병의 원인을 찾아 치유한 것이 아니라 겉으로 드러난 증상에 대해 처방한 대증요법이기 때문이다.

암에 걸려도 초조해하거나 두려워하지 마라
교감신경의 긴장이 암을 초래하는 이유는 저체온과 저산소 상태, 혈액순환 장애와 과립구의 증가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건강한 세포가 파괴될 때마다 혈류가 부족한 악조건에서 분열하다 보면 암을 촉진한다.
암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혈류를 증가시며 림프구를 암세포 부위에 원활하게 보내야 한다. 또한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에서 벗어나서 과도한 교감신경 긴장을 피해야 한다. 불안과 두려움은 교감신경을 긴장시켜 암세포를 더욱 키울 뿐이다. 자신이 그동안 한 쪽으로 치우친 무리한 생활을 하지 않았는지 되돌아보고 몸과 몸의 균형을 잡아야 한다. 또한 식이요법과 운동을 병행하면서 혈류를 늘리고 림프구가 제 기능을 하도록 해야 한다.

통째로 먹기 : 정제된 백미보다 거친 현미가 낫다
음식을 골고루 먹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식재료의 일부만이 아니라 통째로 ‘거칠게’ 먹는 것이다. 정제된 백미가 아니라 현미, 생선의 살코기만이 아니라 뼈와 껍질이나 내장, 무의 무청, 사과의 껍질도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곡류든 과일이든 정제하면 생명체의 일부만 섭취하게 된다. 특히 현미를 정제하면 영양분이 가장 많은 껍질이나 배아를 잃게 되기 때문이다. 성인들 중 영양실조나 각기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들은 인스턴트식품으로 끼니를 간단히 때우는 경우가 많다.

면역력을 키우고 병에 잘 걸리지 않는 7가지 비결
①몸을 따뜻하게 하여 체온을 높인다.
②심호흡을 통해 산소를 충분히 공급한다.
③채소, 과일, 견과류를 많이 먹는다.
④고민과 과로, 분노를 피한다.
⑤수면을 충분히 취하고 수면의 질을 높인다.
⑥적당한 유산소 운동(청소 같은 집안일로도 충분)을 한다.
⑦밝고 긍정적인 생각과 말을 많이 한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아보 토오루(지은이)

1947년 아오모리 현에서 태어났으며, 현재 니가타대학 대학원 종합연구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72년 도후구대학 의학부를 졸업, 1980년 미국 앨라배마대학 유학 중에 '인간 NK세포 항원 CD57에 대한 단일클론항체'를 만드는 데 성공하여 'LEU-7'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특히 1996년에는 '백혈구의 자율신경 지배구조'를 세계 최초로 밝혀내어 스트레스와 질병 발생의 연관성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국제학회에서 발표한 논문의 수만도 200여 편에 이르며, 면역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다. 1972년 토오쿠 대학 의학부 졸업 1980년 ‘자살 NK세포 항원 CD57에 대한 모노클로널 항체’ 제작 1989년 흉선의 분화 T세포 발견 1996년 백혈구의 자율신경 지배 메커니즘 처음 해명 니가타 대학 대학원 치학총합 연구과 교수(국제 감염의학, 면역학, 의동물학 분야) 세계적인 면역학자 저서로는 베스트셀러 《면역혁명》(고담사 인터내셔널), 《언제까지나 ‘즐겁게 건강하게 살자’ 습관》(미카사쇼보), 《‘나른함’이 싹 사라지다》(포프라사), 《아보 토오루의 신체온 면역력》(나츠메사), 《칼라판 도해 질병에 걸리지 않는 면역생활 추천》(추케이 출판) 등 다수 사이트 http://toru-abo.com/

박재현(옮긴이)

상명대학교 일어일문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일본 외국어전문학교 일한 통·번역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일본도서 저작권 에이전트로 일했으며, 현재는 출판기획 및 전문 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역서로 《초역 니체의 말》, 《머리 청소 마음 청소》, 《이성의 한계》, 《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밤》 등이 있다.

박용우(감수)

국내 최고 비만 전문 명의. 30년간 의학적, 사회적, 심리적인 관점에서 접근한 수많은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비만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척했다. 의사와 다이어터 사이를 오가며 몸소 체험한 현실적인 다이어트 경험과 지식을 열정적으로 나눠 온 그가 백세시대 아프지 않고 병들지 않은 삶을 위한 건강한 생활습관의 실천방법으로 간헐적 단식을 설파하기 시작했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교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비만클리닉 소장,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비만연구소 교환교수, 박용우 리셋클리닉 대표원장을 역임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임상교수와 강북삼성병원 건강의학본부 홍보실장을 맡고 있다. KBS &lt;생로병사의 비밀&gt; &lt;비타민&gt;, SBS &lt;SBS 스페셜&gt;, MBC &lt;생방송 오늘 아침&gt; <닥터고&gt; 등 다수의 방송에 출연하며 유익한 비만치료 지식을 전하고 있다. 『만들어진 질병』 『4주 해독다이어트』 『음식중독』 등을 집필했으며 저자의 『지방 대사 켜는 스위치온 다이어트』는 대만에서 『감량의 신』으로 번역 출간되었다. 『내몸 다이어트 설명서』 『과식의 종말』 『면역력이 살아야 내 몸이 산다』 등을 감수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장 사람은 왜 병에 걸리는가
 왜 100살까지 장수하기 힘들까? = 15
 생활습관을 보면 병이 보인다 = 19
 미니스커트를 자주 입으면 자궁경부암에 걸린다? = 23
 면역력이 약해지면 병에 걸린다 = 27
 의사의 처방대로 약을 먹는 것이 최선일까? = 29
 고혈압이라고 해서 무조건 겁먹지 말자 = 32
 혈압에 따라 적정 수면시간이 달라진다 = 35
 억지로 혈압을 낮추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 = 37
 엄격한 정상치 설정이 환자를 늘린다 = 41
 노인들이 병원에 열심히 다니는 이유 = 43
 수치의 불편한 진실 : 무조건 염분 섭취를 줄여야 할까? = 45
 콜레스테롤 정상치에 대한 견해 = 48
 보건 교사들의 딜레마 = 51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대한 이해 = 53
 활기로 넘치는 사람을 환자로 낙인찍다 = 55
 얼굴색과 대변 상태는 건강의 척도다 = 56
 통째로 먹기 : 정제된 백미보다 거친 현미가 낫다 = 59
2장 자율신경계가 건강의 핵심이다
 감기는 몸이 보내는 메시지 = 65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기 전에 멈춰야 한다 = 67
 인간에게 병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일까? = 69
 교감신경의 긴장에 주의하라 = 71
 체온이 낮아지면 면역력도 떨어진다 = 74
 죽음을 부르는 3종 세트 : 고민, 과로, 분노 = 76
 약은 몸을 해치는 독(毒)이다 = 79
 과식과 게으름의 함정 : 지나친 부교감신경 우위도 문제다 = 80
 해법 1 : 몸을 단련하여 스트레스를 이겨낼 힘을 키운다 = 82
 해법 2 : 양질의 곡물을 섭취하면 정서가 안정된다 = 85
 해법 3 : 낮과 밤이 다른 생활로 균형을 유지하다 = 88
 적당하게 먹고 적당한 체중을 유지하자 = 90
 적당히 뚱뚱한 것이 몸에 좋은 사람도 있다 = 93
3장 내 안의 치유력을 믿어라
 암은 어떤 사람들이 걸릴까? = 99
 병에 걸리면 지나친 영양 섭취를 피하라 = 100
 건강을 지키는 삼총사 : 과립구, 림프구, 대식세포 = 102
 궤양은 혈류와 과립구의 관계에 의해 일어난다 = 105
 몸을 혹사하면 병에 걸린다 = 107
 통증, 발열, 설사는 회복반응이다 = 110
 붓고 아프면서 회복된다 = 111
 암에 걸려도 초조해하지 마라 = 115
 알레르기는 약으로 억지로 고칠 수 없다 = 116
 진통제가 오히려 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 120
 현대 의학으로는 병을 고칠 수 없는가? = 122
 자궁경부암은 면역력 저하 때문이다 = 125
 현대의학이 만들어낸 백신을 맹신하지 마라 = 128
 생활 속의 지혜 1 : 몸을 따뜻하게 해 병을 치유한다 = 131
 생활 속의 지혜 2 : 복근을 단련하고 빨리 걷는다 = 133
 생활 속의 지혜 3 : 자세를 바꿔 냉증을 떨쳐낸다 = 135
 삶의 목표를 통해 한계를 뛰어넘다 = 138
4장 인체 구조를 알면 100세까지 장수한다
 생로병사의 비밀은 여기에 있다 = 143
 해당계 :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순발력 시스템 = 144
 미토콘드리아계 : 무병장수를 위한 지구력 시스템 = 146
 미토콘드리아계가 극도로 활성화되면? = 148
 노인은 많이 먹지 않아도 지구력이 있다 = 150
 여자는 따뜻한 곳에 살아야 장수한다? = 152
 암세포는 저체온ㆍ저산소 상태에서 생긴다 = 156
 UV 차단? 자외선을 너무 미워하지 말자 = 159
 인간은 방사선을 에너지로 활용한다 = 162
 암과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3가지 원칙 = 166
 수면시간과 질이 건강을 결정한다 = 169
 우울증은 과연 나쁘기만 할까? = 172
 치유력을 높이기 위해 열을 내자! = 173
 암이 생기는 생활을 멀리하자! = 176
 해마다 수십만 명이 암으로 죽는 현실에 무덤덤해지다 = 178
 밝고 긍정적인 말을 사용하라 = 180
 120세를 목표로 한 나의 생활습관 = 182
 매일 무엇을 먹으면 좋을까? = 184
 매일 원시인 체조를 3세트씩 10회 반복한다 = 185
 손톱 지압과 자세 교정 = 187

관련분야 신착자료

대한우울조울병학회 (2023)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임상뇌파정도관리위원회 (2023)
세브란스병원. 치매센터 (2023)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23)
Marks, Tracey I (2023)
이정화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