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멍 때려라! : 뇌가 휴식하고 재정비하는 바로 그 시간 (2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신동원
서명 / 저자사항
멍 때려라! : 뇌가 휴식하고 재정비하는 바로 그 시간 / 신동원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센추리원,   2013  
형태사항
279 p. : 삽화 ; 22 cm
ISBN
978899674649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738260
005 20190703091223
007 ta
008 130109s2013 ulka 000c kor
020 ▼a 9788996746492 ▼g 03320
035 ▼a (KERIS)BIB000013020687
040 ▼a 241050 ▼c 241050 ▼d 244002 ▼d 211009
082 0 4 ▼a 612.82 ▼2 22
085 ▼a 612.82 ▼2 DDCK
090 ▼a 612.82 ▼b 2013z1
100 1 ▼a 신동원
245 1 0 ▼a 멍 때려라! : ▼b 뇌가 휴식하고 재정비하는 바로 그 시간 / ▼d 신동원 지음
246 1 1 ▼a Brain healing & digital detox
246 3 1 ▼a Brain healing and digital detox
260 ▼a 서울 : ▼b 센추리원, ▼c 2013
300 ▼a 279 p. : ▼b 삽화 ; ▼c 22 c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2.82 2013z1 등록번호 1310472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2.82 2013z1 등록번호 1513146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청구기호 612.82 2013z1 등록번호 13104728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12.82 2013z1 등록번호 1513146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현대인의 머리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각종 디지털 기기가 쏟아내는 정보 탓에 1분 1초를 제대로 쉬지 못한다. 컴퓨터가 과부하에 걸리면 다운되듯, 끊임없이 오감을 자극하는 단순한 정보는 뇌를 바보로 만든다. 이에 저자는 아주 잠깐이라도 우리 머리에 교통정리 시간을 마련해주라고 이야기한다. 그것이 바로 더 재미있고, 더 흥미롭고, 더 자극적인 정보와 디지털 기기에 학대당하고 있는 우리의 뇌가 휴식하고 재정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뉴턴은 사과나무 아래서 멍 때리던 순간 만유인력의 실마리를 발견하였으며, 아르키메데스 역시 목욕탕에서 아무 생각 없이 앉아 있다가 부력의 원리를 발견했다. 이처럼 우리가 흔히 말하는 멍한 순간, 아무것도 하지 않고 넋을 놓고 앉아 있는 순간은 결코 무의미한 시간이 아니다. 오히려 머리가 휴식하고 생각을 재정비하는 창조의 시간이다. 멍 때리는 시간이야말로 우리의 두뇌를 깨우고 명쾌하게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기계가 아닌 사람에 대한 관심이야말로 우리 삶을 따뜻하고 풍요롭게 만드는 지름길이다.



최근 ‘스마트폰 이용자 중 60퍼센트 이상이 하루 평균 30번 이상 휴대전화를 들여다본다’라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하루 24시간 중 평균 수면 시간을 6시간이라고 봤을 때, 잠들기 직전까지 최소 6분에 한 번씩 휴대전화를 들여다본다는 이야기다. 문제는 단순한 접속 횟수와 시간이 아니라 뇌가 받는 자극에 있다.
인간의 뇌는 휴식을 통해 정보와 경험을 정리하고 기억을 축적하는 숙고의 시간을 보낸다. 이때 스스로 불필요한 정보는 과감하게 삭제하여 새로운 생각을 채울 수 있는 여백을 만든다. 실제로 뇌가 휴식을 취하는 순간, 속된 말로 ‘멍 때리는 순간’ 활성화되는 부위가 있다. 내측 측두엽, 내측 전두엽, 후측 대상피질 등 일명 DMN(Default Mode Network)이라 불리는 부위다. 뇌는 자극이 없으면 멍 때리며 휴식을 취하고 있다가, 뭔가 할 일이 생기면 DMN의 활동을 억제하고 할 일에 필요한 뇌 부위를 활성화한다.
그런데 현대인의 머리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등 각종 디지털 기기가 쏟아내는 정보 탓에 1분 1초를 제대로 쉬지 못한다. 다른 사람과의 대화 도중, 대중교통 안, 하다못해 누워서 TV를 보는 순간에도 습관적으로 스마트폰을 통해 무언가를 찾는 탓이다. 많은 사람이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며 휴식을 취한다고 생각하지만, 그 순간마저도 뇌는 쏟아져 들어오는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도무지 DMN가 활성화될 시간을 주지 않는 것이다.
뇌가 주입된 정보를 제대로 인식하고 처리하기도 전에 쉬지 않고 들어오는 정보는 우리의 판단과 선택을 흐리게 하고, 정신적 에너지의 고갈을 불러온다. 현대인들이 호소하는 만성피로가 몸이 아닌 정신적 피로에서 기인되는 경우가 많다는 뜻이다. 인간관계도 마찬가지다.

로그인으로 시작해서 로그아웃으로 끝나는 관계,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접속'이 아니라 ‘접촉'이다
사람은 채우고 머리는 비워라!

과거 우리는 만남을 통해 관계를 이어왔다. 그런데 21세기의 만남은 ‘접촉’이 아닌 ‘접속’으로 이뤄진다. 그래서 접속이 끊기면 ‘뒤처지고 소외된다’라는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누구나 한 번쯤은 전화나 메시지가 오지 않았는데도 휴대전화에서 진동이 울리는 느낌을 받은 경험이 있을 것이다. 일명 ‘진동착각증’이라 불리는 것인데, 이는 접촉이 아닌 접속으로 변화된 관계의 구조에서 오는 불안함이 표출된 행위라 볼 수 있다. 새로운 관계 형성을 위한 도구에 불과했던 SNS가 어느새 자신을 증명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타인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뒤처질지 모른다는 신경증적인 불안감이 24시간 접속을 원하게 하고, 그 안에서 정보든 사람이든 ‘무언가를 찾아 헤매게’ 만들고 있는 셈이다.
컴퓨터가 과부하에 걸리면 다운되듯, 끊임없이 오감을 자극하는 단순한 정보는 뇌를 바보로 만든다. 더 잘 배우고, 더 좋은 생각을 떠올리고, 더 좋은 사람을 만날 기회를 원적으로 봉쇄하는 것이다.
이에 저자는 아주 잠깐이라도 우리 머리에 교통정리 시간을 마련해주라고 이야기한다. 그것이 바로 더 재미있고, 더 흥미롭고, 더 자극적인 정보와 디지털 기기에 학대당하고 있는 우리의 뇌가 휴식하고 재정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이다.

매혹적인 생각, 치명적인 아이디어
그리고 인생을 바꾼 만남은
언제나 모니터 밖의 세상에서 시작되었다!

혹시 몇 날 며칠 고민해도 도저히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던 문제의 해법이, 그 문제와 전혀 상관없는 공간 혹은 사람들과의 대화 도중 불현듯 떠오른 적이 없는가? 멍하니 창밖을 바라보다가, 운전하다가, 그리고 잠을 청하려 자리에 누워 있다가 전구에 불이 들어오듯 갑자기 좋은 생각이 떠오른 적 없는가? 그 순간이 바로 뇌가 휴식하고 재정비하는 시간, 그리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팝콘처럼 튀어 오르는 순간이다.
뉴턴은 사과나무 아래서 멍 때리던 순간 만유인력의 실마리를 발견하였으며, 아르키메데스 역시 목욕탕에서 아무 생각 없이 앉아 있다가 부력의 원리를 발견했다. 이처럼 우리가 흔히 말하는 멍한 순간, 아무것도 하지 않고 넋을 놓고 앉아 있는 순간은 결코 무의미한 시간이 아니다. 오히려 머리가 휴식하고 생각을 재정비하는 창조의 시간이다.
전설적인 투자자 워런 버핏 매일 아침 멍하니 앉아 창밖이나 천장을 바라보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하며, 스티브 잡스 역시 모든 디지털 기기를 벗어 던진 채 하염없이 산책을 즐겼다고 한다. 독일의 철학자 칸트, 프랑스의 천재 시인 랭보, 음악의 거장 베토벤 또한 산책이나 사람들과의 대화를 통해 머리를 비우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우리가 세상의 속도에 떠밀려 하나라도 더 배우고 채우기 위해서 달려오는 동안, 그들은 버리고 비우기 위한 시간을 가졌던 셈이다. 멍 때리는 시간이야말로 우리의 두뇌를 깨우고 명쾌하게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기계가 아닌 사람에 대한 관심이야말로 우리 삶을 따뜻하고 풍요롭게 만드는 지름길이다.
매혹적인 생각, 치명적인 아이디어 그리고 인생을 바꾼 만남은 언제나 모니터 밖의 세상에서 창조되었다. 그러니 지금 당장 당신에게 멍 때림을 허락하라. 그곳에 당신이 발견해주기를 바라는 ‘무언가’가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신동원(지은이)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이자 아들과 딸, 두 아이의 엄마. 독서에 푹 빠져 지내던 어린 시절, 아버지 서가에서 우연히 발견한 프로이트의 《꿈의 분석》에 이끌려 정신과 의사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그중에서도 국내 362명밖에 되지 않는 ‘소아청소년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된 까닭은, 조금이라도 어린 나이에 환경과 양육을 바꿔주면 한 사람의 인생이 눈에 띄게 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깊은 소명 의식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연세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전임강를 역임했으며, 미국뉴저지주립대학의 신경과학센터와 시카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정신과에서 연수했다. ADHD 환자에 대한 연구로 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2005년 영국 케임브리지 국제인명센터IBC로부터 ‘올해의 의학자’에 선정되었고, 같은 해 미국인명연구소ABI가 발간하는 인명사전 《마르키스 후즈 후》에 등재되었다. 현재 강북삼성병원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교수로 후학을 양성하는 한편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 《멍 때려라!》 《엄마가 될 너에게》《딸바보가 그렸어,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공저)》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프롤로그 : 나는 멍 때린다, 고로 존재한다 = 4
PART 1 로그인으로 시작해 로그아웃으로 끝나는 관계 
 01 와이파이와 커피 중 무엇을 선택하겠습니까? = 15
  우리가 만들어가는 관계의 지도
  더불어 사는 능력 세계 꼴찌
  대면 없는 소통, 체온 없는 관계
  자신이 쌓은 성에 갇힌 사람들 
 02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건 '접속'이 아니라 '접촉'이다 = 33
  한 달에 한 번 얼굴 보기도 어려운 동료들
  갓난아기도 타인의 감정을 읽는다
  표정에 따라 기분도 달라진다
  상대의 목소리가 아닌 '침묵'에 주의를 기울여라
  모니터가 아닌 사람의 눈과 마주하라 
 03 후천성 자폐증후군을 경계하라 = 45
  감정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
  '공감능력의 결여'라는 감정장애
  배부른 호랑이보다 굶주린 맹수가 더 무섭다
  우리는 너무 쉽게 '이해한다'라고 말한다 
 04 상대의 심리를 읽는 혜안과 마음을 움직이는 지혜 = 57
  파충류의 뇌, 구포유류 뇌, 신포유류 뇌
  21세기 문맹자는 '감정 문맹자' 
 05 법정 스님도 마지막까지 버리기 힘들었다는, 단 하나의 그것 = 66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완장을 찬 사람들의 심리
  당신들, 내 스타일 아니거든 
PART 2 '멍 때리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삶은 풍요로워진다 
 01 '멍 때리기'가 필요한 순간 = 79
  멀티태스킹을 멈춰라
  당신의 생각은 안녕하십니까?
  뇌의 기초 값을 주목하라
  생각을 채우려면 머리부터 비워라 
 02 정보의 바다에서 불안한 이유 = 91
  노모포비아증후군에서 벗어나라
  문제는 사람이지 도구가 아니다
  불면증이 증가하는 원인
  불안과 걱정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공포가 주는 메시지에 주목하라 
 03 지나친 정보가 생각을 죽인다 = 103
  통합되지 않은 정보는 실수를 부른다
  평범한 경험이 모여 비범한 지혜를 만든다
  우리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이메일의 함정
  아는 자가 모르는 자를 지배한다
  이제는 시간 싸움이 아니라 역량 싸움이다
  정보의 속도를 따라가지 마라
  태초 이래 인류는 항상 바빴다 
 04 잃어버린 집중력을 찾아서 = 116
  제품 '정보'를 묻는 여자, 제품 '위치'를 묻는 남자
  사고의 흐름을 차단하고 방해하는 하이퍼텍스트
  책이 가진 네 가지의 힘
  생각을 살찌우는 최고의 비결 
 05 우리 주위에 있는 사람을 발견하라 = 127
  리틀 몬스터가 된 소년
  전두엽의 퇴화는 사회적 노화를 동반한다 
PART 3 '강제적 습관'으로 뇌를 재구성하라 
 01 늘 새로운 것을 배우고 습득하는 능력 = 137
  인간이 이렇게 오래 산 시대는 없었다
  행복에도 공식이 있다 
 02 무한 잠재력, 뇌의 가소성을 활용하라 = 143
  시냅스를 단련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로미오와 줄리엣에게 비극적 결말을 안겨준 전두엽
  런던 택시기사의 해마가 일반인보다 큰 이유
  삶을 건강하게 만드는 힘, 망각 
 03 좋은 생각이 뇌 구조를 바꾼다 = 154
  오감으로 기억하기
  뇌가 좋아하는 추억을 남겨라 
 04 습관도 변화시키는 생각의 힘 = 161
  새로운 경험은 새로운 뇌 회로를 만든다
  습관은 의지가 아니라 시냅스가 결정한다
  반복은 반드시 뇌에 흔적을 남긴다
  시냅스 형성에 힘을 기울여라 
 05 멍 때릴 여유가 없다면 잠이라도 제대로 자라 = 170
  꿈에서 유레카를 발견한 사람들
  잘 때도 사색하는 뇌의 메커니즘 
 06 지금 이 순간에 몰입하라 = 179
  늘 갈망하고 우직하게 나아가라
  재수 좋은 놈을 이기는 미친놈이 되라
  타인의 시선에서 벗어나라 
 07 신뢰의 뇌, 고통의 뇌, 죄책감의 뇌 = 191
  우리는 왜 다른 사람의 부탁을 들어주는가?
  전두엽의 비밀, 신뢰의 뇌
  죄수의 딜레마와 신뢰 게임
  뇌가 가진 신용평가 메커니즘 
 08 생각의 '균형'을 잡아라 = 203
  타인의 아픔에도 반응하는 고통의 뇌
  죄책감의 뇌
  인간은 타고난 거짓말쟁이다 
PART 4 머리는 비우고, 사람은 채워라 
 01 관계에도 안전거리는 필요하다 = 215
  지나친 착각은 외톨이를 만든다
  높은 자리에 오를수록 입이 아닌 귀를 열어라
  소통, 조화, 균형의 삼박자를 갖춰라 
 02 오늘이 생의 마지막인 것처럼 살아라 = 222
  기쁨보다 고통이 더 기억에 남는 이유
  친구가 필요하면 먼저 손을 내밀어라 
 03 귀할수록 잘 보듬어라 = 228
  가족의 생활을 파악하라
  사랑할수록 예의를 갖춰라
  굳이 판도라의 상자를 열지 마라 
 04 삶은 부메랑이다 = 237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사람들
  말과 행동은 반드시 되돌려받는다 
 05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능력 점검하기 : 사회성을 개선하는 여섯 가지 방법 = 241
 06 내가 아닌 상대를 생각하면 문제해결이 쉬워진다 = 248
  선천적 유전자 vs 후천적 환경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인간발달 과정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 8단계
  상대가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하라 
 07 잡념에서 벗어나는 아홉 가지 방법 : 마음이 무거운 사람은 생각도 많다 = 258
에필로그 : 더 잘 배우고, 더 잘 깨우치고, 더 나은 생각을 떠올리기 위해서 = 274

관련분야 신착자료

Talus (2023)
Siddhartha, Bikram Panday (2022)
田中ひかる (2022)
橋口さおり (2022)
松本健治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