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3
들어가며 = 19
1. 교섭과 교류 = 19
2. 백제 대외관계사의 시기 구분 = 23
3. 교섭과 교류를 보는 기본 시각 = 25
4. 전쟁과 첩보 = 29
5. 항해로 = 34
제1편 사신단의 구성과 역할
제1장 외교 관련 용어의 정리 = 41
제1절 공(貢)ㆍ헌(獻)과 송(送) = 41
제2절 강화(講和)ㆍ결호(結好)와 빙(聘) = 43
제3절 속(屬)과 신속(臣屬) = 46
제2장 사신단의 조직과 활동 = 50
제1절 사신단의 조직과 규모 = 50
1. 규모와 조직 = 50
2. 이역(吏譯)층의 형성 = 54
제2절 사신단의 활동 = 56
1. 사신단의 종류 = 56
2. 사신단의 접대와 활동 = 59
제2편 초기백제 시기
제1장 진한ㆍ변한과의 관계와 교류 = 71
제1절 진한과의 관계 = 71
제2절 변한과의 관계 = 74
제3절 문물 교류 = 76
1. 관직과 칭호 = 76
2. 유물을 통해 본 문물 교류 = 79
제2장 말갈(예)과의 관계 = 83
제1절 '북유말갈 동유낙랑(北有靺鞨 東有樂浪)'과 한북예(漢北濊) = 83
제2절 말갈(예) 세력과의 관계 = 85
제3장 낙랑ㆍ대방군과의 교섭과 교류 = 87
제1절 낙랑군과의 관계 = 87
제2절 낙랑ㆍ대방군과의 관계 = 89
1. 공손씨 세력의 대방군 설치와 조위(曹魏) 시기 기리영 전투 = 89
2. 서진(西晉) 시기 낙랑군ㆍ대방군과의 화호와 갈등 = 92
제3절 문물 교류 = 95
1. 관호와 인수ㆍ의책 = 95
2. 유물을 통해 본 문물 교류 = 96
제4장 왜와의 교섭과 교류 = 99
제1절 왜와의 교섭 = 99
제2절 문물 교류 = 100
제3편 한성도읍기
제1장 고구려, 신라, 가야제국과의 교섭과 교류 = 105
제1절 남방 경략의 단행과 신라, 가야와의 관계 = 105
1.《일본서기》신공기 49년조의 주요 논점 = 105
2. 신라와의 우호 관계 수립: '약위형제(約爲兄弟)' = 108
3. 가야제국과의 우호 관계: '후결친호 이위자제(厚結親好 以爲子弟)' = 112
제2절 고구려의 남진과 백제의 북진 정책의 대결 = 114
1. 백제의 평양성 공격과 고국원왕의 전사 = 114
2.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공격과 백제의 곤경 = 116
제3절 백제ㆍ가야ㆍ왜 연합 대 고구려ㆍ신라 연합 세력의 대결 = 120
1. 가야를 둘러싼 백제와 신라의 갈등과 신라의 친고구려 정책 = 120
2. 백제와 왜의 연합 = 122
제4절 고구려의 남진 재개와 제라동맹의 결성 = 127
1. 백제와 고구려 사이의 소강상태 = 127
2. 고구려의 남진 재개와 제라동맹의 결성 = 128
3.《송서》왜전이 보여주는 백제와 고구려의 충돌 = 130
제5절 고구려의 한성 함락과 제라동맹의 작동 = 132
1. 개로왕의 대(對)고구려 포위망 형성과 북위에의 접근 = 132
2. 고구려의 한성 함락과 개로왕의 죽음 = 134
3. 신라의 백제 구원 = 137
4. 고구려군의 추격 중단의 배경 = 138
제6절 삼국 사이의 문물 교류 = 140
1. 지방통치조직과 도사 = 140
2. 문물 교류품 = 143
제2장 중국 여러 왕조와의 교섭과 교류 = 150
제1절 진ㆍ송과의 교섭 = 150
1. 동진과의 교섭 = 150
2. 송과의 교섭 = 153
제2절 전진과 북위 및 물길과의 관계 = 155
1. 전진과의 교섭 = 155
2. 북위와의 교섭 = 161
3. 물길과의 관계 = 169
제3절 진과 송 및 북위와의 문물 교류 = 172
1. 진과 송과의 교류 = 172
2. 5호16국 및 북위와의 문물 교류 = 183
3. 유물을 통해 본 문물 교류 = 188
제3장 왜와의 교섭과 교류 = 196
제1절 왜와의 교섭 재개와 교통로 = 196
1. 왜와의 교섭 재개 = 196
2. 다사진 확보 = 197
제2절 왜 오왕의 자칭호와 "도평해북"의 실체 = 199
1. 왜왕 자칭호(自稱號)와 백제 = 199
2. 동정ㆍ서복ㆍ도평해북(東征ㆍ西服ㆍ渡平海北)의 시기와 대상 = 201
제3절 문물 교류 = 209
1. 문헌자료에 보이는 문물 교류 = 209
2. 유물을 통해 본 문물 교류 = 216
제4편 웅진도읍기
제1장 웅진 천도와 역사적 의미 = 221
제1절 문주왕의 웅진 천도 = 221
제2절 웅진 천도의 역사적 의미 = 223
제2장 고구려, 신라, 가야와의 교섭과 교류 = 225
제1절 고구려와의 국경선 = 225
1. 지명 검토 = 225
2. 고구려와의 국경선 = 229
제2절 고구려, 신라와의 관계 = 232
1. 제라(濟羅) 공수동맹의 작동과 탄현책(炭峴柵) 설치 = 232
2. 고구려에 대한 대응과 신라와의 연대 = 237
제3절 가야와의 관계 = 241
1. 가야의 남제로의 사신 파견과 백제 = 241
2. 가야의 신라 구원과 백제 = 243
3. 기생반숙녜의 반란과 백제 = 244
4. 백제의 섬진강 유역 진출과 가야의 대응 = 248
제4절 신라, 가야와의 문물 교류 = 255
1. 신라의 유교, 불교의 수용과 백제의 영향 = 255
2. 가야의 불교 수용과 백제의 영향 = 259
3. 유물을 통해 본 문물 교류 = 261
제3장 남제, 양, 북위와의 교섭과 교류 = 267
제1절 남제와의 교섭 재개 = 267
제2절 양과의 교섭과 '갱위강국(更爲彊國)' 선언 = 270
1. 양과의 교섭 = 270
2. '갱위강국' 선언과 '방소국(旁小國)' = 273
제3절 북위와의 관계 = 275
1. '위로(魏虜)'의 실체와 북위에 대한 동성왕의 인식 = 275
2. 무령왕의 북위와의 교섭 = 283
제4절 남제, 양, 북위와의 문물 교류 = 286
1. 문헌자료에 보이는 문물 교류 = 286
2. 유물을 통해 본 문물 교류 = 294
제4장 왜와의 교섭과 교류 = 300
제1절 곤지(琨支)의 파견과 귀국 = 300
1. 곤지의 왜국 파견 = 300
2. 곤지의 귀국과 죽음 = 304
제2절 동성의 즉위와 대왜 관계 = 305
1. 동성왕의 즉위 = 305
2. 왜와의 갈등 = 306
제3절 왜와의 관계 개선 = 308
제4절 왜와의 문물 교류 = 310
1. 문헌자료에 보이는 문물 교류 = 310
2. 유물을 통해 본 문물 교류 = 310
제5편 사비도읍기
제1장 사비 천도와 국가체제 정비 = 319
제1절 성왕의 사비 천도 = 319
제2절 국가체제의 정비 = 320
제2장 고구려, 신라, 가야와의 교섭과 교류 = 322
제1절 신라ㆍ가야와의 관계 = 322
1. 신라와의 관계 = 322
2. 가야와의 관계 = 324
제2절 삼국연합군의 고구려 공격과 한강 유역 회복 = 332
1. 고구려의 내부 상황 = 332
2. 삼국연합군의 고구려 공격과 한강 유역의 회복 = 334
제3절 관산성 패전과 한강 유역의 상실 = 336
1. 나려 연합과 백제 공격 = 336
2. 백제의 반격과 실패 = 339
제4절 문물 교류 = 345
1. 경제(◆U690B◆制) = 345
2. 고구려와의 문물 교류 = 347
3. 신라와의 문물 교류 = 348
제3장 남북조와의 다변 외교와 교류 = 351
제1절 양과의 교섭 = 351
제2절 북조의 분열과 다변 외교 추진 = 352
제3절 문물 교류 = 353
1. 양과의 문물 교류 = 353
2. 북조와의 문물 교류 = 357
3. 유물을 통해 본 문물 교류 = 361
제4장 수, 신라, 고구려와의 관계 = 363
제1절 수의 통일과 백제의 군도(軍導) 요청 = 363
1. 수의 통일과 백제의 대수(對隋) 접근 = 363
2. 백제와 신라의 공방 = 366
제2절 백제의 '실지양단(實持兩端)' 정책과 신라의 대응 = 367
1. 실지양단 정책의 추진 = 367
2. 백제의 신라에 대한 공격 강화와 신라의 대응 = 369
제5장 당, 신라, 고구려와의 교섭과 교류 = 371
제1절 백제의 '여제연병(麗濟連兵)' 정책과 신라, 당의 대응 = 371
1. 당의 통일과 백제의 실지양단 정책의 고수 = 371
2. '여제연병' 성립의 배경 = 374
3. 백제ㆍ고구려의 신라 공격과 신라의 대응 = 381
제2절 나당동맹의 결성과 백제의 대응 = 393
1. 신라의 친당 정책 추진과 당의 신라 지지 = 393
2. 나당동맹의 결성과 백제의 대응 = 395
3. 제려 연합군의 신라 공격 = 398
제3절 수, 당과의 문물 교류 = 402
1. 수와의 문물 교류 = 402
2. 당과의 문물 교류 = 403
제6장 왜와의 교섭과 교류 = 413
제1절 왜의 대수(對隋) 접근과 백제의 견제 = 413
1. 왜의 대수 접근과 백제의 국서 탈취 = 413
2. 왕자 풍장(豊璋)의 파견 = 417
제2절 왜와의 갈등과 화호 = 420
1. 의자왕 초기의 정변과 대왜 관계의 냉각 = 420
2. 왜의 다이카 개신 단행과 대백제 정책 = 426
3. 부여풍의 파견과 왜와의 화호 = 428
제3절 문물 교류 = 431
1. 문헌자료에 보이는 교역품과 교류의 성격 = 431
2. 사상과 학문의 전파 = 433
3. 기술과 기예의 전수 = 444
나가며 = 450
1. 대왕의식과 조공원리의 활용 = 450
2. 백제 대외 교섭과 교류의 특징 = 458
3. 고대 동북아 공유(共有)문화권 형성과 백제 = 469
참고문헌 = 475
찾아보기 =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