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21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37049 | |
005 | 20130129212229 | |
007 | ta | |
008 | 130129s2013 ggkd 000c kor | |
020 | ▼a 9788942311620 ▼g 94910 | |
020 | 1 | ▼a 9788942300686 (전4권)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52.6509519 ▼2 23 |
085 | ▼a 352.650953 ▼2 DDCK | |
090 | ▼a 352.650953 ▼b 2013 | |
100 | 1 | ▼a 한영우 ▼0 AUTH(211009)77316 |
245 | 1 0 | ▼a 과거(科擧), 출세의 사다리 : ▼b 족보를 통해 본 조선 문과급제자의 신분이동 : ▼b 태조~선조 대 / ▼d 한영우 |
246 | 1 1 | ▼a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 ▼b the ladder of success : social mobility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passers seen through family genealogies during Joseon dynasty 1392~1608 |
246 | 3 | ▼a 과거, 출세의 사다리 |
260 | ▼a 파주 : ▼b 지식산업사, ▼c 2013 | |
300 | ▼a 635 p. : ▼b 도표 ; ▼c 24 cm | |
440 | 0 0 | ▼a 이화학술원 지성사총서 ; ▼v 8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650953 2013 | Accession No. 1116864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52.650953 2013 | Accession No. 1212234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52.650953 2013 | Accession No. 1513149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52.650953 2013 | Accession No. 11168649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52.650953 2013 | Accession No. 12122348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52.650953 2013 | Accession No. 15131490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선왕조 500년 동안 배출된 문과(대과)급제자 약 1만 5천 명의 신원을 <문과방목>, <족보>, <실록> 등의 자료를 통해 전수조사하고, 원고지 1만 2천 장으로 분석, 이들이 벼슬아치의 후예인지 아니면 신분이 낮은 '개천에서 솟아난 용'인지를 밝힌 방대한 작업이 책으로 정리되어 나왔다.
왕대별로 급제자 수와 신분이 낮은 급제자 수, 구체적으로 신분이 낮은 급제자는 누구인지, 어째서 그렇게 분류했는지, 그 증거가 무엇인지까지 책에 담고 있다.
조선왕조 500년 동안 배출된 문과(대과)급제자 약 1만 5천 명(정확하게는 1만 4,615명)의 신원을 《문과방목》, 《족보》, 《실록》 등의 자료를 통해 전수조사하고, 원고지 1만 2천 장으로 분석, 이들이 벼슬아치의 후예인지 아니면 신분이 낮은 ‘개천에서 솟아난 용龍’인지를 밝힌 방대한 작업이 정리되어 나왔다.
왕대별로 급제자 수와 신분이 낮은 급제자 수, 구체적으로 신분이 낮은 급제자는 누구인지, 어째서 그렇게 분류했는지, 그 증거가 무엇인지까지 책에 담고 있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조선시대 신분제도의 의외의 개방성에 놀라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 나열된 급제자 명단과 통계적 수치는 연구자들에게 사료적 가치까지 줄 수 있다.
저자는 이미 1970년대부터 조선시대 신분구조와 신분이동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양반의 특권과 세습성을 주장하는 연구자들과 토론하면서, 기존 학계의 통설에 이의를 제기하여 왔다. 조선 초기 15세기에는 양반, 중인, 평민이 확연히 대립된 신분구조가 아니라 양인과 노비가 양립되는 구조라는 것과, 16세기 후반 이후부터 서서히 벼슬아치 양반의 세습성이 높아지기 시작하여 17세기에 이르러 양반, 중인, 평민의 계층구조가 성립되었으며, 18세기 후반기 이후부터 신분상승운동이 활발하게 나타나면서 양반신분제가 붕괴되기 시작한다는 것이 기본논지였다.
조선이 건국된 태조 대부터 선조 대까지를 다룬 이 책은 전4권 가운데 제1권에 해당한다. 제2권은 광해군에서 영조 대까지, 제3권은 정조부터 철종 대까지, 제4권은 고종 대를 다루게 될 것이다. 지난 5년 동안 저자가 마무리한 이 작업은 이제까지 저자가 주장해 온 논지를 구체적인 통계적 수치를 가지고 뒷받침하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저자의 이번 작업은 앞으로 조선시대 신분사는 물론 조선왕조 정치사, 사회사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말할 것도 없고 후대 한국사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지평을 열어줄 것이며, 광범한 논쟁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한영우(지은이)
1938년에 태어나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7년부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인문대학에 재직하였고 2003년 정년퇴직 후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소장, 규장각관장, 인문대학장을 지냈으며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위원장, 한국사연구회장, 국사편찬위원,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특임교수, 이화여대 이화학술원 석좌교수 겸 이화학술원장을 역임했다. 경암학술상, 수당학술상, 민세안재홍상 등 학술상을 아홉 차례 수상했다. 저서로는 『정도전 사상의 연구』, 『조선 전기 사학사 연구』, 『조선 전기 사회 경제 연구』, 『조선 후기 사학사 연구』, 『한국 민족주의 역사학』, 『다시 찾는 우리 역사』(한국어본, 영어본, 일어본, 러시아본), 『조선 시대 신분사 연구』, 『정조의 화성 행차 그 8일』,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역사학의 역사』, 『조선 왕조 의궤』, 『명성황후, 제국을 일으키다』,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실학의 선구자 이수광』, 『꿈과 반역의 실학자 유수원』, 『조선 수성기의 제갈량 양성지』, 『규장각 - 문화 정치의 산실』, 『한국 선비 지성사』(한국어본, 영어본), 『과거, 출세의 사다리 - 족보를 통해 본 조선 문과 급제자의 신분 이동』(1~4), 『율곡 이이 평전』, 『미래와 만나는 한국의 선비 문화』, 『미래를 여는 우리 근현대사』, 『나라에 사람이 있구나 - 월탄 한효순 이야기』 등 총 57권이 있다. 2023년 2월 향년 8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1967∼2003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인문대학 1983∼1984 미국 하버드대 객원교수 1987∼1991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장 1989∼2007 문광부 문화재위원회 사적분과 위원 사적분과위원장 1990∼1991 한국사연구회장 1991∼2000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1992∼1996 서울대학교 규장각 관장 1998∼2000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장 2003년 8월 서울대학교 정년퇴직,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2003∼2008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특임교수 한국학연구소장 2008∼2013 이화여자대학교 이화학술원 석좌교수 이화학술원장 2017 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Table of Contents
목차 들어가면서 = 5 1. 조선 전기 신분제의 성격과 양반 = 29 1) 양천제와 양반 = 29 2) 양인의 여러 계층 = 33 3)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양천제의 차이점 = 57 4) 양인의 성씨 = 59 5) 양인의 거족:《용재총화》의 거족 = 63 6) 기술직 장려와 기술관 우대 = 67 7) 18세기 초 유수원이 본 조선 초기 신분구조 = 71 2.《경국대전》에 규정된 문과응시자격 = 75 1) 벼슬아치가 되는 길 = 75 2) 문과응시자의 자격:《경국대전》,《대전후속록》,《경국대전주해》의 규정 = 77 3) 식년시급제자의 인원과 지방안배, 별시 = 80 3. 문과급제자 신분이동 연구자료 = 85 1)《족보》와《방목》의 자료적 가치와 한계 = 85 2) 성씨, 성관의 변화와 인구자료 = 92 3)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유형 = 99 4. 태조-정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103 1) 이용자료와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103 2) 신분이 낮은 급제자 = 106 3)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112 4) 태조-정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115 5. 태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129 1)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129 2) 신분이 낮은 급제자 = 130 3)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139 4) 태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142 6. 세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175 1)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175 2) 신분이 낮은 급제자 = 176 3)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185 4) 세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189 7. 문종-단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225 1)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225 2) 신분이 낮은 급제자 = 226 3)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233 4) 문종-단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235 8. 세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255 1)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255 2) 신분이 낮은 급제자 = 256 3)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264 4) 세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267 9. 예종-성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293 1)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293 2)《경국대전》의 응시자격 규정 = 294 3) 신분이 낮은 급제자 = 295 4)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306 5) 예종-성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310 10. 연산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341 1)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341 2) 신분이 낮은 급제자 = 342 3)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350 4) 연산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352 11. 중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367 1) 중종 대 서얼차대 심화:《대전후속록》편찬 = 367 2)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371 3) 신분이 낮은 급제자 = 372 4)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391 5) 중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394 12. 명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457 1) 명종 대 서얼 차대 강화와 서얼허통 = 457 2)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458 3) 신분이 낮은 급제자 = 459 4)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471 5) 명종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474 13. 선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와 벼슬 = 503 1) 시험과목별 급제자 인원 = 503 2) 신분이 낮은 급제자 = 504 3)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벼슬 = 523 4) 선조 대 신분이 낮은 급제자 명단 = 527 14. 조선 전기 낮은 신분의 문과급제자에 대한 종합적 정리 = 597 1)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비율 = 597 2) 신분이 낮은 급제자로 3품 이상 고관에 오른 인원 = 599 3) 신분이 낮은 급제자의 여러 유형 = 601 4) 조선 전기 전주이씨 급제자의 인원 = 632 5) 나가면서 = 6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