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39c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735926 | |
005 | 20130122173922 | |
007 | ta | |
008 | 130121s2012 ggk b 000c kor | |
020 | ▼a 9788965132158 ▼g 13150 | |
035 | ▼a (KERIS)BIB000013015192 | |
040 | ▼a 242001 ▼d 211009 | |
082 | 0 4 | ▼a 001.3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12z22 | |
100 | 1 | ▼a 김경윤 ▼0 AUTH(211009)121051 |
245 | 2 0 | ▼a (페르소나와 아니마의 갈림길에서) 처음 만나는 우리 인문학 / ▼d 김경윤 지음 |
260 | ▼a 파주 : ▼b 아포리아 : ▼b 아름다운사람들, ▼c 2012 | |
300 | ▼a 296 p. ; ▼c 22 cm | |
504 | ▼a 참고문헌 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12z22 | 등록번호 1116852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01.3 2012z22 | 등록번호 1513146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12z22 | 등록번호 11168523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 청구기호 001.3 2012z22 | 등록번호 15131462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사고의 첫 탄생은 우리 인문학에서 나온다. 이 책은 우리 인문학의 대가들을 소개하며, 그들의 삶이자 우리의 역사가 된 주제를 중심으로 인문학을 풀어내고 있다. 또한 ‘우리 인문학’을 통해 우리 고유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현재를 진단할 수도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당대를 치열하게 살았던 대가들의 철학, 문학, 역사에 관한 불꽃 튀는 고민과 이슈들을 현재의 시각으로 만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어려운 주제를 편안한 문체로 쉽고 친절하게 풀어냈기 때문에 인문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우리 인문학’에 목말랐던 사람들의 갈증 또한 해소시켜줄 것이다.
사고의 첫 탄생은 우리 인문학에서 나온다
철학, 문학, 역사에 관한 불꽃 튀는 이슈들
인문학을 하기 위해서는 모든 활동의 주체인 ‘나’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은 좋고 유명하다는 서양철학을 공부하는 것으로 인문학을 시작한다. 그렇다면 우리가 먼저 찾고 꼭 알아야 할 ‘우리 인문학’은 없는 것일까? 바로 그것에 대한 해답을 주는 책이 『처음 만나는 우리 인문학』이다.
이 책은 ‘우리’에 속한 나를 이해하고, 인문학적 토대를 진정한 우리의 것으로 쌓는 데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이 책은 우리 인문학의 대가들을 소개하며, 그들의 삶이자 우리의 역사가 된 주제를 중심으로 인문학을 풀어내고 있다. 또한 ‘우리 인문학’을 통해 우리 고유의 문제의식을 공유하며 현재를 진단할 수도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당대를 치열하게 살았던 대가들의 철학, 문학, 역사에 관한 불꽃 튀는 고민과 이슈들을 현재의 시각으로 만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어려운 주제를 편안한 문체로 쉽고 친절하게 풀어냈기 때문에 인문학을 처음 접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우리 인문학’에 목말랐던 사람들의 갈증 또한 해소시켜줄 것이다.
철학, 사유와 실천의 사회적 근거
철학은 마냥 어렵지도 않고, ‘먹고사는 데 도움 안 되는’ 학문도 아니다. 철학은 당대 사람이 느낀 문제에 대한 고민의 과정과 결과이며, 후대의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모색이기도 하다.
우리가 사용하는 천 원짜리 지폐의 모델인 퇴계 이황은 무슨 생각으로 ‘자신을 위해 공부하라’고 했던 것일까? 학창 시절 교과서에서 본 성호 이익은 무엇 때문에 ‘노동은 귀하고 귀한 것’이라 생각했을까? 우리나라 철학자 중 유일하게 이름에 ‘자(子)’를 붙이는 송자 송시열에게 ‘곧음’이라는 것은 어떤 의미였을까? 19세기를 대표하는 학자 최한기는 왜 ‘밖에서 안을 바라보는 생각’을 했는가? 책을 여는 첫 장인 <철학>에서는 진리와 살아가는 방법 등을 고민하고 자기 삶의 체계를 세운 열다섯 명의 우리 철학 대가들을 소개하고 있다. 동시에 그들은 어떤 고민을 했으며 그들이 한 고민의 결과는 무엇인지를 엿볼 수 있게 한다. 나보다 먼저 이 땅에 살았던 대가들과 그들의 사유 업적을 통해 나는 무엇을 고민해야 하고, 어떻게 살아야 할지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문학, 사람의 마음을 뒤흔든 시대의 언어
인문학의 한 영역인 문학은 그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인문학의 다른 영역들에 비해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분야이기도 하다. 두 번째 장인 <문학>에서는 삼국시대 설총에서부터 조선 말기 황현에 이르기까지 열 명의 우리 문학 대가와 그들의 문학적 업적 및 고민을 함께 소개하고 있다. 철학적 기초 위에 사람 냄새 물씬 풍기는 문학을 더함으로 삶의 다양성을 살펴볼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그들이 남긴 문학작품을 통해 사람을 이해하고 시공을 초월한 공감대를 만들어갈 수도 있게 했다.
문학은 자신의 정서를 표현하는 수단이기도 하지만, 잘못 흘러가고 있는 시대 상황에 맞서 싸우는 감정의 정신이자 도구이기도 하다. 우리가 흔히 읽고 느끼는 문학은 과연 지금 이 시대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을까?
역사, 자신을 찾아가는 시간의 지도
인문학에서 역사는 일종의 ‘거울 보기’와 같다. 거울을 보면서 우리 모습을 점검하고 고치듯이, 역사라는 거울을 통해 지금의 우리 모습을 되돌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책을 마무리하는 장인 <역사>에서는 우리 역사를 기록한 역사가뿐만 아니라 역사적 전환기에 활동했던 역사적 인물들을 소개한다. 역사의 현장에서 벗어나지 않고 용감하게 그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다했던 선인들의 고민과 행동을 통해 지금 나는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고민하고 깨달을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한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의 삶이 녹아 있는 역사, 그리고 그 거대한 시간의 흐름 속 주요한 곳에서 시대에 맞서 치열하게 고민하고 행동했던 열네 명의 학자들. 단군에서 김구까지, 우리는 이들의 삶과 시대를 살펴보며 ‘훗날 역사가 될 지금을 나는 과연 제대로 살고 있는 것일까?’라는 생각을 하게 될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경윤(지은이)
인문학 작가, 자유청소년도서관 대표, 인문학놀이터 참새방앗간 지기입니다. 서울에서 태어나 살다가 21세기에 고양시로 이사했고, 이곳을 제2의 고향으로 여기며 살고 있습니다. 책 쓰고, 강의하고, 농사짓고, 뭔가 즐거운 일을 꾸미는 것을 좋아합니다. 최근에는 글쓰기와 책 쓰기 강좌를 열어 예비 작가들과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명상하는 아내, 그림 그리는 큰아들, 군인이 된 작은아들과 재미나게 살 궁리를 하며 삽니다. 지역에서 독서 모임, 북토크 등 책과 관련된 일을 기획하고 실행하는 재미에 폭 빠져 있습니다. 미래 세대가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건강한 마을 만들기에도 힘을 보탭니다. 사랑과 정의가 넘치는 나라를 소망합니다. 지은 책으로는 《책 쓰는 책》 《논어 : 참된 길을 묻다》 《장자 : 가장 유쾌한 자유와 평등 이야기》 《장자, 아파트 경비원이 되다》 《예수, 신의 아들이 되다》 《허균, 서울대 가다》 《박지원, 열하로 배낭여행 가다》 등 다수가 있습니다.

목차
목차 우리 인문학을 소개합니다 = 4 01 철학 : 사유와 실천의 사회적 근거 '일심'패러다임 : 원효 = 15 한 티끌 속에 온 세상 : 의상 = 22 풍류도, 바람의 길을 따라서 : 최치원 = 28 분열의 길, 일치의 길 : 의천 = 34 마음을 닦아라 : 지눌 = 40 사색의 공부 방법 : 서경덕 = 46 자신을 위해 공부하라 : 이황 = 54 어머니의 이름으로 : 이이 = 61 곧음의 폭력사 : 송시열 = 68 마음의 길을 따라 : 정제두 = 76 조선의 토지공개념 : 유형원 = 83 노동의 고귀함 : 이익 = 90 에콜로지를 꿈꾸며 : 홍대용 = 97 철옹성을 해체하는 방법 : 정약용 = 104 외부에서 사유하라 : 최한기 = 112 02 문학 : 사람의 마음을 뒤흔든 시대의 언어 화왕에게 주는 충고 : 설총 = 121 생명 평등의 길 : 이규보 = 129 광기의 퍼포먼스 : 김시습 = 135 페르소나와 아니마의 갈림길에서 : 정철 = 142 괴물의 탄생 : 허균 = 150 인간을 멀리하고 자연을 벗 삼아 : 윤선도 = 156 위험한 언어, 민중의 언어 : 박지원 = 164 존재론적 지식의 탐구 : 이덕무 = 170 실사구시, 현실에서 옳음을 찾아라 : 김정희 = 178 지식인의 역할 : 황현 = 185 03 역사 : 자신을 찾아가는 시간의 지도 인간됨의 길 : 단군 = 195 우리 역사를 찾아서 : 김부식 = 201 기록되지 못한 역사, 기록해야 할 역사 : 일연 = 209 붉은 마음 다시 살아나 : 정몽주 = 217 건국의 디자이너 : 정도전 = 223 개혁의 초코드화 : 조광조 = 230 죽음으로 살아남은 사람 : 성삼문 = 238 지식인을 없애라 : 박제가 = 246 위정척사, 올바름을 지키고 사특함을 물리쳐라 : 최익현 = 253 통한의 역사 속에서 : 박은식 = 259 자율주의를 위하여 : 신채호 = 265 동방에서 탄생한 위대한 종교 : 최제우 = 275 나라를 준비하다 : 여운형 = 284 가장 아름다운 나라 : 김구 = 290 도움을 받은 책 = 2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