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行政學新論 新訂版(重版)

行政學新論 新訂版(重版)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연호 朴璉鎬
서명 / 저자사항
行政學新論 / 朴璉鎬 著
판사항
新訂版(重版)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1998  
형태사항
xxxix, 913 p. ; 25 cm
ISBN
8910450738
서지주기
참고문헌(p. 875-894)과 색인수록
000 00672n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35689
005 20130122154140
007 ta
008 130121s1998 ulk b 001c kor
020 ▼a 8910450738 ▼g 9335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51 ▼2 23
085 ▼a 351 ▼2 DDCK
090 ▼a 351 ▼b 1998k3
100 1 ▼a 박연호 ▼g 朴璉鎬
245 1 0 ▼a 行政學新論 / ▼d 朴璉鎬 著
250 ▼a 新訂版(重版)
260 ▼a 서울 : ▼b 博英社, ▼c 1998
300 ▼a xxxix, 913 p.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875-894)과 색인수록
536 ▼a 본 저서는 1994년도 경희대학교 교비지원연구비로 제작되었음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51 1998k3 등록번호 1116855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목차

제1편 基礎理論

 제1장 行政國家와 現代政府

  제1절 國家觀의 變遷과 行政機能의 變化 = 3

  제2절 現代行政의 機能 = 6

   Ⅰ. 社會安定化機能 ; social stabilization function = 6

   Ⅱ. 國家形成機能 ; nation building function = 7

   Ⅲ. 經濟管理機能 ; economic management function = 7

   Ⅳ. 社會福祉機能 ; social welfare function = 7

   Ⅴ. 環境 및 人口統制機能 ; environmental and population control function = 8

  제3절 現代行政의 特徵과 過程 = 8

   Ⅰ. 現代行政의 特徵 = 8

   Ⅱ. 行政官의 役割 = 10

   Ⅲ. 行政의 過程 = 12

  제4절 行政과 環境 = 13

   Ⅰ. 一次的 環境(內的 環境) = 15

   Ⅱ. 二次的 環境(外的 環境) = 18

 제2장 行政의 槪念

  제1절 行政槪念의 多樣性 = 21

   Ⅰ. 行政法學的 行政槪念 = 21

   Ⅱ. 行政學的 行政槪念 = 22

   Ⅲ. 行政의 槪念規程 = 24

  제2절 公行政과 私行政의 比較 = 25

  제3절 公共行政의 基本的 屬性 = 28

   Ⅰ. 公益性 = 28

   Ⅱ. 合理性 = 35

   Ⅲ. 組織性 = 39

 제3장 行政活動의 類型

  序節 行政活動의 主要分類 = 44

   Ⅰ. 機能別 分類 = 44

   Ⅱ. 對民間關係別 分類 = 44

   Ⅲ. 性質別 分類 = 45

  제1절 規制行政 = 45

   Ⅰ. 規制行政의 意義 = 45

   Ⅱ. 規制行政의 組織構造 = 47

   Ⅲ. 規制行政의 方法 = 47

  제2절 給付行政 = 48

   Ⅰ. 給付行政의 意義 = 48

   Ⅱ. 給付行政의 種類 = 49

   Ⅲ. 給付行政의 基本原理 = 50

   Ⅳ. 給付行政의 一還으로서의 助長行政 = 51

  제3절 民願行政 = 52

   Ⅰ. 民願行政의 意義 = 52

   Ⅱ. 民願의 類型 = 53

   Ⅲ. 民願行政의 發展方案 = 54

  제4절 政府仲裁와 行政指導 = 55

   Ⅰ. 政府仲裁 = 55

   Ⅱ. 行政指導 = 56

 제4장 行政文化

  제1절 行政文化의 意義 = 58

  제2절 行政文化의 內容 = 59

   Ⅰ. 先進國(기독교 문명권)의 行政文化 = 59

   Ⅱ. 우리나라의 行政文化 = 60

  제3절 行政文化의 刷新 = 63

   Ⅰ. 刷新의 必要性 = 63

   Ⅱ. 行政文化의 刷新戰略 = 63

 제5장 行政學의 發達

  제1절 行政學의 理論的 特性 = 65

  제2절 官房學과 슈타인 ; Stein의 行政學 = 66

   Ⅰ. 官房學 = 66

   Ⅱ. 슈타인의 行政學 = 68

  제3절 美國行政學의 發達背景 = 68

   Ⅰ. 思想的 背景 = 68

   Ⅱ. 行政機能의 擴大·强化 = 69

   Ⅲ. 政府改革運動과 科學的 管理論 = 69

  제4절 美國行政學의 發達 = 70

   Ⅰ. 行政學의 發端 = 72

   Ⅱ. 패러다임 1 : 政治行政二元論(1900∼1926) = 72

   Ⅲ. 패러다임 2 : 行政原理論과 이에 대한 挑戰 및 反應(1927∼1950) = 73

   Ⅳ. 패러다임 3 : 政治學으로서의 行政學(1950∼1970) = 77

   Ⅴ. 패러다임 4 : 管理學 ; management으로서의 行政學(1956∼1970) = 79

   Ⅵ. 패러다임 5 : 行政學으로서의 行政學(1970∼) = 81

   Ⅶ. 美國行政學 發達過程의 評價 = 81

  제5절 比較行政論 ; comparative administration = 84

   Ⅰ. 比較行政의 意義 = 84

   Ⅱ. 比較行政의 發達要因 = 85

   Ⅲ. 比較行政의 接近方法 = 86

   Ⅳ. 리그스의 一般體制模型 = 88

   Ⅴ. 프리즘적 社會의 行政體制模型 ; sala model = 90

   Ⅵ. 리그스의 理論模型에 대한 評價 = 91

   Ⅶ. 發展行政論과의 關係 = 91

  제6절 發展行政論 ; development administration = 92

   Ⅰ. 發展行政의 意義 = 92

   Ⅱ. 發展行政의 接近方法 = 93

   Ⅲ. 關係形成 ; institution building = 94

   Ⅳ. 國家發展을 위한 行政體制의 比較 = 97

   Ⅴ. 우리나라 發展行政의 方向 = 100

  제7절 新行政論 = 101

   Ⅰ. 新行政論의 意義 = 101

   Ⅱ. 新行政論의 內容 = 102

   Ⅲ. 組織構造의 再說計 = 104

   Ⅳ. 新行政論의 問題點과 影響 = 105

  제8절 韓國行政學 = 106

   Ⅰ. 行政學의 導入(1946∼1960) = 106

   Ⅱ. 行政學의 成長(1960년대) = 108

   Ⅲ. 行政學의 土着化 = 109

 제6장 行政學의 硏究와 體系

  제1절 行政學의 體系 = 110

   Ⅰ. 行政學의 性格과 隣接學問의 關係 = 110

   Ⅱ. 行政學의 學問的 性格 = 111

   Ⅲ. 行政學의 體系 = 113

  제2절 行政學의 接近方法 = 115

   Ⅰ. 制度的 接近方法 = 115

   Ⅱ. 歷史的 接近方法 = 115

   Ⅲ. 管理機能的 接近方法 = 116

   Ⅳ. 行態論的 接近方法 ; behavioral approach = 117

   Ⅴ. 生態論的 接近方法 ; ecological approach = 119

   Ⅵ. 體制論的 接近方法 ; systems approach = 122

   Ⅶ. 現象學的 接近方法 = 125

   Ⅷ. 人間主義的 接近方法 = 127

   Ⅸ. 批判論的 接近方法 = 129

   Ⅹ. 公共選擇論 ; public choice theory的 接近方法 = 132

 제7장 現代社會와 行政需要의 管理

  제1절 行政需要의 意義와 管理 = 137

   Ⅰ. 行政需要의 意義 = 137

   Ⅱ. 行政需要와 政府財政支出構造 = 138

   Ⅲ. 行政需要의 減縮方案 = 138

  제2절 行政需要測定과 社會指標 = 139

   Ⅰ. 社會指標의 意義 = 139

   Ⅱ. 社會指標의 要件 = 141

   Ⅲ. 社會指標開發의 問題點과 方向 = 142

  제3절 行政서비스의 民營化 = 143

   Ⅰ. 政府機能의 民營化와 公企業의 民營化 = 143

   Ⅱ. 民營化의 目的과 影響 = 146

   Ⅲ. 民營化의 方法 = 147

 제8장 行政理念

  제1절 行政理念의 意義 = 150

  제2절 行政理念의 內容 = 150

   Ⅰ. 法的 側面에서의 行政理念 : 合法性 = 150

   Ⅱ. 經濟的 側面에서의 行政理念 : 能率性, 效果성, 生産性 = 151

   Ⅲ. 政治·社會的 側面에서의 行政理念 : 民主性, 中位性, 社會的 衡平性 = 157

  제3절 行政理念間의 優先順位 = 162

 제9장 現代行政과 官僚制

  제1절 官僚制의 意義 = 164

   Ⅰ. 官僚制의 槪念 = 164

   Ⅱ. 官僚制의 構造·機能的 側面 = 165

   Ⅲ. 官僚制의 構成要件 = 166

  제2절 理念型 官僚制 = 167

   Ⅰ. 베버 ; Max Weber의 理念型 = 167

   Ⅱ. 官僚制의 特徵 = 168

  제3절 베버 ; Max Weber理論의 修正 = 169

   Ⅰ. 社會學者들에 의한 修正 = 169

   Ⅱ. 發展論者들에 의한 修正(1960년 이후) = 171

  제4절 官僚制의 病理 = 172

   Ⅰ. 官僚制病理의 硏究 = 172

   Ⅱ. 官僚制의 病理現象 = 173

  제5절 官僚制의 政治的 脈絡 = 176

   Ⅰ. 官僚制의 政治的 性格 = 176

   Ⅱ. 官僚制와 民主主義의 關係 = 177

   Ⅲ. 官僚制의 民主主義에 대한 沮害要因 = 178

   Ⅳ. 官僚制의 民主主義에 대한 貢獻 = 180

  제6절 韓國의 官僚制 = 181

   Ⅰ. 韓國官僚制의 發展過程 = 181

   Ⅱ. 韓國官僚制의 刷新 = 183

제2편 政策論

 제1장 政策問題의 重要性과 政策學의 登場

  Ⅰ. 政策問題의 重要性 = 187

  Ⅱ. 政策硏究의 特徵 = 188

  Ⅲ. 政策學의 登場 = 189

  Ⅳ. 行政硏究와 政策硏究 = 190

 제2장 政策硏究의 本質

  제1절 政策의 槪念과 特性 = 193

   Ⅰ. 政策의 槪念 = 193

   Ⅱ. 政策의 構成要素 = 194

   Ⅲ. 政策과 執行活動 = 195

   Ⅳ. 政策과 立法形式 = 195

   Ⅴ. 政策의 類似槪念 = 196

  제2절 政策過程 = 197

  제3절 情債類型論 = 202

   Ⅰ. 로위 ; T. Lowi의 政策類型論 = 203

   Ⅱ. 政策類型 = 205

 제3장 政策硏究의 實際

  제1절 政策循環과 行政活動 = 206

   Ⅰ. 政策의 循環回路 = 206

   Ⅱ. 政治體制의 構成 = 207

   Ⅲ. 政策循環段階의 變化 = 208

   Ⅳ. 政策過程의 分業關係 = 209

  제2절 政策과 政策環境 = 209

   Ⅰ. 政策環境의 意義 = 209

   Ⅱ. 政策과 政策環境의 關係 = 211

  제3절 政策決定過程에서의 行政官僚의 役割 = 213

  제4절 政策과 行政組織 = 216

   Ⅰ. 政策의 構成要素와 行政組織의 役割 = 217

   Ⅱ. 政策의 構成要素 = 217

  제5절 政策形成過程에서의 行政官僚의 役割 = 220

   Ⅰ. 議題設定과 政策立案 = 220

   Ⅱ. 政策立案과 政策行爲者 = 221

   Ⅲ. 行政官僚의 役割 = 222

 제4장 政策分析論

  제1절 政策分析과 政府硏究 = 224

   Ⅰ. 政策分析의 槪念 = 224

   Ⅱ. 政策産出分析 ; policy outcome analysis = 224

   Ⅲ. 漸增主義와 二元的 相互調節理論 = 225

   Ⅳ. 政策分析의 節次 = 227

   Ⅴ. 政策分析의 限界 = 227

  제2절 政策立案의 必要性 = 228

   Ⅰ. 規範的 硏究와 實證的 硏究 = 228

   Ⅱ. 政策代案의 發議와 立案의 契機 = 229

   Ⅲ. 政策立案費用과 政策轉換費用 = 231

   Ⅳ. 模倣 = 231

   Ⅴ. 硏究開發 = 231

  제3절 政策代案의 現實性 = 232

   Ⅰ. 政治上의 現實可能性 = 233

   Ⅱ. 行政資源의 調達可能性 = 233

   Ⅲ. 業務上의 執行可能性 = 233

   Ⅳ. 政策代案의 廢棄處分 = 233

  제4절 政策代案의 合理性 = 233

   Ⅰ. 合理的 選擇의 規範模型 = 233

   Ⅱ. 效用最大化模型 = 234

   Ⅲ. 린드블롬의 批判 = 235

   Ⅳ. 사이먼의 充足模型(滿足模型) = 235

   Ⅴ. 에치오니 ; A. Etioni의 '混合觀照模型' ; mixed scanning model = 235

 제5장 政策議題設定

  제1절 政策問題 = 237

  제2절 政策議題 = 239

   Ⅰ. 政策議題의 意義 = 239

   Ⅱ. 政策議題의 類型 = 239

  제3절 政策議題設定模型 = 241

   Ⅰ. 外部主導模型 ; outside initiative model = 242

   Ⅱ. 動員模型 ; mobilization model = 243

   Ⅲ. 內部接近模型 ; inside access model = 243

  제4절 政策議題設定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 = 244

  제5절 政策議題設定者 = 245

   Ⅰ. 政策環境으로서의 政策議題設定者 = 245

   Ⅱ. 政策의 受容裝置 = 246

 제6장 政策決定

  제1절 政策決定의 意義 = 248

   Ⅰ. 政策決定의 槪念 = 248

   Ⅱ. 政策決定의 意思決定의 關係 = 248

  제2절 政策決定者 = 249

   Ⅰ. 公式的 政策決定者 = 249

   Ⅱ. 非公式的 政策參與者 = 250

  제3절 政策決定의 基準 = 251

   Ⅰ. 價値 = 251

   Ⅱ. 政黨에의 忠誠心 = 252

   Ⅲ. 地域區의 利益 = 252

   Ⅳ. 輿論 = 252

   Ⅴ. 傾聽 = 253

   Ⅵ. 決定規制 = 253

  제4절 政策決定過程 = 253

   Ⅰ. 問題의 認知 = 253

   Ⅱ. 情報의 募集 및 分析 = 254

   Ⅲ. 代案의 作成 및 評價 = 254

   Ⅳ. 選擇 = 254

  제5절 政策決定模型 = 254

   Ⅰ. 合理模型 ; rational model = 254

   Ⅱ. 滿足模型 ; satisfying model = 256

   Ⅲ. 漸增主義模型 ; incremental model = 257

   Ⅳ. 混合觀照模型 ; mixed-scanning model = 258

   Ⅴ. 最適模型 ; optimal model = 259

   Ⅵ. 쓰레기통模型 ; garbage can model = 261

   Ⅶ. 公共選擇模型 = 265

 제7장 政策執行

  제1절 政策執行의 意義 = 267

   Ⅰ. 政策執行의 槪念 = 267

   Ⅱ. 政策執行의 特徵 = 267

  제2절 政策執行者 = 268

   Ⅰ. 行政機關 = 268

   Ⅱ. 立法府 = 268

   Ⅲ. 法院 = 269

   Ⅳ. 壓力團體와 地域社會組織 = 269

  제3절 政策執行의 類型 = 269

   Ⅰ. 古典的 技術者型 ; classical technocrats = 269

   Ⅱ. 指示的 委任型 ; instructed delegates = 269

   Ⅲ. 協商型 ; bargainers = 270

   Ⅳ. 裁量的 實驗型 ;discretionary experimenters = 270

   Ⅴ. 官僚制 企業家型 ; bureaucratic entrepreneurs = 270

  제4절 政策執行과 順應 = 271

   Ⅰ. 意義 = 271

   Ⅱ. 順應의 原因 = 271

   Ⅲ. 不應의 原因 = 272

   Ⅳ. 順應確保의 戰略 = 273

  제5절 成功的인 政策執行을 위해 考慮해야 한 諸要因 = 274

   Ⅰ. 政策執行體制 內部要因 = 274

   Ⅱ. 政策執行體制 外部要因 = 275

 제8장 政策評價

  제1절 政策評價의 意義 = 276

   Ⅰ. 政策評價의 槪念 = 276

   Ⅱ. 政策評價의 目的 = 276

  제2절 政策評價의 基準 = 277

   Ⅰ. 效果性 ; effectiveness = 277

   Ⅱ. 能率性 ; efficiency = 277

   Ⅲ. 適正性 ; adequacy = 278

   Ⅳ. 衡平性 ; equity = 278

   Ⅴ. 對應性 ; responsiveness = 278

   Ⅵ. 適切性 ; appropriateness = 278

  제3절 政策評價의 過程 = 279

   Ⅰ. 政策目標의 識別 ; goal identification = 279

   Ⅱ. 影響模型의 作成 ; construction of an impact model = 279

   Ⅲ. 評價硏究設計의 開發 ; development of research design = 279

   Ⅳ. 測定과 標準化 ; measurement and standardization = 280

   Ⅴ. 資料募集 = 280

   Ⅵ. 資料의 分析과 解析 ;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 280

  제4절 政策評價의 技法 = 280

   Ⅰ. 過程評價 = 281

   Ⅱ. 影響評價 = 282

 제9장 政策變動

  제1절 政策變數의 內容과 類型 = 284

  제2절 政策承繼의 內容과 類型 = 286

   Ⅰ. 政策承繼의 內容 = 286

   Ⅱ. 政策承繼의 類型 = 287

   Ⅲ. 漸增模型과의 差異 = 288

  제3절 政策終決의 內容과 類型 = 289

  제4절 政策變動의 原因과 限界 = 290

   Ⅰ. 政策變動의 原因 = 290

   Ⅱ. 政策變動의 限界 = 291

제3편 行政組織

 제1장 組織理論의 發展

  제1절 組織의 意義 = 295

   Ⅰ. 組織의 重要性 = 295

   Ⅱ. 組織의 槪念 = 295

   Ⅲ. 組織의 一般的 特性 = 297

  제2절 現代組織의 特徵 = 297

   Ⅰ. 組織의 大規模化 = 297

   Ⅱ. 組織의 複雜化 = 298

   Ⅲ. 組織의 專門化 = 299

   Ⅳ. 組織의 統合性과 階層性 = 299

   Ⅴ. 組織의 民主化 = 300

  제3절 組織의 類型 = 300

   Ⅰ. 파슨스 ; Talcott Parsons의 分類 = 300

   Ⅱ. 블라우 ; P.M. Blau와 스코트 ; W.R.Scott의 分類 = 301

   Ⅲ. 에치오니 ; Amitai Etzioni의 分類 = 302

   Ⅳ. 우드워드 ; Joan Woodward의 分類 = 305

   Ⅴ. 카츠 ; daniel Katz와 칸 ; R.L. Kahn의 分類 = 306

  제4절 組織理論의 系譜 = 307

   Ⅰ. 古典的 組織理論 = 308

   Ⅱ. 新古典的 組織理論 = 314

   Ⅲ. 現代的 組織理論 = 321

 제2장 組織의 目標

  제1절 組織目標의 意義 = 325

   Ⅰ. 組織目標의 槪念 = 325

   Ⅱ. 組織目標의 機能 = 325

  제2절 組織目標의 類型 = 326

   Ⅰ. 公式的 目標와 實質的 目標 = 326

   Ⅱ. 上位目標와 下位目標 = 327

   Ⅲ. 無形目標와 有形目標 = 327

   Ⅳ. 에치오니 ; A. Etzioni에 의한 類型 = 329

   Ⅴ. 페로우 ; Charles Perrow에 의한 類型 = 329

  제3절 目標와 組織評價基準 = 330

   Ⅰ. 目標模型 ; goal model = 330

   Ⅱ. 體制模型 ; system model = 331

   Ⅲ. 戰略的 環境要素模型 = 332

   Ⅳ. 機能模型 = 333

  제4절 目標의 數 및 目標의 過多測定 = 334

   Ⅰ. 目標의 數 = 334

   Ⅱ. 目標의 過多測定 = 335

   Ⅲ. 目標·手段關係의 合理化 = 335

  제5절 組織目標의 變動 = 336

   Ⅰ. 目標의 代置 ; displacement of goals = 336

   Ⅱ. 目標의 手段 = 337

   Ⅲ. 目標의 多元化 및 擴大 = 337

  제6절 目標에 의한 管理 ; MBO = 338

   Ⅰ. MBO의 意義 = 338

   Ⅱ. MBO의 節次 = 338

   Ⅲ. MBO의 利點과 問題點 = 339

   Ⅳ. MBO의 PPBS = 341

   Ⅴ. MBO의 成功的 運營條件과 問題點 = 342

 제3장 組織의 原理

  제1절 階層制 ; hierarchy의 原理 = 344

   Ⅰ. 意義 = 344

   Ⅱ. 機能 = 344

   Ⅲ. 階層化의 方法 = 345

   Ⅳ. 階層化에 대한 批判 = 346

  제2절 統率範圍 ; span of control適正化의 原理 = 347

   Ⅰ. 意義 = 347

   Ⅱ. 統率範圍適正化의 方法 = 347

   Ⅲ. 統率範圍適正化의 原理에 대한 批判 = 349

  제3절 命令系統一元化 ; unity of command의 原理 = 349

   Ⅰ. 意義 = 349

   Ⅱ. 效用性과 弊害 = 350

   Ⅲ. 命令系統一元化의 原理의 問題點과 그 對策 = 350

  제4절 分業·專門化 ; division of work or specialization의 原理 = 351

   Ⅰ. 意義 = 351

   Ⅱ. 假說 = 351

   Ⅲ. 分業·專門化의 方法 = 352

   Ⅳ. 分業化·專門化原理의 問題點 = 352

  제5절 調整 ; coordination의 原理 = 353

   Ⅰ. 調整의 意義 = 353

   Ⅱ. 調整의 方法 = 353

 제4장 部省組織編成의 原理

  제1절 部省組織의 編成基準 = 355

   Ⅰ. 目的과 機能 = 355

   Ⅱ. 過程 = 356

   Ⅲ. 受益者·取扱者 = 357

   Ⅳ. 地域·場所 = 358

  제2절 部省組織編成의 原理에 대한 批判 = 358

   Ⅰ. 批判 = 358

   Ⅱ. 部省組織編成上의 考慮事項 = 359

 제5장 組織과 環境

  제1절 組織環境의 意義와 環境觀 = 361

   Ⅰ. 組織環境의 意義 = 361

   Ⅱ. 組織과 環境觀 = 362

  제2절 組織環境의 類型 = 363

   Ⅰ. 홀 ; R.H. Hall)의 類型 = 363

   Ⅱ. 카츠 ; Daniel Katz와 칸 ; R.L. Kahn의 類型 = 364

   Ⅲ. 아토스 ; A.G. Athos의 類型 = 365

   Ⅳ. 호만스 ; George Homans의 類型 = 365

  제3절 組織과 環境의 關係 = 366

   Ⅰ. 環境과 組織의 不確實性 = 366

   Ⅱ. 組織의 環境에의 適應 = 367

   Ⅲ. 組織의 環境에의 適應戰略 = 368

   Ⅳ. 組織의 環境에의 影響 = 369

 제6장 組織과 個人

  제1절 組織과 個人의 關係 = 375

   Ⅰ. 組織과 個人의 相互作用 = 375

   Ⅱ. 個人의 組織에 대한 關與 = 376

  제2절 組織과 個人의 統合 = 377

  제3절 動機賦與 = 379

   Ⅰ. 動機賦與의 槪念 = 379

   Ⅱ. 動機賦與와 人間의 欲求 및 行動 = 379

   Ⅲ. 動機賦與에 관한 理論 = 380

   Ⅳ. 動機附與와 人間行動의 類型 = 387

   Ⅴ. 人間觀과 人間管理의 戰略 = 388

 제7장 行政組織의 構造와 形態

  제1절 系線組織과 幕僚組織 = 391

   Ⅰ. 系線組織의 意義 = 391

   Ⅱ. 幕僚(參謀)組織의 意義 = 392

   Ⅲ. 參謀의 類型 = 392

   Ⅳ. 幕僚(參謀)組織의 長·短點 = 394

   Ⅴ. 系線·幕僚(參謀)機關間의 諸問題 = 394

  제2절 애드호크러시 = 396

   Ⅰ. 애드호크러시의 意義 = 396

   Ⅱ. 애드호크러시의 種類 = 397

  제3절 프로젝트組織과 매트릭스組織 = 398

   Ⅰ. 프로젝트 ; project의 意義 = 398

   Ⅱ. 매트릭스 ; matrix組織 = 402

  제4절 公式的 組織과 非公式的(自生的)組織 = 404

   Ⅰ. 公示的 組織의 槪念 = 404

   Ⅱ. 非公式的(自生的) 組織의 槪念 = 404

   Ⅲ. 差異點과 相互關係 = 404

   Ⅳ. 非公式的(自生的) 組織의 類型과 機能 = 405

   Ⅴ. 非公式的 組織에 대한 統制 = 406

  제5절 小集團 = 407

   Ⅰ. 小集團의 意義 = 407

   Ⅱ. 小集團의 類型 = 407

   Ⅲ. 小集團의 機能 = 408

  제6절 行政委員會制 = 409

   Ⅰ. 行政委員會의 意義 = 409

   Ⅱ. 行政委員會의 長·短點 = 410

   Ⅲ. 行政委員會의 類型 = 412

  제7절 公企業 = 417

   Ⅰ. 公企業의 槪念 = 417

   Ⅱ. 公企業의 發達要因 = 418

   Ⅲ. 公企業의 類型 = 419

   Ⅳ. 公企業의 組織 = 421

   Ⅴ. 우리나라의 公企業組織 = 423

   Ⅵ. 公企業에 대한 統制 = 423

 제8장 集權과 分權

  제1절 集權化와 分權化 = 427

   Ⅰ. 集權化와 分權化의 槪念 = 427

   Ⅱ. 集權化와 分權化의 行態 = 427

   Ⅲ. 集權化와 分權化의 促進要因 = 428

  제2절 中央集權과 地方分權 = 431

   Ⅰ. 中央集權과 地方分權의 意義 = 431

   Ⅱ. 中央集權과 地方分權의 內容 = 431

   Ⅲ. 中央集權과 地方分權의 長·短點 = 432

   Ⅳ. 新中央集權化와 中央統制 = 433

  제3절 一線機關 = 437

   Ⅰ. 一線機關의 意義 = 437

   Ⅱ. 地方自治의 類型과 一線機關 = 438

   Ⅲ. 一線機關의 類型과 區域 = 440

  제4절 廣域行政 = 442

   Ⅰ. 廣域行政의 意義 = 442

   Ⅱ. 廣域行政의 方式 = 444

 제9장 組織과 技術

  제1절 技術의 槪念 = 446

  제2절 技術의 類型 = 446

   Ⅰ. 長繫的 技術 ; long-linked technology = 447

   Ⅱ. 仲介技術 ; mediating technology = 447

   Ⅲ. 集約的 技術 ; intensive technology = 447

  제3절 技術이 組織에 미치는 影響 = 448

   Ⅰ. 組織構造에 미치는 影響 = 448

   Ⅱ. 個人 및 組織行態에 미치는 影響 = 450

 제10장 組織改革

  제1절 組織革新 = 453

   Ⅰ. 組織革新의 槪念과 特性 = 453

   Ⅱ. 組織革新의 接近方法 = 454

   Ⅲ. 組織革新의 過程과 擔當者 = 457

   Ⅳ. 組織革新의 抵抗과 克服 = 462

  제2절 組織發展 = 463

   Ⅰ. 組織發展의 槪念 = 463

   Ⅱ. 組織發展의 特徵 = 464

   Ⅲ. 組織發展의 目的 = 464

   Ⅳ. 組織發展의 過程 = 465

   Ⅴ. 組織發展의 技法 = 466

   Ⅵ. 組織發展의 問題點과 效用 = 469

  제3절 組織動態化 = 471

   Ⅰ. 組織動態化의 意義 = 471

   Ⅱ. 組織動態化의 方案 = 472

   Ⅲ. 人間能力의 發展 = 473

   Ⅳ. 韓國行政組織의 動態化 = 473

 제11장 組織文化

  제1절 組織文化의 定義 = 475

  제2절 組織文化의 構成要素 = 476

  제3절 組織文化의 機能 = 478

   Ⅰ. 組織文化의 順機能 = 478

   Ⅱ. 組織文化의 逆機能 = 479

  제4절 組織文化의 開發 = 480

   Ⅰ. 組織文化開發의 理由 = 480

   Ⅱ. 組織文化開發의 主要過程 = 481

   Ⅲ. 組織文化開發의 方法 = 482

제4편 行政管理

 序章 行政管理의 基礎理論

  제1절 行政管理의 體系 = 487

   Ⅰ. 行政과 管理의 關係 = 487

   Ⅱ. 行政管理의 槪念 = 488

   Ⅲ. 行政管理의 體系 = 489

  제2절 行政管理의 現實的 必要性 = 493

   Ⅰ. 行政의 保守的 性向 = 493

   Ⅱ. 政府組織의 肥大化 = 493

   Ⅲ. 社會變動의 激化 = 494

   Ⅳ. 民間部門의 管理發達 = 494

  제3절 行政管理의 目標와 方向 = 495

   Ⅰ. 行政管理의 目標 = 495

   Ⅱ. 行政管理의 人間化와 效率化 = 497

  제4절 韓國行政管理에 대한 反省 = 501

   Ⅰ. 權威主義的 傾向 = 501

   Ⅱ. 過度한 業績中心으로 인한 人間疏外 = 502

   Ⅲ. 集權方式에 의한 非人格性 = 502

  제5절 行政管理의 階層과 그 役割 = 502

   Ⅰ. 最高管理層 ; top management = 502

   Ⅱ. 中間管理層 ; middle management = 504

   Ⅲ. 下級管理層 ; lower management = 505

 제1장 權威

  제1절 權威의 意義 = 507

   Ⅰ. 權威의 槪念 = 507

   Ⅱ. 權威의 機能 = 507

  제2절 權威의 類型 = 508

   Ⅰ. 베버 ; Max Weber의 區分 = 508

   Ⅱ. 사이몬 ; H.A. Simon·스미즈버그 ; D.W. Smithburg·톰슨 ; V.A. Thompson의 區分 = 509

  제3절 權威의 受用 = 510

   Ⅰ. 權威의 受用理論 = 510

   Ⅱ. 權威의 受用變數 = 511

 제2장 意思決定

  제1절 意思決定의 意義 = 513

   Ⅰ. 意思決定의 槪念 = 513

   Ⅱ. 意思決定의 階層性 = 513

   Ⅲ. 意思決定의 作用點에 대한 影響力 = 514

  제2절 意思決定의 類型 = 515

   Ⅰ. 價値決定과 事實決定 = 515

   Ⅱ. 個人的 意思決定과 集團的 意思決定 = 516

   Ⅲ. 定型化된 意思決定과 非定型化된 意思決定 = 516

  제3절 意思決定의 段階 = 517

   Ⅰ. 問題의 定義와 分析 = 517

   Ⅱ. 解決代案의 開發과 評價 = 518

   Ⅲ. 解決案의 選擇과 實行 = 518

   Ⅳ. 解決案의 再評價와 修正 = 519

 제3장 커뮤니케이션 ; communication

  제1절 커뮤니케이션의 意義 = 520

   Ⅰ. 커뮤니케이션의 槪念 = 520

   Ⅱ. 커뮤니케이션의 機能 = 520

  제2절 커뮤니케이션의 一般的 過程 = 521

   Ⅰ. 傳達者 = 521

   Ⅱ. 메시지의 傳達 = 521

   Ⅲ. 受容者 = 522

   Ⅳ. 커뮤니케이션의 結果로서의 變化 = 523

   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의 피드백 ; feedback = 523

  제3절 커뮤니케이션의 類型 = 523

   Ⅰ. 內的 커뮤니케이션 = 523

   Ⅱ. 外的 커뮤니케이션 = 524

  제4절 커뮤니케이션의 障碍要因 = 525

  제5절 效率的 커뮤니케이션 體制의 確立과 維持 = 527

   Ⅰ. 커뮤니케이션의 一般原則 = 527

   Ⅱ. 效率的 커뮤니케이션 體制의 確立과 維持要件 = 528

 제4장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意義 = 530

   Ⅰ. 리더십의 槪念 = 530

   Ⅱ. 리더십의 決定要因에 관한 諸理論 = 531

  제2절 리더십의 유형과 效果性硏究 = 533

   Ⅰ. 一次元類型 = 533

   Ⅱ. 二次元類型 = 535

   Ⅲ. 三次元類型 = 537

  제3절 狀況理論과 리더십의 有效性 = 539

  제4절 리더십의 機能 = 546

   Ⅰ. 리더십의 機能에 관한 諸見解 = 546

   Ⅱ. 레어드 ; D.A. Laird의 見解 = 547

   Ⅲ. 리더십의 一般的 機能 = 548

  제5절 리더십 發揮의 條件 = 548

  제6절 韓國의 行政管理者들에게 要求되는 리더십의 機能 = 549

 제5장 企劃

  제1절 企劃의 本質 = 551

   Ⅰ. 企劃의 意義 = 551

   Ⅱ. 企劃의 必要性 = 552

  제2절 企劃의 類型 = 553

   Ⅰ. 目的과 手段에 의한 分類 = 553

   Ⅱ. 內容에 의한 分類 = 553

   Ⅲ. 地域的 適用範圍에 의한 分類 = 553

   Ⅳ. 期間에 의한 分類 = 553

   Ⅴ. 使用回數에 의한 分類 = 554

  제3절 企劃의 過程 = 554

   Ⅰ. 行政目標의 設定 = 554

   Ⅱ. 情報資料의 蒐集·分析·整理 = 556

   Ⅲ. 企劃前提의 設定 = 557

   Ⅳ. 代案의 作成과 比較檢討 = 558

   Ⅴ. 最終案의 採擇 = 558

   Ⅵ. 派生計劃의 樹立 = 558

  제4절 未來豫測方法 = 559

   Ⅰ. 質的·定性的 方法 = 559

   Ⅱ. 統計的·定量的 方法 = 561

  제5절 企劃의 原則 = 562

  제6절 企劃의 制約 = 565

   Ⅰ. 企劃過程上의 制約要因 = 565

   Ⅱ. 行政上의 制約要因 = 565

  제7절 國家企劃制度 = 567

   Ⅰ. 自由와 企劃의 兩立 = 576

   Ⅱ. 國家企劃制度의 發達要因 = 578

   Ⅲ. 企劃機構 = 569

 제6장 管理統制

  제1절 管理統制의 意義 = 571

   Ⅰ. 管理統制의 槪念 = 571

   Ⅱ. 企劃과의 關係 = 571

   Ⅲ. 管理統制의 前提 = 572

   Ⅳ. 進行過程上의 統制 = 573

  제2절 管理統制의 要件 = 574

  제3절 管理統制의 節次 = 577

   Ⅰ. 統制基準의 設定 = 577

   Ⅱ. 狀況의 把握 = 578

   Ⅲ. 比較檢討와 評價 = 580

   Ⅳ. 是正措置 = 582

  제4절 韓國의 管理統制 = 584

 제7장 葛藤管理

  제1절 葛藤의 意義 = 585

   Ⅰ. 葛藤의 槪念 = 585

   Ⅱ. 葛藤의 特徵 = 586

  제2절 葛藤觀의 變遷 = 587

   Ⅰ. 傳統的 觀點 ; traditional view = 587

   Ⅱ. 行態的 觀點 ; behavioral view = 587

   Ⅲ. 相互作用的 觀點 ; interactive view = 587

  제3절 葛藤의 機能 = 588

  제4절 葛藤의 類型 = 589

  제5절 葛藤要因과 葛藤狀況 = 590

  제6절 葛藤管理의 戰略과 方法 = 592

   Ⅰ. 葛藤發生의 防止 = 592

   Ⅱ. 葛藤의 解消 = 592

   Ⅲ. 順機能的 葛藤의 助長 = 595

 제8장 調整

  序節 行政과 調整 = 597

   Ⅰ. 調整의 意義 = 597

   Ⅱ. 調整의 類型 = 597

   Ⅲ. 調整의 沮害要因 = 598

  제1절 對內的 調整 - 組織의 內部的 要素의 調整 = 599

   Ⅰ. 調整의 原則 = 599

   Ⅱ. 調整의 過程 = 599

   Ⅲ. 調整의 手段 = 601

  제2절 對外的 調整 = 602

제5편 人事行政

 제1장 政府人事管理(人事行政)의 槪念과 發達

  제1절 政府人事管理(人事行政)의 意義 = 607

   Ⅰ. 政府人事管理의 槪念 = 607

   Ⅱ. 政府人事管理의 特性 = 607

  제2절 政府人事管理의 發達 = 608

   Ⅰ. 情實主義와 獵官主義 = 608

   Ⅱ. 實績主義 = 611

   Ⅲ. 代表官僚制 = 619

 제2장 政府人事管理(人事行政)의 基礎

  제1절 人間關係法令 = 622

  제2절 中央人事機關 = 623

   Ⅰ. 中央人事機關의 設置理由(動機) = 623

   Ⅱ. 中央人事機關의 性格 = 623

   Ⅲ. 中央人事機關의 機能 = 624

   Ⅳ. 外國의 中央人事機關 = 626

   Ⅴ. 韓國의 中央人事機關 = 629

  제3절 公職分類와 公務員制度 = 630

   Ⅰ. 分類의 意義 = 630

   Ⅱ. 公職의 類型 = 630

   Ⅲ. 階級制와 職位分類制 = 632

   Ⅳ. 職位分類制의 基本用語와 樹立節次 및 管理 = 638

   Ⅴ. 職業公務員制 = 643

   Ⅵ. 閉鎖的 公務員制와 開放的 公務員制 = 646

 제3장 新規採用

  제1절 募集 = 648

   Ⅰ. 募集의 意義 = 648

   Ⅱ. 積極的 募集의 條件 = 648

   Ⅲ. 志願資格要件 = 649

  제2절 試驗 = 652

   Ⅰ. 試驗의 意義 = 652

   Ⅱ. 試驗의 種類 = 652

   Ⅲ. 試驗의 效果性 = 655

  제3절 任命 = 656

   Ⅰ. 任命候補者名簿 = 656

   Ⅱ. 推薦 = 656

   Ⅲ. 試補任用 = 657

 제4장 能力開發과 經歷管理

  제1절 敎育訓練 = 658

   Ⅰ. 敎育訓練의 意義 = 658

   Ⅱ. 敎育訓練의 目的·效用 = 658

   Ⅲ. 敎育訓練의 種類 = 659

   Ⅳ. 敎育訓練方法 = 660

   Ⅴ. 敎育訓練의 評價 = 663

   Ⅵ. 敎育訓練에 대한 抵抗과 對策 = 664

  제2절 公務員評定 = 665

   Ⅰ. 勤務成績評定 = 665

   Ⅱ. 經歷評定 = 671

   Ⅲ. 敎育訓練成績의 評定 = 673

   Ⅳ. 加點評價 = 673

  제3절 人事移動 = 674

   Ⅰ. 相異한 階級 또는 職級간의 人事移動 - 昇進과 降任 = 674

   Ⅱ. 同一한 階級 또는 職級간의 人事移動·轉職·轉補 = 678

 제5장 報酬와 年金

  제1절 報酬 = 680

   Ⅰ. 報酬의 意義 = 680

   Ⅱ. 報酬體系 = 680

   Ⅲ. 報酬의 決定 = 683

   Ⅳ. 昇給 = 686

  제2절 年金(退職年金) = 687

   Ⅰ. 退職年金의 意義 = 687

   Ⅱ. 退職年金制度의 效用性 = 688

   Ⅲ. 退職年金制度의 造成 = 688

   Ⅳ. 退職年金制度의 種類 = 689

 제6장 保健, 安全 및 福利厚生

  序說 公務員에 대한 政府의 責任 = 691

  제1절 保健 = 691

   Ⅰ. 意義 = 691

   Ⅱ. 職業病과 作業環境的 條件 = 692

  제2절 安全 = 692

   Ⅰ. 意義 = 692

   Ⅱ. 安全管理 = 692

  제3절 福利厚生 = 693

   Ⅰ. 意義 = 693

   Ⅱ. 福利厚生活動의 類型 = 693

 제7장 士氣와 人間關係管理

  제1절 士氣 = 694

   Ⅰ. 士氣의 意義 = 694

   Ⅱ. 士氣의 要因과 昻揚方案 = 695

   Ⅲ. 士氣의 檢査 = 696

  제2절 人間關係管理 = 696

   Ⅰ. 人事相談 = 696

   Ⅱ. 苦衷處理 = 697

   Ⅲ. 提案制度 = 698

  제3절 公務員團體 = 700

   Ⅰ. 意義 = 700

   Ⅱ. 公務員團體의 活動 = 701

   Ⅲ. 韓國의 公務員團體 = 701

 제8장 服務와 勤務規律

  제1절 公務員의 行動規範·義務 및 忠誠 = 703

   Ⅰ. 行動規範·義務 = 703

   Ⅱ. 公務員의 忠誠 = 703

  제2절 公務員의 政治的 中立 = 704

   Ⅰ. 政治的 中立의 槪念 = 704

   Ⅱ. 必要性 = 704

   Ⅲ. 政治的 中立의 問題點 = 705

  제3절 公職者倫理 = 705

   Ⅰ. 意義 = 705

   Ⅱ. 公職者倫理法의 主要內容 = 706

   Ⅲ. 公職者倫理法 運營上의 留意點 = 707

  제4절 懲戒와 訴請 = 707

   Ⅰ. 身分保障 = 707

   Ⅱ. 懲戒 = 709

   Ⅲ. 訴請 = 710

제6편 財務行政

 제1장 財務行政의 基礎理論

  제1절 財務行政의 槪念 = 715

   Ⅰ. 財務行政의 意義 = 715

   Ⅱ. 財務行政의 硏究對象 = 715

  제2절 韓國의 財務行政機關 = 716

   Ⅰ. 經濟企劃院 = 716

   Ⅱ. 財務部 = 717

   Ⅲ. 監査院 = 717

   Ⅳ. 調達廳 = 718

  제3절 財務行政의 法的 基礎 = 719

   Ⅰ. 豫算會計法 = 719

   Ⅱ. 企業豫算會計法 = 719

   Ⅲ. 政府投資機關管理基本法 = 719

 제2장 豫算의 一般理論

  제1절 豫算의 槪念 = 721

   Ⅰ. 豫算의 意義 = 721

   Ⅱ. 豫算의 機能 = 722

   Ⅲ. 豫算의 種類 = 724

  제2절 豫算制度의 發達 = 726

  제3절 豫算機關 = 727

   Ⅰ. 中央豫算機關 = 727

   Ⅱ. 部處豫算機關 = 729

  제4절 豫算原則 = 730

   Ⅰ. 傳統的 豫算原則 - 노이마르크 ; F. Neumark의 原則 = 730

   Ⅱ. 現代的 豫算原則 - 스미스 ; H. Smith의 原則 = 731

  제5절 豫算分類 = 732

   Ⅰ. 意義 = 732

   Ⅱ. 豫算分類上의 必要條件(分類目的) = 732

   Ⅲ. 豫算分類의 類型 = 733

 제3장 豫算의 過程

  제1절 豫算編成 = 737

   Ⅰ. 意義 = 737

   Ⅱ. 豫算編成의 過程 = 737

  제2절 豫算審議 = 739

   Ⅰ. 意義 = 739

   Ⅱ. 豫算審議節次 = 740

  제3절 豫算執行 = 741

   Ⅰ. 意義 = 741

   Ⅱ. 豫算執行에 있어서의 財政統制 = 742

   Ⅲ. 豫算執行의 伸縮性 = 743

  제4절 會計檢査 = 745

   Ⅰ. 意義 = 745

   Ⅱ. 會計檢査機關 = 745

   Ⅲ. 會計檢査의 種類 = 747

  제5절 決算 = 748

   Ⅰ. 意義 = 748

   Ⅱ. 決算의 機能과 效果 = 748

   Ⅲ. 韓國의 決算制度 = 749

 제4장 豫算制度改革

  제1절 成果主義豫算制度 = 751

   Ⅰ. 意義 = 751

   Ⅱ. 成果主義豫算制度의 發達 = 751

   Ⅲ. 成果主義豫算制度의 長·短點 = 752

   Ⅳ. 成果主義豫算制度 導入上의 問題點 = 753

  제2절 計劃豫算制度 ; PPBS = 754

   Ⅰ. 意義 = 754

   Ⅱ. PPBS의 發達 = 755

   Ⅲ. PPBS의 基本原理 = 756

   Ⅳ. PPBS의 效用 = 756

   Ⅴ. PPBS에 있어서의 事業構造(프로그램體系) = 757

   Ⅵ. PPBS의 限界(問題點) = 758

  제3절 零基準豫算制度 ; ZBB = 759

   Ⅰ. 意義 = 759

   Ⅱ. ZBB의 開發과 適用 = 760

   Ⅲ. ZBB의 特徵 = 760

   Ⅳ. ZBB의 節次 = 761

   Ⅴ. ZBB의 效用과 問題點 = 762

  제4절 日沒豫算과 減縮管理 = 763

   Ⅰ. 日沒豫算 = 763

   Ⅱ. 減縮管理 = 765

  제5절 資本豫算制度 = 766

   Ⅰ. 意義 = 766

   Ⅱ. 資本豫算의 長點 = 766

   Ⅲ. 資本豫算의 問題點 = 767

 제5장 購買行政과 物品管理

  제1절 物品管理의 意義 = 768

   Ⅰ. 物品管理의 槪念 = 768

   Ⅱ. 物品管理의 內容 = 768

  제2절 物品管理의 基礎 = 770

   Ⅰ. 物品管理機關 = 770

   Ⅱ. 物品의 分類 = 771

   Ⅲ. 物品의 標準化 = 772

  제3절 購買行政 = 773

   Ⅰ. 購買行政의 意義 = 773

   Ⅱ. 集中購買制度 = 774

   Ⅲ. 購買管理의 節次 = 775

  제4절 貯蓄管理 = 778

   Ⅰ. 意義 = 778

   Ⅱ. 貯蓄의 一般原則 = 779

  제5절 分配管理 = 780

   Ⅰ. 意義 = 780

   Ⅱ. 分配管理의 內容 = 780

  제6절 整備管理 = 781

   Ⅰ. 意義 = 781

   Ⅱ. 整備의 原則 = 781

  제7절 不用品處分 = 782

   Ⅰ. 意義 = 782

   Ⅱ. 處分方法 = 782

제7편 情報體系論

 제1장 行政情報體系

  제1절 行政事務와 行政情報體系 = 787

  제2절 行政情報體系의 意義 = 788

   Ⅰ. 行政情報體系의 定義 = 788

   Ⅱ. 行政情報의 機能 = 791

  제3절 行政情報體系의 特性 = 792

  제4절 行政情報體系 ; PMIS와 經營情報體系 ; MIS의 差異 = 794

   Ⅰ. 目標設定過程에서의 差異 = 794

   Ⅱ. 計劃過程에서의 差異點 = 795

   Ⅲ. 評價過程에서의 差異 = 795

   Ⅳ. 機構 및 運營過程에서의 差異 = 796

 제2장 情報시스템과 發展過程

  제1절 컴퓨터와 情報시스템의 發展段階 = 797

   Ⅰ. 컴퓨터의 發展過程 = 797

   Ⅱ. 情報시스템의 成長段階 = 800

  제2절 行政情報 시스템이 行政에 미치는 影響 = 801

   Ⅰ. 職務要件의 變化 = 801

   Ⅱ. 階層構造의 變化 = 802

제8편 行政統制와 改正改革

 제1장 行政責任과 行政統制

  제1절 行政責任에 관한 理論的 分爭 = 807

   Ⅰ. 프리드리히 ; C.J. Friedrich의 理論 = 7807

   Ⅱ. 파이너 ; H. Finer의 理論 = 808

   Ⅲ. 兩理論의 綜合的 考察 = 809

  제2절 行政責任의 本質 = 809

   Ⅰ. 奉仕者로서의 責任 = 809

   Ⅱ. 責任과 統制 = 810

  제3절 行政責任의 確保方案-行政統制 = 811

   Ⅰ. 行政統制의 意義 = 811

   Ⅱ. 行政統制의 重要性 = 811

   Ⅲ. 行政統制의 方法 = 812

   Ⅳ. 行政統制機能의 限界 = 819

   Ⅴ. 우리나라의 效率的인 行政統制方向 = 820

 제2장 市民의 行政參與

  제1절 行政參與의 槪念 = 821

   Ⅰ. 行政參與의 意義 = 821

   Ⅱ. 行政參與의 擡頭와 必要性 = 822

  제2절 行政參與의 類型 = 823

  제3절 行政參與의 限界 = 825

  제4절 韓國의 行政參與의 實態 = 826

   Ⅰ. 行政參與의 實際的 諸手段 = 826

   Ⅱ. 問題點 = 830

   Ⅲ. 改善方向 = 831

 제3장 民意收斂과 行政PR

  제1절 行政PR의 本質과 登場要因 = 832

  Ⅰ. 行政 PR의 意義 = 832

  Ⅱ. 行政 PR의 登場要因과 必要性 = 832

  제2절 行政PR의 過程과 原則 = 834

  Ⅰ. 行政 PR의 過程 = 834

  Ⅱ. 行政 PR의 原則과 限界 = 835

  제3절 韓國의 行政PR의 問題點 = 836

  Ⅰ. 國家發展과 行政PR = 836

  Ⅱ. 우리나라 行政PR의 問題點과 方向 = 837

 제4장 情報公開制度

  제1절 情報公開와 國民의 알 權利 = 838

   Ⅰ. 情報公開의 意義 = 838

   Ⅱ. 國民의 알 權利 = 838

  제2절 美國의 情報公開制度 = 839

   Ⅰ. 情報公開法 ; Freedom of Information Act = 839

   Ⅱ. 公開會議法 ; Government in the Sunshine Act = 839

  제3절 韓國의 情報公開 = 840

   Ⅰ. 行政機關의 情報公開 = 840

   Ⅱ. 情報公開制度 確立의 方向 = 841

 제5장 行政改革

  제1절 行政改革의 意義 = 843

   Ⅰ. 行政改革의 槪念 = 843

   Ⅱ. 行政改革의 基本要素 = 843

  제2절 行政改革의 必要性 = 844

  제3절 行政改革의 接近方法 = 845

   Ⅰ. 構造的·技術的 接近方法 = 845

   Ⅱ. 人間關係的 接近方法 = 846

   Ⅲ. 綜合的 接近方法 = 847

  제4절 行政改革의 過程 = 847

   Ⅰ. 第1段階 : 改革의 必要性認識 = 847

   Ⅱ. 第2段階 : 改革案의 作成 및 決定 = 848

   Ⅲ. 第3段階 : 改革의 實行 = 848

   Ⅳ. 第4段階 : 改革의 評價 = 849

  제5절 行政改革과 抵抗 = 849

   Ⅰ. 抵抗의 原因 = 849

   Ⅱ. 抵抗에 대한 對策 = 850

제9편 特殊分野別 行政

 제1장 地方自治行政論

  제1절 地方行政과 地方自治 = 855

   Ⅰ. 地方行政의 意義 = 855

   Ⅱ. 地方行政의 存在形式 = 856

   Ⅲ. 地方自治의 本質 = 857

   Ⅳ. 地方自治의 現代的 傾向 = 860

  제2절 地方自治團體의 種類와 自治權 = 861

   Ⅰ. 地方自治團體의 種類 = 861

   Ⅱ. 地方自治團體의 自治權 = 862

  제3절 地方自治團體의 機關·事務·區域 = 863

   Ⅰ. 地方自治團體의 關係 = 863

   Ⅱ. 地方自治團體의 事務 = 864

   Ⅲ. 地方自治團體의 區域 = 866

 제2장 國際行政論

  제1절 國際行政의 意義 = 868

   Ⅰ. 意義 = 869

   Ⅱ. 發展過程 = 869

   Ⅲ. 國家行政과 國際行政의 差異 = 870

  제2절 國際機構 = 870

   Ⅰ. 意義 = 870

   Ⅱ. 分類 = 871

  제3절 國際行政의 特徵 = 872

  제4절 國際行政의 發展方向 = 873

參考文獻 = 875

索引 = 89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