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구어 말뭉치 실용 안내서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Baude, Olivier, 편 Blanche-Benveniste, Claire, 저 Calas, Marie-France, 저 Cordereix, Pascal, 저 손현정, 역 손희연, 역
서명 / 저자사항
구어 말뭉치 실용 안내서 / 올리비에 보드 엮음 ; 손현정, 손희연 옮김
발행사항
서울 :   박이정,   2012  
형태사항
263 p. ; 23 cm
총서사항
인문지식기반총서 ;2
원표제
Corpus oraux : guide des bonnes pratiques, 2006
ISBN
9788962923117
일반주기
저자: 클레르 블랑쉬 벤베니스트, 마리 프랑스 칼라스, 파스칼 코르드렉스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p. 243-253)과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Computational linguistics Documentation -- France -- Data processing
000 01345camcc2200409 c 4500
001 000045735603
005 20130121210807
007 ta
008 130118s2012 ulk b 001c kor
020 ▼a 9788962923117 ▼g 93700
035 ▼a (KERIS)BIB000013027036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410.285 ▼2 23
085 ▼a 410.285 ▼2 DDCK
090 ▼a 410.285 ▼b 2012z1
245 0 0 ▼a 구어 말뭉치 실용 안내서 / ▼d 올리비에 보드 엮음 ; ▼e 손현정, ▼e 손희연 옮김
246 1 9 ▼a Corpus oraux : ▼b guide des bonnes pratiques, 2006
260 ▼a 서울 : ▼b 박이정, ▼c 2012
300 ▼a 263 p. ; ▼c 23 cm
440 0 0 ▼a 인문지식기반총서 ; ▼v 2
500 ▼a 저자: 클레르 블랑쉬 벤베니스트, 마리 프랑스 칼라스, 파스칼 코르드렉스 외
504 ▼a 참고문헌(p. 243-253)과 색인수록
650 0 ▼a Computational linguistics
650 0 ▼a Documentation ▼z France ▼x Data processing
700 1 ▼a Baude, Olivier, ▼e▼0 AUTH(211009)99151
700 1 ▼a Blanche-Benveniste, Claire, ▼e
700 1 ▼a Calas, Marie-France, ▼e
700 1 ▼a Cordereix, Pascal, ▼e
700 1 ▼a 손현정, ▼e▼0 AUTH(211009)14166
700 1 ▼a 손희연, ▼e▼0 AUTH(211009)52544
900 1 0 ▼a 보드, 올리비에, ▼e
900 1 0 ▼a 블랑쉬 벤베니스트, 클레르, ▼e
900 1 0 ▼a 칼라스, 마리 프랑스, ▼e
900 1 0 ▼a 코르드렉스, 파스칼, ▼e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285 2012z1 등록번호 11168516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 자료의 원천을 보존하면서도 그러한 원천에서 생산된 구두적 자료에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려는 여러 언어학자들의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언어학자들에 의해, 그리고 그들을 위해 만들어지고 활용되는 ‘구어 말뭉치’를 다룬다.

이 책은 구어 말뭉치 구축에서 제기되는 절차적 지식이나 문제 해결의 측면에서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특히 전문 법학자, 말뭉치 언어학 분야 전문 연구자, 자료 보존과 전수의 책임을 지고 있는 여러 제도 기관들의 실무자까지 참여한 연구 그룹의 공동 창작물이라는 점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폭이 넓다. 확인되지 않았고 가늠하기 어려운 구어 말뭉치를 마주하여 그 미래를 설계하려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최근 ‘구어 말뭉치’, 즉 구두적 음성 혹은 이미지, 몸짓 등을 포함한 다면적 경로로 생산된 언어를 녹음하거나 녹화하여 편집한 자료를 활용한 기초 연구나 응용 연구가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실용 안내서’의 기능을 하는 이 책은 언어 자료의 원천을 보존하면서도 그러한 원천에서 생산된 구두적 자료에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하려는 여러 언어학자들의 문제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언어학자들에 의해, 그리고 그들을 위해 만들어지고 활용되는 ‘구어 말뭉치’를 다룬다. 그러나 구어 말뭉치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것은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제기되는 다양한 의문들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 그 학문 분야들은 예를 들어 민속지학,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 인구통계학 등이 있고 또한 일상 구술, 인터뷰, 증언, 구두적 조사 등의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구전 역사와도 관련된다. 따라서 이 안내서는 언어학의 방법론을 바탕에 두고 있으면서도 구어 말뭉치를 사용하는 다른 분야의 학자들, 예를 들어 발화 인식과 합성에 구어 말뭉치를 사용하는 학자들이 가지는 관심사에 접근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학자들이 지니고 있는 특정 학문적 요구가 이 책에서 전면적으로 다루어질 수 없는 것은 사실이다.
이 책이 편찬된 가장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구두적이거나 다면적인 수집 자료들을 말뭉치로 구성하는 데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자료의 수집, 구성, 형식화, 활용, 보존, 외부적 공유에 있어서 제기될 수 있는 물질적 측면 그리고 법률적 측면의 문제들에 대한 유용한 해결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두 번째 목적은 구어 말뭉치를 구성하고 확장시키고 있는 연구자들이 그 과정에서 뒤늦게 직면하게 될 수 있는 ‘사후적 난관’에 미리 대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의 초기 단계에서 결정한 것 혹은 미처 준비하지 못했던 것들이 뒤늦게 중요한 문제를 불러일으키지만 수정하거나 고치기에는 너무 늦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자료를 활용하거나 그 자료를 소유하는 데에 심각한 부담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세 번째 목적은 ‘공통된 실행 방법’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최근 들어 말뭉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말뭉치의 보존이나 호환성뿐만이 아닌 자료 수집과 활용 모두에서 제기될 수 있는 윤리와 평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구가 등장하고 있다. 자료 수집과 활용의 실제적 과정들에 공통된 방법들을 확립하여 이러한 요구에 대응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구어 말뭉치를 구축하고 활용하는 것은 여러 학문 분야에 걸쳐 제기되는 다양한 의문들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의문들은 특정한 학문적 요구와 닿아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그러나 구두적이거나 다면적인 자료를 수집하여 말뭉치로 형식화하고, 이를 활용하면서 또 외부적으로 공유하며, 나아가 이를 보존하는 데에는 절차상의 ‘정보’들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개인’의 ‘즉각적 발화’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구어 말뭉치는 구축 과정에서 돌발적 변수들을 불러일으키기 쉽다. 또한 자료 수집에 대한 평가와 윤리의 문제까지 제기된다면 연구자들은 법률적 측면에서도 해결하기 어려운 위기 상황을 겪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은 구어 말뭉치 구축에서 제기되는 절차적 지식이나 문제 해결의 측면에서 실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특히 전문 법학자, 말뭉치 언어학 분야 전문 연구자, 자료 보존과 전수의 책임을 지고 있는 여러 제도 기관들의 실무자까지 참여한 연구 그룹의 공동 창작물이라는 점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폭이 넓다. 확인되지 않았고 가늠하기 어려운 구어 말뭉치를 마주하여 그 미래를 설계하려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올리비에 보드(엮은이)

오를레앙 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인류학과 언어학 연구센터(Centre Orl?anais de Recherche en Anthropologie et Linguistique)(EA-3850) 연구원. 언어 행태 관측소(Observatoire des pratiques linguistiques) 학술 이사.

손현정(옮긴이)

프랑스 사회과학고등연구원(EHESS) 박사(언어학). 현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 ‘몸짓 분석을 위한 프랑스어 다면자료 구축 연구(2011)’, ‘불-한 병렬말뭉치의 문장 단위 정렬 방식에 대한 연구(2007)’를 비롯하여 다수의 논문을 발표.

손희연(옮긴이)

프랑스 파리7대학 언어학과 박사(사회언어학). 현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연구교수. ‘중간언어 대화에 나타나는 ‘-었-’ 사용 실태 연구(2011)’, ‘한국 화교 화자들의 이중언어 사용 연구(2008)’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 서론
 1.1 구어 말뭉치 실용 안내서의 편찬 목적 = 15
 1.2 편찬 배경 = 16
 1.3 법률적 측면 = 17
 1.4 법률적 측면 외의 문제들 = 19
 1.5 방법론 = 20
 1.6 프랑스 법률안 = 21
 1.7 '실용 안내서', 그 의미 = 22
 1.8 자주 제기되는 질문 = 23
2. 맥락
 2.1 언어학과 구어 말뭉치 = 27
  2.1.1 자료 유형과 발화자 = 29
  2.1.2 규모 = 33
  2.1.3 전사 = 34
  2.1.4 구어의 자동처리 = 37
  2.1.5 활용과 결과 = 38
 2.2 연구 배포의 정치적인 구조 = 44
 2.3 법률적 범위 = 46
  2.3.1. 공공 영역과 저작권 = 48
  2.3.2 사생활 보호 = 53
3. 연구의 전개 과정
 3.1 연구의 전개 과정을 명시하기 = 57
 3.2 문제가 되는 상황 요소 = 58
  3.2.1 말뭉치와 자료의 유형 = 58
  3.2.2 조사 기술 = 64
  3.2.3 참여자의 역할 = 69
  3.2.4 장소 = 73
 3.3 현장의 관행 = 74
  3.3.1 접근 방식 = 74
  3.3.2 녹음 장비 = 78
  3.3.3 허가 요청과 명시적 동의 = 81
  3.3.4 조사 이후 : 현장에 돌아가기와 디브리핑(연구 수행 보고) = 88
 3.4 익명화 = 91
  3.4.1 정의 = 91
  3.4.2 관련 데이터 = 92
  3.4.3 언제 익명화할 것인가? = 93
  3.4.4 어떻게 익명화할 것인가? = 94
  3.4.5 익명화의 한계 = 97
 3.5 전사 = 99
  3.5.1 민속지학적 기술 = 100
  3.5.2 발화자의 신상 확인 = 101
  3.5.3 문제 = 102
4. 구어 말뭉치, 문화유산으로서의 성격
 4.1 현재의 상황 = 107
  4.1.1 구어 말뭉치 소장 = 112
  4.1.2 프랑스 국립 도서관 = 115
  4.1.3 프랑스 아카이브 = 118
  4.1.4 박물관에서의 구어 말뭉치의 위상 = 120
  4.1.5 국립영상기술원의 '구어 말뭉치' = 121
 4.2 사적인 발의 = 124
 4.3 소장품에 대한 접근 = 125
  4.3.1 미래의 네트워크 = 127
  4.3.2 구술 문화유산의 지위를 인정받기 위하여 = 130
5 부록
 법률 색인 = 131
  구어적 저작물 = 131
  보호 대상 저작물 = 137
  개인 정보와 익명화 = 143
  인용권 = 150
  동의 = 153
  허가 요청서 = 156
  데이터베이스 : '고유한' 권리의 대상 = 160
  정보 처리 책임 = 164
  무형 문화유산과 유네스코 = 168
 기술 색인 = 185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녹취와 녹음 = 185
  소리를 녹음하고 보존하기 위한 매체 = 195
  영상을 녹음하고 보존하기 위한 매체 = 200
  코딩과 파일의 형식 = 207
 제도 색인 = 214
  프랑스 국립 도서관 = 214
  아카이브 : 법률 = 218
  프랑스 박물관 : 법률 = 223
  음성영상자료실 : 자료 저장의 원천 = 225
 연구 작업 색인 = 227
  구술 전통 언어 문화 연구소의 아카이브 구축 프로그램 = 227
  상호작용 구어 말뭉치 = 230
  현대 프랑스어 음운 = 233
  말뭉치 기반 언어학 기술 = 236
  오를레앙 사회언어학 조사 = 239
  말뭉치 목록 = 241
참고문헌 = 243
법률 용어 풀이 = 255
찾아보기 = 26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