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91n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34424 | |
005 | 20140807173154 | |
007 | ta | |
008 | 130110s2012 ggk 000c kor | |
020 | ▼a 9788996776659 ▼g 0390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1.3 ▼2 23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12z21 | |
245 | 0 0 | ▼a 열린 인문학 강의 : ▼b 전 세계 교양인이 100년간 읽어온 하버드 고전 수업노트 / ▼d 윌리엄 앨런 닐슨 엮음 ; ▼e 김영범 옮김 |
246 | 1 9 | ▼a Lectures on the Harvard classics |
260 | ▼a 파주 : ▼b 유유, ▼c 2012 ▼g (2013) | |
300 | ▼a 347 p. ; ▼c 23 cm | |
700 | 1 | ▼a Neilson, William Allan, ▼d 1869-1946, ▼e 편 ▼0 AUTH(211009)78985 |
700 | 1 | ▼a 김영범, ▼e 역 |
900 | 1 0 | ▼a 닐슨, 윌리엄 앨런,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001.3 2012z21 | 등록번호 1212305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001.3 2012z21 | 등록번호 1116841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12z21 | 등록번호 1310455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001.3 2012z21 | 등록번호 12123051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4)/ | 청구기호 001.3 2012z21 | 등록번호 1116841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1.3 2012z21 | 등록번호 13104556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역사, 철학, 종교, 정치경제학, 항해와 여행, 희곡, 시 일곱 분야로 구성된 이 책에는 각 분야에서 일궈낸 인류의 위대한 지적 유산에 접근하는 길을 열어주는 강의가 묶였다. 독자는 강의를 읽어가면서 세계의 문명과 역사를 만들어간 이들의 성취를 발견하고 그 의미를 깊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들이 만들어낸 시와 이야기를 읽고 인류 공통의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당시 미국에서 가장 저명한 희곡 담당 교수였던 조지 피어스 베이커, 당대 정치경제학의 석학 토머스 닉슨 카버, 유명한 철학자이자 교육자였던 랠프 바튼 페리 등 각 학문을 대표하는 명교수의 안내를 받으며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구성 면에서 각 분야 앞에 배치된 들어가는 말에는 해당 분야에 관한 개괄적 설명과 고전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가 담겼고, 분야별로 마련된 두세 편의 강의에서는 세부 주제를 다룸으로써 각 고전과 주제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왜 열린 강의인가
전 세계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나와 18분간 자신의 전문지식을 나누는 테드(TED) 강의는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해졌다.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 강의를 인터넷에서 일반인도 무료로 들을 수 있는 세상이다. 이 대학 강의 공유 운동은 MIT가 새로운 수익 창출 모델로 검토하다 여의치 않자 아예 기부금으로 운영하는 공개강좌로 돌리기로 결정한 것이 계기가 됐는데, 지금은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 등 250여 개 대학이 참여하는 세계적 고급 지식 나눔 운동으로 확대됐다. 한국에서도 이런 흐름에 공감해서 서울대와 이화여대, 울산대 등이 일부 강의를 일반에 공개했고 점점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 모든 흐름의 저변에는 사회의 공공재라 할 수 있는 고급 지식을 일반 대중도 누릴 수 있도록 공유하자는 교육적 이념이 밑받침되어 있다.
『열린 인문학 강의』는 100년 전 하버드대학교에서 당시 최고의 교수진이 나서서 깊이 있는 인문학 지식을 일반 대중에게 널리 보급하려는 취지를 가지고 기획된 강연 프로그램을 책으로 만든 것인데, 이 하버드의 공개 강연은 현재 활발하게 진행 중인 이 지식 공유 운동의 초기 형태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당시 강연 기획자인 찰스 윌리엄 엘리엇 총장의 기획 의도와 현재의 지식 공유 트렌드를 접목하는 의미에서 출간하는 책에 ‘열린 인문학 강의’라는 이름을 붙였다.
‘하버드 고전’에 대하여
『열린 인문학 강의』는 ‘하버드 고전’(Harvard Classics)이라는 총서의 51번째 책을 번역한 것이다. 51번째 책은 ‘하버드 고전’ 50권을 완간하고 나서 고전을 접하는 독자들에게 일종의 길잡이 역할을 하려고 기획된 강연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독자들이 고전을 읽을 때 느끼는 어려움을 덜어주고자 하는 교육적 배려에서 출발한 강연인 셈이다.
이 ‘하버드 고전’은 유사 이래로 19세기까지 인류의 지적유산을 담은 위대한 고전을 정선한 시리즈로 인류의 위대한 관찰과 기록, 사상을 담고 있다. 이 시리즈는 하버드대학교 총장을 40년 동안 역임하면서 하버드를 세계 명문 대학으로 키운 찰스 윌리엄 엘리엇 총장의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엘리엇 총장은 엄선된 고전을 꾸준히 읽으면 학교에서 정규 교육을 받지 않더라도 인문적 소양을 갖출 수 있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하버드 고전을 모아 만든 ‘5피트 책꽂이’ 운동을 전개했다. 재임하는 동안 엘리엇은 “5피트 책꽂이면 몇 년 과정의 일반교양 교육을 책임질 만한 책을 담기에는 충분하다”라고 여러 차례 말했다. 특히 엘리엇 총장은 “생계를 위해 하루에 여덟아홉 시간씩 일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 특히 초년에 교육받을 기회가 없었던 이들”이 읽기를 바랐다. 그는 하루 일과를 마치고 15분만 투자하면 누구나 수년 안에 고등교육에서 제공하는 최상위 수준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은퇴할 무렵 ‘콜리어 앤드 선’이라는 출판사를 통해 총 50권으로 된 전집을 펴냈다. 이 전집은 출간 후 20년 동안 약 35만 질이 판매되었다.
엘리엇 총장이 만들고자 한 것은 인류를 위한 가장 위대한 교과서였다. 정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었던 시절에 철학과 역사에서 문학까지 다양한 고전 읽기를 통해 일반 대중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활용할 수 있는 고전의 지혜를 얻게 하자는 것이 이 전집의 취지였다.
이 ‘하버드 고전 총서’의 실무를 담당한 사람이 하버드대학교 영문학과 교수 윌리엄 앨런 닐슨이다. 1909년에 출간을 시작한 하버드 고전 총서는 1914년에 완간되었고 닐슨 교수는 총서를 완간한 후에 일반 독자들에게 하버드 고전을 읽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하버드대학교 각 과의 명교수들을 조직하고 이들 각각의 전공에 따라 일반 대중을 상대로 강의하도록 하고, 이를 다시 정리해서 51번째 책으로 엮어냈다. 이 책이 바로 『열린 인문학 강의』이다.
이 책의 특징
역사, 철학, 종교, 정치경제학, 항해와 여행, 희곡, 시 일곱 분야로 구성된 이 책에는 각 분야에서 일궈낸 인류의 위대한 지적 유산에 접근하는 길을 열어주는 강의가 묶였다. 독자는 강의를 읽어가면서 세계의 문명과 역사를 만들어간 이들의 성취를 발견하고 그 의미를 깊게 이해할 수 있으며 그들이 만들어낸 시와 이야기를 읽고 인류 공통의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된다. 당시 미국에서 가장 저명한 희곡 담당 교수였던 조지 피어스 베이커, 당대 정치경제학의 석학 토머스 닉슨 카버, 유명한 철학자이자 교육자였던 랠프 바튼 페리 등 각 학문을 대표하는 명교수의 안내를 받으며 다양한 분야의 주제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구성 면에서 각 분야 앞에 배치된 들어가는 말에는 해당 분야에 관한 개괄적 설명과 고전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가 담겼고, 분야별로 마련된 두세 편의 강의에서는 세부 주제를 다룸으로써 각 고전과 주제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1. 인문학 각 분야 학문의 기초 개념을 강의하는 입문서
어떤 학문을 배울 때 가장 좋은 방법은 그 학문의 기초개념을 확실하게 익히는 것이다. 각 학문의 강의 담당 교수들은 자기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들을 꼼꼼하게 짚어주고 각 학문을 공부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핵심사항을 하나하나 짚어준다. 예컨대 정치경제학의 들어가는 말을 보면 경제학이란 용어 자체를 두고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 확인하고 그 개념의 역사까지 설명해줌으로써 학문의 기본 토대를 다질 수 있도록 한다.
2. 고전을 읽기 위한 바탕을 만들어주는 책
고전은 읽기가 만만치 않다. 크고 깊은 내용을 다루다 보니 핵심을 놓치기가 쉽고, 열심히 읽어도 간명하게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다. 이렇게 고전을 처음 접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독자를 위해 해당 분야 최고의 지식을 가진 선생들이 고전이 쓰이게 된 시대 상황, 저자의 독특한 개성 등에 대해 설명해주므로 독자는 자신이 읽는 고전이 어떤 시대적 배경과 상황에서 어떤 문제의식을 가지고 쓰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모든 것이 독자가 만만치 않은 고전에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인류에 대한 낙관과 진보에 대한 믿음을 가진 강의
이 강의는 문명의 역사, 종교와 철학, 정치와 경제 등 굵직한 주제들을 아우르고 있지만, 무엇보다 인류의 진보와 발전에 대한 믿음이 반영되었다. 각 분야에서 인류가 야만에서 문명으로 어떻게 진보하게 되었는지에 관한 확신이 전체 강의에 짙게 깔려 있다.
찰스 엘리엇 총장은 하루에 15분이라도 낼 수 있는 사람이면 고전 원전을 읽고 훌륭한 교양인이 될 수 있다는 확고한 신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 또한 인류가 앞으로 진보할 수 있다는 강한 믿음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윌리엄 앨런 닐슨(엮은이)
‘하버드 고전’ 편집 총책임자.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1895년 미국으로 이민하고 1905년에 귀화했다. 1891년에 에딘버러대학교를 졸업했고 1898년에 하버드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학교에서 영문학 교수를 역임하다가 콜롬비아대학교에서 가르쳤다. 스미스대학의 학장을 지내기도 했다.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엘리자베스 시대의 연극에 관한 저서를 남겼고 사전 편찬 작업을 했다. ‘하버드 고전’총서의 총책임자로 전 50권짜리 하버드 고전 총서를 완간하였고, 이를 일반 대중에게 널리 전하기 위해 ‘열린 인문학 강의’(Lectures on the Harvard Classics) 커리큘럼을 짜고 하버드 내 명교수들을 초빙하여 각 분야 고전을 성공리에 강의하도록 진두지휘했다. 이 명강의를 정리하여 묶은 것이 바로 『열린 인문학 강의』이며, 이 책은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전 세계 교양인의 애독서로 널리 읽히고 있다.
김영범(옮긴이)
서울대학교 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했고, 명지대학교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에서 현대예술과 현대문화론, 서양철학사 등을 강의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천재들의 철학 노트』, 『하루에 떠나는 철학여행』, 『20세기 가장 완벽한 인간 체 게바라 vs 대륙의 붉은 별 마오쩌둥』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게이트웨이 미술사』, 『열린 인문학 강의』, 『강도의 과학과 잠재성의 철학』, 『파이돈』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추천사 - 입문자를 위해 엄선한 기초 고전강의 = 9 서문 - 빛나는 지혜의 보물창고로 들어가는 문 = 11 역자 후기 - 지금은 고전을 읽어야 할 시간 = 345 Ⅰ 역사 들어가는 말 -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 = 23 그리스의 리더십 로마의 지배 유대인의 기여 로마의 기독교화 로마의 몰락 이슬람의 발흥 봉건제 르네상스 프랑스와 영국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왕가 대영 제국의 성립 근대 유럽 서양 고대사 = 45 그리스의 개인주의 스파르타, 아테네, 테베 마케도니아 로마의 발흥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업적 르네상스 = 56 르네상스 시대의 개인주의 고전 고대의 부흥 르네상스 시대의 호기심 발견의 시대 아름다움에 대한 숭배 프랑스 혁명 = 64 프랑스 혁명의 대조적인 측면 프랑스 혁명의 역사들 사상의 혁명 볼테르의 대담함 프랑스 혁명에 대한 영국인의 견해 마리 앙투아네트에 관한 버크의 견해 Ⅱ 철학 들어가는 말 - 삶의 이상과 희망의 근거를 묻다 = 73 철학과 효율성 철학과 상식 철학과 실용성 철학과 일반화 철학과 실체 무의식적으로 철학하기 의심 철학과 예술 철학과 과학 윤리의 문제 종교철학 형이상학 인식론 소크라테스, 플라톤, 로마 스토아학파 = 96 소크라테스와 아낙사고라스 소크라테스와 피타고라스학파 소크라테스의 임무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제논과 스토아 철학 로마 스토아 철학자들 근대 철학의 발흥 = 103 코페르니쿠스적 발견 갈릴레오의 공헌 근대 경험론 근대 합리론 칸트 = 110 순수 경험론과 순수 합리론에 대한 개혁 영혼의 재발견 칸트의 혁명 의지의 영역 칸트의 추종자들 Ⅲ 종교 들어가는 말 - 원하는 것을 얻는 것과 얻을 것을 원하는 것의 사이 = 119 타인의 성서 자연종교 대 실증종교 비교종교학 종교심리학 종교의 기원 신의 유형 최고신 개념 극기의 종교 종교와 과학 종교와 도덕성 불교 = 143 석가모니의 탄생 석가모니의 가르침 불교와 다른 종교 유교 = 149 공자의 가르침 유교적 영향력의 성장 파스칼 = 156 파스칼과 얀센주의 『시골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팡세』 Ⅳ 정치경제학 들어가는 말 -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 같은 인간이 가진 서로 다른 이해관계 사이의 투쟁 = 165 공공경제학의 초기 개념 중상주의자와 중농주의자 재산의 의미 경제=절약의 의미 가변비례의 법칙 인간과 인간 사이의 이윤 투쟁 인간과 자연의 투쟁 이해관계를 둘러싼 내적인 투쟁 악의 문제 제도의 기원 경제학의 근본적인 지위 경제적 경쟁 르네상스 시대의 정부론 = 186 마키아벨리와 모어의 저작에 드러난 르네상스 정신 방법상의 차이 마키아벨리의 한계 정치 비평의 형태로서 가상의 국가 『유토피아』와 근대의 조건 애덤 스미스와『국부론』 = 193 스미스 철학의 기초 이론 부와 정치경제학의 개념 생산과 분배 자본의 본성과 사용 스미스의 교역론 공공 재정 Ⅴ 항해와 여행 들어가는 말 - 그곳으로 죽을 때까지 가겠노라! = 203 역사 이전 시기의 여행 진정한 탐험가의 동기 정복의 동기 종교적 동기 상업적 동기 과학적 동기 기록 여행의 첫 번째 시대 두 번째 시대 - 순례자와 선교사 이슬람교의 포교 바이킹과 십자군 몽골 제국의 팽창 인도로 가는 길 미국 탐험의 시대 과학 여행의 시기 여행의 방법 여행의 즐거움과 이익 헤로도토스 = 227 『역사』의 주제 헤로도토스 여행의 범위와 목적 헤로도토스의 진실성 헤로도토스의 종교적 요인 엘리자베스 시대의 모험가들 = 234 엘리자베스 영국의 팽창 스페니시 메인 지리학적 공헌 탐험가의 품행 이야기의 양식 발견의 시대 = 240 콜럼버스의 항해 아메리카에서의 새로운 국가 건설 버지니아와 뉴잉글랜드 내지 탐험과 교역 다윈의 비글호 항해 = 247 항해의 계기 자연학자의 훈련 항해의 실질적 결과 항해의 추론적 결과 Ⅵ 희곡 들어가는 말 - 웃음과 눈물로 인간의 세계를 보여주다 = 257 희곡과 대중의 취향 희곡 읽는 법 희곡의 본질 비극의 본질 멜로드라마 이야기 연극 고급 희극, 저급 희극(익살극), 소극 희곡의 사회적 배경 희곡에 나타난 근대 심리학과 사회학 희곡 예술의 수준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연극 무대의 영향력 근대적 무대의 발전 근대 희곡의 세계시민주의 그리스 비극 = 277 그리스에서 연극의 기원 최초의 극장 비극의 아버지,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 엘리자베스 시대의 연극 = 285 셰익스피어 이전의 연극 역사극 엘리자베스 시대의 비극 엘리자베스 시대의 희극 Ⅶ 시 들어가는 말 - 인간 지식의 처음이자 마지막 = 295 서사시의 기원과 발전 과정 원시시의 특징 개인주의의 성장 서정시의 발흥 서정시의 범위 시의 형식적 요소 운율의 본성과 원천 운율의 효과 시의 언어적 요소 내용과 형식의 일치 호메로스와 서사시 = 320 호메로스의 선배들 서사시의 발전 트로이의 역사 『오디세이아』의 구조 호메로스 시의 출처 단테 = 328 『신곡』의 줄거리 중세의 세계관 단테의 학식과 문학의 특징 중세의 문학적 열정 단테의 사랑 개념 존 밀턴의 시 = 336 밀턴의 위대함의 원천 선지자 밀턴 『실락원』의 주제 밀턴의 인간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