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조선시대 과거시험과 유생의 삶

조선시대 과거시험과 유생의 삶 (Loan 4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차미희
Title Statement
조선시대 과거시험과 유생의 삶 / 차미희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2  
Physical Medium
351 p. : 삽화 ; 23 cm
Series Statement
이화학술총서
ISBN
9788973009657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35-343)과 색인수록
000 00684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34405
005 20130111090853
007 ta
008 130110s2012 ulka b AR 001c kor
020 ▼a 9788973009657 ▼g 93910
035 ▼a (KERIS)BIB000013006943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82 0 4 ▼a 352.6509519 ▼2 23
085 ▼a 352.650953 ▼2 DDCK
090 ▼a 352.650953 ▼b 2012
100 1 ▼a 차미희 ▼0 AUTH(211009)39811
245 1 0 ▼a 조선시대 과거시험과 유생의 삶 / ▼d 차미희 지음
260 ▼a 서울 : ▼b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c 2012
300 ▼a 351 p. : ▼b 삽화 ; ▼c 23 cm
440 0 0 ▼a 이화학술총서
504 ▼a 참고문헌(p. 335-343)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2.650953 2012 Accession No. 11168418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4-01-17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R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조선시대의 과거시험, 그중에서 특히 문과의 위상과 운영 방식, 정치적 기능 등의 고찰을 통해 당시의 정치 운영 양상 및 정국 동향 등을 분석한 연구서이다.

문과 급제자가 급제 이후 어떤 관직으로 진출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문치주의를 표방한 성리학의 나라 조선에서 문과가 가지는 위상과 그 시기 집권세력의 성격을 파악하고, 문과의 운영을 둘러싸고 전개된 과옥(科獄)의 발생 배경과 정치적 의미 등을 고찰함으로써 문과 운영과 당시 정국 운영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있다.

또한, 과거시험의 제도적인 측면에만 집중되었던 기존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과거시험을 치르는 유생들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시대적 배경과 함께 살펴본 것이 특징이다. 기존에 주로 활용되었던 관찬 연대기나 법전뿐 아니라 기행문, 편지, 일기, 문학작품 등의 새로운 사료들을 다양하게 참고함으로써 당시 유생들이 가지고 있던 생각과 그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조선시대에는 시험을 통해 모든 관원들을 임용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과거제도가 관원 선발의 기본 통로가 되었다. 조선시대 과거시험에는 문과, 무과, 잡과가 있었는데 그중에서 문반 관원을 선발하는 문과는 핵심적인 정치세력의 재생산과 연결되었기 때문에 가장 중시되었다. 조선의 중앙집권적 양반관료체제를 이끌어갈 문반 관원을 지배 신분 내에서 선발한다는 점에서 문과는 당시의 사상과 신분제도 및 관료제도 등과도 긴밀하게 연결되었다. 따라서 조선시대의 정치와 사회,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문과는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조선시대의 과거시험, 그중에서 특히 문과의 위상과 운영 방식, 정치적 기능 등의 고찰을 통해 당시의 정치 운영 양상 및 정국 동향 등을 분석한 연구서이다. 문과 급제자가 급제 이후 어떤 관직으로 진출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문치주의를 표방한 성리학의 나라 조선에서 문과가 가지는 위상과 그 시기 집권세력의 성격을 파악하고, 문과의 운영을 둘러싸고 전개된 과옥(科獄)의 발생 배경과 정치적 의미 등을 고찰함으로써 문과 운영과 당시 정국 운영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있다.
이 책은 과거시험의 제도적인 측면에만 집중되었던 기존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과거시험을 치르는 유생들의 구체적인 삶의 모습을 시대적 배경과 함께 살펴본 것이 특징이다. 지금까지 조선시대 과거시험에 관한 연구에서는 주로 응시 자격, 시험 과목, 선발 인원, 급제 이후의 진로 등의 분석에만 치중했다. 따라서 과거시험에 응시했던 유생들의 삶에 대해 연구자들은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으며 조선시대 지식인에 대한 이해는 당위적이고 표면적인 것에 머물렀다. 이 책에서는 기존에 주로 활용되었던 관찬 연대기나 법전뿐 아니라 기행문, 편지, 일기, 문학작품 등의 새로운 사료들을 다양하게 참고함으로써 당시 유생들이 가지고 있던 생각과 그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조선시대 지식인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한 데 이 책의 의의가 있다.

[책 내용]

이 책은 총 3장과 보론(補論)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문과에 급제하면 사회를 이끌어갈 핵심 관서와 관직에 제수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졌는데 문과 급제자 대다수가 중앙 행정과 지방 통치의 실무를 담당하는 참상관직을 역임했다. 1장에서는 참상관직의 첫 관문에 해당하는 6품 관직으로의 승진 양상을 고찰함으로써 과거시험의 제도적 측면을 인사관리제도와 연결시켜 검토하고 이를 통해 그 시기 정국 주도 세력의 성격을 파악하고자 했다.
2장에서는 숙종 재위 후반기 문과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응시생의 부정행위, 시관(試官)의 불공정한 관리 · 감독으로 인해 일어난 정치적 옥사(獄事), 즉 기묘과옥과 임진과옥의 전개 과정 및 정치적 성격 등의 검토를 통해서 문과 운영과 정국 운영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당시의 정치적 상황이 성리학적 명분 내지는 이념적 측면에서 초래되었다는 기존의 연구를 보강하고자 했다.
3장에서는 기존의 사료 외에 언문 편지를 비롯해 『저상일월』, 『표해록』, 『도담행정기』 등의 일기와 여행기, 『어우야담』, 『기문총화』 등의 문학작품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과거시험을 준비하면서 받는 스트레스, 가족의 기대에 대한 부담, 합격을 향한 간절한 기대, 낙방 후의 좌절감 등 당시 유생들이 느꼈던 감정과 삶의 애환을 보다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또한 조선시대의 대표적 학자인 이항복이 문과에 급제한 이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마침내 영의정의 자리에까지 오르게 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당시 문과 급제자의 한평생이 어떠했는지 구체적으로 그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보론에서는 그동안 조선시대 문과에 대한 연구사적 검토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지금까지의 연구 현황을 정치사, 사회사, 문화사와 연결시켜 정리하고 향후 문과 연구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차미희(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생활학과에서 학부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고려대학교 사학과와 역사교육과에서 각각 한국사와 역사교육으로 문학 박사와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이화여대 사범대학 사회생활학과 역사교육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장 과거 급제자의 관직 진출 :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을 중심으로 = 13
 1. 15세기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 = 19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 기준 = 19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 기간과 관서 = 35
 2. 16세기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 = 49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 적체 = 49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 적체의 해결 = 59
 3. 17세기-18세기 전반기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의 변화 = 72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 기준의 변화 = 72
  문과 급제자의 6품 관직 승진 통로의 확대 = 84
 4. 문과의 위상과 급제자의 관직 진출 = 100
제2장 과거시험과 정치적 옥사 = 109
 1. 기묘과옥의 전개와 정치적 성격 = 112
  숙종 대의 정국 동향 = 112
  응시생의 부정행위에 대한 조사 = 120
  시관의 불공정에 대한 조사 = 128
  기묘과옥의 정치적 성격 = 140
 2. 임진과옥의 전개와 정치적 의미 = 154
  임진과옥의 발생 배경 = 154
  1차 조사에서의 노론과 소론의 대립 = 160
  재조사의 전개와 숙종의 소론 배격 = 174
 3. 숙종 대의 정치적 상황과 과옥 = 184
제3장 과거시험과 유생의 삶 = 191
 1. 과거길, 출세를 향한 머나먼 여정 = 193
  희망을 향해 떠나는 과거길 = 193
  급제를 위한 준비, 계속되는 불안 = 198
  과거길 유생에 대한 가족과 백성의 기대 = 208
  과거 급제의 조건과 금의환향 = 217
  낙방자의 좌절과 새로운 자기확인 = 227
 2. 이항복을 통해본 문과 급제자의 삶 = 234
  이항복의 문과 급제 = 234
  문반 관원으로서의 새 출발 = 252
  임진왜란 중의 활동 = 266
  정승으로서의 삶 = 279
 3. 과거 응시생들의 다양한 삶 = 295
보론 : 조선시대 문과 연구의 현황과 과제 = 299
 1. 문과와 정치사 = 302
 2. 문과와 사회사 = 313
 3. 문과와 문화사 = 319
표목차 = 334
참고문헌 = 335
찾아보기 = 34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