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122n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734070 | |
005 | 20130111095739 | |
007 | ta | |
008 | 130109s2012 ulkg 000c kor | |
020 | ▼a 9788932023403 ▼g 0389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897 ▼2 23 |
085 | ▼a 898.7 ▼2 DDCK | |
090 | ▼a 898.7 ▼b 2012 | |
245 | 0 0 | ▼a 빛을 보다 : ▼b 북아메리카 인디언 문학 선집 / ▼d 브라이언 스완 엮음 ; ▼e 신문수 외 옮김 |
246 | 1 9 | ▼a Coming to light : ▼b contemporary translations of native literatures of North America |
260 |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c 2012 | |
300 | ▼a 511 p. : ▼b 악보 ; ▼c 22 cm | |
500 | ▼a 공역자: 허정애, 장경순, 손승현, 정은귀 | |
650 | 0 | ▼a Indian literature ▼z North America ▼v Translations into English |
650 | 0 | ▼a Folk literature, Indian ▼z North America ▼v Translations into English |
700 | 1 | ▼a Swann, Brian, ▼e 편 ▼0 AUTH(211009)105324 |
700 | 1 | ▼a 신문수, ▼e 역 ▼0 AUTH(211009)41790 |
700 | 1 | ▼a 허정애, ▼e 역 |
700 | 1 | ▼a 장경순, ▼e 역 |
700 | 1 | ▼a 손승현, ▼e 역 |
700 | 1 | ▼a 정은귀, ▼e 역 |
900 | 1 0 | ▼a 스완, 브라이언,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8.7 2012 | 등록번호 1116840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8.7 2012 | 등록번호 1513146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898.7 2012 | 등록번호 1116840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898.7 2012 | 등록번호 1513146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브라이언 스완의 북아메리카 인디언 문학 선집. 북미 대륙을 모두 일곱 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의 중요한 부족 공동체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인디언 원어로 채록하여 영어로 옮긴 것이다. 이 번역서에 수록된 23편의 작품은 편찬자인 브라이언 스완 교수가 지면 관계상 책 전체를 모두 번역할 수 없는 사정을 이해하고 인디언 문학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들을 직접 추천해준 것들이다.
그동안에도 아메리카 인디언 문학 작품이 한국어로 번역된 적은 더러 있었지만, 전체 상을 그려볼 수 있는 본격적인 소개는 없었다. 또한 지금까지 인디언 문학은 주로 인디언을 제국주의적 야욕의 희생자로 보는 탈식민주의적 시각이나 자연친화적 삶을 고취하는 생태주의 관점에서 이해되었다. 또한 인디언 문학의 본령이라고 할 수 있는 구전문학의 특성을 무시한 채 우리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변형, 왜곡되기 일쑤였다.
이 책은 북아메리카 원주민 사이에서 구전되어온 신화, 전설, 노래, 축원, 연설 등 모든 범주의 문학을 아우를 뿐만 아니라 운율적 언어, 수사적 반복, 혹은 비선형적 서사의 전개와 같은 형식적 특징을 살려, 인디언의 문학을 인디언의 방식으로 전달한다. 아메리카 인디언 문명에 대한 우리의 이해의 지평을 넓혀줄 뿐만 아니라 우리 문학의 토양을 보다 풍요롭게 해줄 기념비적인 작품집이다.
“우리의 신(神)은 우리에게 맡겨둬라.”
신비한 권능을 모셔오는 목소리 보내기
북아메리카 인디언 구전문학의 정수를 보여준다!
인디언 문학의 권위자인 브라이언 스완(쿠퍼유니언 대학교 교수)의 『빛을 보다 - 북아메리카 인디언 문학 선집Coming to Light: Contemporary Translations of the Native Literatures of North America』이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북미 대륙을 모두 일곱 지역으로 나누고 각 지역의 중요한 부족 공동체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인디언 원어로 채록하여 영어로 옮긴 것이다. 이 번역서에 수록된 23편의 작품은 편찬자인 브라이언 스완 교수가 지면 관계상 책 전체를 모두 번역할 수 없는 사정을 이해하고 인디언 문학의 특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들을 직접 추천해준 것들이다.
그동안에도 아메리카 인디언 문학 작품이 한국어로 번역된 적은 더러 있었지만, 전체 상을 그려볼 수 있는 본격적인 소개는 없었다. 또한 지금까지 인디언 문학은 주로 인디언을 제국주의적 야욕의 희생자로 보는 탈식민주의적 시각이나 자연친화적 삶을 고취하는 생태주의 관점에서 이해되었다. 또한 인디언 문학의 본령이라고 할 수 있는 구전문학의 특성을 무시한 채 우리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변형, 왜곡되기 일쑤였다.
이 책은 북아메리카 원주민 사이에서 구전되어온 신화, 전설, 노래, 축원, 연설 등 모든 범주의 문학을 아우를 뿐만 아니라 운율적 언어, 수사적 반복, 혹은 비선형적 서사의 전개와 같은 형식적 특징을 살려, “인디언의 문학을 인디언의 방식으로” 전달한다. 아메리카 인디언 문명에 대한 우리의 이해의 지평을 넓혀줄 뿐만 아니라 우리 문학의 토양을 보다 풍요롭게 해줄 기념비적인 작품집이다.
인류가 간과한 문화의 보고(寶庫), 인디언 문학
오랜 전통과 풍요한 자산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미국 인디언 문학은 1969년 키오와족 출신의 스코트 모마데이가 『여명으로 지은 집』으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것을 필두로 인디언 출신 작가들이 주목할 만한 작품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관심을 끌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다문화주의 운동의 열기 속에서 원주민 인디언의 풍요로운 전통에 대한 관심이 더더욱 고조되었으며, 미국 땅의 원 주인인 아메리카 인디언의 토착 문화는 후기산업사회에 접어들어 가일층 분화되고 파편화되어가는 주류 미국사회의 문제점을 되비쳐주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떠맡아왔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미국 인디언 문학은 소수 집단 문학의 차원을 넘어 미국문학을 새롭게 살찌울 중요한 문학적 자산으로 여겨지기에 이르렀다. 이에 더하여 근래의 인디언 문학이 전경화하고 있는 부족 중심의 공동체 문화, 자연친화적 삶의 방식과 같은 주제나 인디언의 전통적인 구전 이야기 형식, 그리고 노래를 구성하는 운율적 언어, 수사적 반복, 혹은 비선형적 서사의 전개와 같은 형식적 특징은 미국문학을 한층 풍요롭게 쇄신시킬 대안적 자산으로서 특별히 주목받게 되었다. 이제 이 문화의 저장고를 모두가 접근 가능하고 영속적인 자산으로 만드는 번역 작업이 절실히 요청된다. 이 책은 그러한 문화의 보고(寶庫)로 독자들을 이끄는 안내서가 될 것이다.
인디언 문학의 본래적 형식에 충실한 번역─『빛을 보다』
이전에도 적지 않은 인디언 문학 선집이 발간되었지만, 이 책은 두 가지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첫째, 델 하임즈와 같은 언어인류학자들이 인디언 구전문화 자료 편찬의 원리로 강조한 ‘민속시학’에 입각하여 인디언 문학 작품을 선별하여 채록하고 번역한 최초의 텍스트라는 점이다. 그래서 수록된 모든 작품에 채록 경위, 해당 작품의 출처인 인디언 부족과 그 문화에 대한 소개, 그리고 작품과 연관된 문화인류학적 정보 등을 담은 해설이 첨부되어 있다. 둘째, 이미 번역된 작품들을 재수록한 것이 아니라 인디언 부족 당사자들과 전문가들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사람들에게 편지를 띄워 제보와 추천을 받고 그렇게 수집된 작품들 중에서 장르의 다양성과 지역적 대표성을 고려하여 선별했다는 점이다. 이런 점에서 이 선집은 북미 인디언 문학의 풍요한 다양성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인디언 원전의 본래적 형식에도 충실한 번역임을 과시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브라이언 스완(엮은이)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집, 소설, 어린이책을 여러 권 쓰고 번역했으며 '뉴요커' '파리스 리뷰' '파르티잔 리뷰' '뉴 리퍼블릭'에 저널을 기고했다. 현재 쿠퍼유니언 대학교 영문학 교수로 재직 중인 그는 방학이면 숲으로 들어가 모든 문명과 떨어져 생활하며 아메리카 원주민 문학과 관련된 책을 꾸준히 출간하고 있다.
신문수(옮긴이)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로 미국문학과 생태문학을 가르치며 연구하고 있다. 특히 생태 환경 문제에 관심이 많은 인문학, 생태학, 경관학, 건축학 등 여러 분야의 전공자들로 구성된 생태문화연구회를 이끌면서 학제적 대화를 통해 생태문화연구의 정립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 및 동대학원 영문과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버클리)에서 석사, 하와이대학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단국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한국영어영문학회 회장(2011), 한국문학과환경학회 회장(2006),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회장(2005~2007)을 역임했다. 저서로 『풍경, 혹은 마음의 풍경』, 『타자의 초상: 인종주의와 문학』, 『시간의 노상에서』(1~2), 『‘모비딕’ 읽기의 즐거움』이 있고, 편서로는 『미국의 자연관 변천과 생태의식』, 『미국 흑인문학의 이해』, 역서로는 『프로이트 예술미학』, 『자연』, 『문학 속의 언어학』, 공역서로는 『빛을 보다』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옮긴이 서문 : '목소리 보내기'의 시학 = 6 제1장 알래스카, 유콘 및 북극권 지역 티케라크의 두 이야기[이누피아크] = 27 세르바나와 늙은 술사 = 30 티고시냐: 소년 술사와 사기꾼 = 37 망자의 세계에서 돌아온 여자[유피크] = 45 망자의 세계에서 돌아온 여자 1 - 앤디 킨지가 들려준 이야기 = 50 망자의 세계에서 돌아온 여자 2 - 마사 만이 들려준 이야기 = 62 물개와 함께 산 소년[유피크] = 75 물개와 함께 산 소년 = 77 곰과 결혼한 소녀[태기쉬/틀링깃] = 103 곰과 결혼한 소녀 = 107 제2장 북태평양 연안 존 스카이의『그들이 양도한 아이』[하이다] = 123 그들이 양도한 아이 = 127 태양 신화[캐슬라메트 치누크] = 157 태양 신화 = 160 죽음에 정통한 자 코요테, 삶에 출실하기[칼라푸야] = 177 죽음에 정통한 자 고요테, 삶에 충실하기 = 181 물개와 남동생이 살고 있었다네[클래머커스] = 205 물개와 남동생이 살고 있었다네 = 207 제3장 대분지와 고원지대 블루 제이와 그의 동서인 울프[콜빌] = 213 블루 제이와 그의 동서인 울프 = 215 쇼쇼니 유령춤의 시가[윈드 리버 쇼쇼니] = 235 나라야의 시가 = 238 제4장 대평원 지도력을 보여주는 두 가지 예 - '할머니의 소년'과 '막내 동생'[라코타] = 261 버펄로 뿔 방망이 이야기 = 265 흰 버펄로 여인 이야기 = 280 제5장 동부 삼림지대 나나부시 이야기[오지브웨] = 295 스컹크가 나나부시에게 힘을 주나 그 힘을 허비하다 = 298 나나부시가 아티초크를 먹다 = 308 나나부시와 순록 = 313 델라웨어 트릭스터 이야기[델라웨어] = 323 그가 아기를 보다 외 = 326 인디언 악마, 못된 짓 하는 자[패서머쿼디] = 341 인디언 악마, 못된 짓 하는 자 = 344 제6장 남동부와 남서부 지방 사슴 달리기 공연[야키] = 363 사슴 달리기 노래들 = 366 피마 부족의 찌르레기 노래[피마] = 397 피마 부족의 찌르레기 노래들 = 400 주니족의 제례 노래에 대한 민족 시학적 재번역[주니] = 433 물속에서 쏟아지는 노래들 = 436 그 산을 더 크게 노래하는 것[나바호] = 455 산에서 부르는 노래 = 458 이별 노래[하바수페이] = 467 이별 노래 = 470 제7장 캘리포니아 은백색 여우가 다른 세상을 창조하다[아추게위] = 487 은백색 여우가 다른 세상을 창조하다 = 490 네티 루빈의 저녁 별 노래[카룩] = 503 네티 루빈의 저녁 별 노래 =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