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음악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음악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Krausz, Michael, 편 김정진, 역
서명 / 저자사항
음악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 마이클 크라우츠 엮음 ; 김정진 옮김
발행사항
파주 :   음악세계,   2012  
형태사항
463 p. : 삽화 ; 23 cm
원표제
(The) Interpretation of music : philosophical essays
ISBN
9788966850464
일반주기
음악미학에 관한 철학적 논의들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Music -- Philosophy and aesthetics
000 00916camcc2200301 c 4500
001 000045731661
005 20121217164613
007 ta
008 121213s2012 ggka 001c kor
020 ▼a 9788966850464 ▼g 93600
035 ▼a (KERIS)BIB000012987192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781/.1 ▼2 23
085 ▼a 781.1 ▼2 DDCK
090 ▼a 781.1 ▼b 2012z1
245 0 0 ▼a 음악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 ▼d 마이클 크라우츠 엮음 ; ▼e 김정진 옮김
246 1 9 ▼a (The) Interpretation of music : ▼b philosophical essays
260 ▼a 파주 : ▼b 음악세계, ▼c 2012
300 ▼a 463 p. : ▼b 삽화 ; ▼c 23 cm
500 ▼a 음악미학에 관한 철학적 논의들
500 ▼a 색인수록
650 0 ▼a Music ▼x Philosophy and aesthetics
700 1 ▼a Krausz, Michael, ▼e▼0 AUTH(211009)42939
700 1 ▼a 김정진, ▼e▼0 AUTH(211009)29921
900 1 0 ▼a 크라우츠, 마이클,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1 2012z1 등록번호 1116826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1.1 2012z1 등록번호 1212229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1.1 2012z1 등록번호 1212229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1.1 2012z1 등록번호 1116826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1.1 2012z1 등록번호 1212229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청구기호 781.1 2012z1 등록번호 12122297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우리는 음악을 어떻게 듣고 연주하는가?
음악해석에 관한 19편의 철학적 사색


쇼팽 에튀드 「대양」을 듣다보면 너른 바다 위로 파도가 밀려왔다가는 이미지가 연상되고, 라벨의 「물의 유희」를 듣다보면 물방울이 통통 튀고 흘러내리고 솟아오르는 이미지가 연상된다. 우리는 어떻게 음악에서 이러한 정서(감정)를 경험하는가? 음악해석학에 따르면, 음악은 특정한 정서(작곡가의 의도 등)를 표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서는 선율, 조성, 박자 등의 음악형식 속에 구상화되고, 우리는 그러한 음악을 경청하고 분석함으로써 그 안에 내재된 특정한 정서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음악해석의 또 다른 양상은 ‘어떻게 연주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같은 작품이라도 연주자나 지휘자가 누구이냐에 따라 음악의 분위기나 어조가 다르다. 같은 「골드베르크 변주곡」이라 해도 글렌 굴드의 연주와 커크 패트릭의 연주가 다르게 들린다. 하나의 작품에 대해 다양한 음악해석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음악해석은 작곡가의 작품을 소리로 전환(연주)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템포, 리듬, 다이내믹, 악센트, 악구 구성법 등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이 악보에 기록되어 있지만 이들을 어떻게 연주할 것인가는 전적으로 연주자의 (역사적, 문화적, 미학적) 관점에 달려 있다. 일례로, 속도 지시기호인 알레그로(빠르게 연주)를 생각해보자. 어떻게 연주할 것인가? ‘빠르게’의 정확한 기준은 존재하는가? 답은 ‘No’이다.

이 책은 이러한 음악해석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처음 소개되고 있는 19편의 에세이는 음악가의 관점이 악보에 구체적으로 표현되었는지, 이러한 악보의 지시사항들이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엄밀히 고려되어야 하는지, 어떻게 작곡가의 의도를 인지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지와 같은, 음악작품에 대한 음악적 해석의 본질적인 특성을 고찰한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을 인간의 다른 인지적 활동과 연관 지어 음악해석의 미학적, 문화적, 역사적 담론을 시사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음악적 현상과 비음악적 현상, 음악적 의미와 언어적 의미 간에 존재하는 구조적인 차이까지 논하고 있다. 이는 음악을 듣고 연주하고 느끼는 우리의 모든 행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마이클 크라우츠(엮은이)

브린모어 대학의 Milton C. Nahm 철학과 교수로, 필라델피아 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바이올리니스트 조세프 깅골드로부터 바이올린을 사사하기도 했으며, 필라델피아 챔버 오케스트라를 설립하여, 예술 감독을 지내기도 했다. 저서로는 ≪정의와 이성: 문화적 관습에 관한 해석Rightness and Reasons: Interpretation in Cultural Practices≫, R. G. 콜링우드에 관한 ≪창조성, 상대주의, 합리성Creativity, Relativism, and Rationality≫(편저)가 있다.

김정진(옮긴이)

경기여고를 졸업하고 한양대학교에서 피아노 석사, 미국 Eastern Illinois University에서 피아노 석사, 미국 University of Iowa에서 음악학Musicology 석사, 미국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에서 음악이론Music Theory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4세 때 피아노를 시작하여 독주회, 실내악 연주, 오케스트라 협연 등 다양한 연주 경력을 쌓았다. 피아니스트로 활동하며 음악학과 음악이론, 미학에 관심을 갖게 되어 롤랑 바르트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세계 미학학회’, ‘세계 예술과 인문학 학회’ 등에서 논문을 발표하고, 여러 학술지에 바르트식 텍스트 이론을 음악 분석에 접목한 연구 결과를 게재하였다. 논문으로 “Opera Written for Television: ‘Amahl and the Night Visitors’”(1989), “A Barthesian Analysis of Britten’s ‘The Holy Sonnets of John Donne’”(1996), “When Beethoven Meets Roland Barthes”(2004), “Can We hear ‘Unsung Voices’ in B. Britten’s ‘Winter Words’ Op. 52?”(2006), <롤랑 바르트의 내러티브 (이야기) 코드>(1997),<음악이 문학(가)에 미치는 역할과 기능>(1998), <조나단 크레이머 VS 베토벤>(2000) 등 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음악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2012), 《클래식의 격렬한 이해》(2013), 지은 책으로 《지적인 대화를 위한 교양 클래식 수업》(2015)이 있다. 서울대학교에서 강의하며 후학을 양성했고, 현재는 시민대학과 평생교육원 등에서 대중교양 강좌를 통해 클래식 대중화와 인문학과 음악의 접목을 시도하고 있다. 민족음악학회와 한국미학회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론 / 마이클 크라우츠 = 7
Ⅰ. 해석행위 : 연주자-비평가-청취자
 음악해석 유형들 / 괴란 헤르메른 = 20
 연주 해석과 비평적 해석 / 제럴드 레빈슨 = 60
 음악의 감정적 내용에 대한 해석 / 프란시스 M. 베렌손 = 100
Ⅱ. 해석의 다원성 : 역사적, 해석적 음악 집단
 음악해석의 정당성과 당위성 / 마이클 크라우츠 = 122
 음악적 성취 기준 / 제임스 로스 = 143
 음악에 대한 정확한 이지 / 로버트 크라우트 = 166
Ⅲ. 음악작품의 정체성 : 기보-연주
 연주자와 청취자 세계의 음악작품 / 로버트 마틴 = 192
 기보와 연주: 역사적 관점에서 본 음악 연주 / 보얀 부익 = 206
 정돈된 소리로서의 음악: 설명과 해석에 미치는 혼란 / 조셉 마골리스 = 225
Ⅳ. 해석의 전략성 : 미학적, 윤리적 접근
 음악 연주의 윤리성 / 제임스 O. 엄슨 = 248
 나만의 음악 만들기 / 프랑크 시블리 = 261
 음악은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다: 음악해석 전략에 대하여 / 리디아 괴어 = 283
Ⅴ. 음악의 지향성 : 물질적, 지각적 특징
 음악의 의미에 대한 소고 / 로저 스크루톤 = 310
 음악을 위한 의미론은 존재하는가? / 롬 하레 = 328
 굿먼, 밀도, 감각 인지의 한계성 / 다이아나 라프만 = 347
Ⅵ. 음악의 재현성 : 분석(설명적, 해석적 기능)ㆍ청취
 음악의 초상화: 엘가의〈수수께끼 변주곡〉 / 프랜시스 스파르쇼트 = 372
 미학적 해체: 음악, 정체성, 그리고 시간 / 조안나 호지 = 399
 유머 이해와 음악 이해 / 켄달 월튼 = 419
 이론에 근거한 청취 / 마크 드벨리스 = 438
역자후기 = 455
찾아보기 = 45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