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사회와 문화예술 : 그 아름다운 공진화 (1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흥재
서명 / 저자사항
현대사회와 문화예술 : 그 아름다운 공진화 / 이흥재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푸른길,   2012  
형태사항
263 p. : 천연색삽화 ; 23 cm
ISBN
9788962912128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74namcc2200229 c 4500
001 000045731628
005 20121214095520
007 ta
008 121213s2012 ulka b 001c kor
020 ▼a 9788962912128 ▼g 936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700.103 ▼2 23
085 ▼a 700.103 ▼2 DDCK
090 ▼a 700.103 ▼b 2012z2
100 1 ▼a 이흥재 ▼0 AUTH(211009)115145
245 1 0 ▼a 현대사회와 문화예술 : ▼b 그 아름다운 공진화 / ▼d 이흥재 지음
260 ▼a 서울 : ▼b 푸른길, ▼c 2012
300 ▼a 263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36 ▼a 이 책은 추계예술대학교의 특별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임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00.103 2012z2 등록번호 1116827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오늘날 과학기술은 단순히 기술력의 문제로 치부되지 않는다. 뛰어난 기술은 물론, 디자인도 아름다워야 하며, 쓸모가치 못지않게 문화적인 측면의 미적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 책의 저자는 현대사회를 문화가 다른 분야와 결합되어 더 큰 효과를 주는 ‘모듬비빔시대’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예술이라는 개념이 과거에는 단순한 공작품이나 공예처럼 삶에 필요한 물건을 보기 좋게 장식하는 것쯤으로 생각하는 기계예술이었다면, 지금은 실용예술로서 실생활에 보다 깊이 들어와 사람들의 일거수일투족에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각 시대에 활동했던 예술가들의 작품과 가치관을 살펴보며 이들이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야기하고, 이와 아울러 다양한 분야에 녹아 있는 생활 속 문화와 그 역할을 진단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총체적으로 오늘날까지의 사회에서 예술이 과연 어떠한 역할을 해 왔는지, 또한 지금 어떻게 발전해 가고 있는지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는 인문학과 과학기술의 교차점에서
살아가는 것을 좋아합니다.
-스티브 잡스


오늘날 애플은 단순한 기업이 아니다. 애플에서 나오는 모든 제품은 출시될 때마다 전 세계 사람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창업주인 스티브 잡스는 단순한 CEO를 넘어서 가치관, 삶의 방식, 패션까지 젊은이들의 롤 모델로 자리 잡았다. 애플이 성공한 이유는 수없이 많지만 그중 젊은이들을 가장 사로잡은 요인은 바로 디자인이다. 어떤 제품도 애플의 제품만큼 심플하면서도 아름답지 않다. 디자인만큼은 타사의 물건을 쓰는 이들도 모두 애플의 손을 들어준다. 예쁜 디자인은 애플의 제품이 단순한 전자제품이 아니라는 인식을 심어 주었고, 늘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행로는 애플을 단순한 기업이 아닌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게 했다, 그러한 이미지는 구매자들로 하여금 전자제품을 사는 것이 아니라 마치 문화를 사는 것 같은 착각을 하게 만든다. 애플의 로고인 사과가 그려진 제품을 쓰는 이들은 기계를 사용함과 동시에 문화를 소비하고 싶어 하는 이들인 것이다.

여러 재료가 섞여 새로운 맛을 만들어내는
‘모듬비빔시대’


이렇듯 오늘날 과학기술은 단순히 기술력의 문제로 치부되지 않는다. 뛰어난 기술은 물론, 디자인도 아름다워야 하며, 쓸모가치 못지않게 문화적인 측면의 미적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 책의 저자는 현대사회를 문화가 다른 분야와 결합되어 더 큰 효과를 주는 ‘모듬비빔시대’ 라고 표현하고 있다. 예술이라는 개념이 과거에는 단순한 공작품이나 공예처럼 삶에 필요한 물건을 보기 좋게 장식하는 것쯤으로 생각하는 기계예술이었다면, 지금은 실용예술로서 실생활에 보다 깊이 들어와 사람들의 일거수일투족에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각 시대에 활동했던 예술가들의 작품과 가치관을 살펴보며 이들이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야기하고, 이와 아울러 다양한 분야에 녹아 있는 생활 속 문화와 그 역할을 진단하고 있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총체적으로 오늘날까지의 사회에서 예술이 과연 어떠한 역할을 해 왔는지, 또한 지금 어떻게 발전해 가고 있는지를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저자의 말하고 싶어 하는 바는 명확하다. 잘 만든 영화 한편이 잘 만든 자동차 못지않은 세상이다. 커피가 아닌 문화를 파는 스타벅스처럼 현대의 생활은 문화예술을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국가의 선진화를 진단하는 가장 큰 측도 역시 문화의 다양성과 사람들이 문화를 누리는 수준이 되었다. 문화예술의 발전은 곧 사회의 발전이다. 이 책이 궁극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듯 문화예술과 사회의 공진화를 통해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 창조적으로 접근한다면 사회는 보다 더 아름다워질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흥재(지은이)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 성균관대대학원 행정학박사. 전,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로서 문화예술경영대학원장과 문화예술경영연구소장을 지냈다. 한국문화경제학회장, 한국지역문화학회장을 맡았다. 정책현장에서 한국문화정보센터(현 한국문화정보원)소장,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장으로 일했다. 문화정책에 관련해서 문화정책론(2014), 문화재정책개론(역, 2007), 문화정책(2006), 문화예술정책론(2005), 예술경영과 문화정책(역, 2002)을 펴냈다. 그 밖에 4차산업혁명과 소셜디자인 문화전략(2018), 현대사회와 문화예술(2012), 문화사회만들기(2010), 문화예술과 도시경제(편, 2002), 문화예술경제학(2000), 왕의 소통: 권력과 문화의 짝춤(2022), 삶이 계절이라면 가을쯤 왔습니다(2019)를 저술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4 
이 책의 틀 = 14 
part 1 문화예술 활동의 공진화 
 1장 탄생과 사회적 순환 = 23 
  1. 문화접착시대 = 24
  2. 문화예술의 탄생과 순환 = 28
   1) 탄생 = 28
   2) 사회적 순환 = 31
  3. 사회 목적 활동 = 33 
   1) where to: 예술가의 창작 = 33
   2) what to: 인간가치 실현 = 34
   3) how to: 지속 가능한 발전 = 36
  4. 공진화 = 37 
 2장 가치의 사회적 실현 = 40 
  1. 가치증식의 시대 = 41 
  2. 고유가치 = 44 
   1) 무한가치의 예술 = 44
   2) 고유가치의 확대와 충돌 = 44
  3. 소통가치 = 46 
   1) 소통은 예술의 기본 = 46
   2) 소통가치의 새로운 발견 = 49
  4. 이미지 가치 = 50 
   1) 예술은 바로 이미지 = 51
   2) 이미지는 문화를, 문화는 이미지를 = 52
   3) 이미지 가치의 구체화 = 53
  5. 부가가치 = 56 
  6. 인본가치 = 58 
   1) 인간을 보는 눈 = 59
   2) 인간 관점의 보편화 = 60
   3) 인본주의의 구체화 = 61
 3장 실험과 사회적 변신 = 62
  1. 소용돌이 시대 = 63 
  2. 경계 넘는 실험예술 = 66 
   1) 실험적 예술 = 67
   2) 개념예술 = 68
  3. 기술지식 용해와 융합예술 = 70 
   1) 무한복제와 대중예술 = 70
   2) 기술 결합 엔터테인먼트 = 71
  4. 배려와 동반예술 = 73 
   1) 큰 예술 = 73
   2) 성숙사회의 동반예술 = 76
part 2 지식가치의 확산과 융합융화 
 4장 창조성의 사회 확산 = 81 
  1. 창〉조 시대 = 81 
  2. 창조력 이끌어내기 = 85 
   1) 모방 = 85
   2) 경험 = 87
   3) 결합 또는 융합 = 89
  3. 창조성의 사회 확산 = 92 
   1) 공공 확산 = 92
   2) 창출된 사회 에너지 활용 = 96
  4. 개인 창의력, 집단 창의력 키우기 = 99 
 5장 융합융화의 미학 = 104 
  1. 모듬비빔시대 = 105 
  2. 융합빅뱅의 진화 = 108 
  3. 융합융화의 미학 = 113 
   1) 융합논리와 유형 = 113
   2) 융합융화 영역 = 115
  4. 융합융화 생태계 = 120 
   1) 융합융화의 미래지평 = 120
   2) 충돌하는 트렌드 세터들 = 122
   3) 융합형 활성인재 = 124
 6장 콘텐츠의 사회학 = 127
  1. 콘텐츠 제왕의 시대 = 127 
  2. 메인 스트림 = 130 
  3. 콘텐츠의 가치 쌓기 = 133 
   1) 발굴 = 133
   2) 가치 키우기와 활용 = 135
  4. 사회적 재구성 = 138 
   1) 문화원형의 변환 = 138
   2) 시간의 재구성 = 139
  5. 미래 콘텐츠 인력 = 141 
part 3 사회문화자본의 재구성
 7장 스마트 지식의 문화생태계 = 149
  1. 스마트 시대 = 149 
  2. 스마트 지식의 문화 확산 = 153 
   1) 문화예술 스마트 지식의 심화 = 153
   2) 스마트 엔터테인먼트 = 157
  3. 실험과 재구성 = 160 
   1) 끝없는 창작 터치 = 160
   2) 스마트 리터러시 = 163
 8장 문화영토의 재구성 = 166
  1. 노노드(Know Node) 시대 = 166 
  2. 글로벌 교류 = 168 
   1) 진화에서 문화교류로 = 168
   2) 교류와 문화발전 = 170
   3) 국가 초월 지역 네트워크 = 172
  3. 다인종 다문화 = 175 
   1) 문화적 공생 = 175
   2) 이해 프로그램 = 177
  4. 문화영토의 확산, 한류 = 178 
   1) 문화가치의 확산 = 178
   2) 디지털 한류의 확산 = 180
 9장 생산하는 소비자 = 183 
  1. 문화폭발시대 = 183
  2. 문화소비 트렌드 = 187
   1) 소비자 행태 = 187
   2) 네오필리언 트렌드 세터 = 189 
  3. 창작을 이끄는 소비자 = 191
   1) 창작의 질 높이는 우수소비자 = 191
   2) 콘텐츠 생비자들 = 194 
  4. 문화소비와 생산의 공진화 = 196 
part 4 모두를 위한 모두의 문화사회
 10장 생활문화복지 = 205 
  1. 감성생활시대 = 205 
  2. 문화생활의 자기전개력 = 208 
   1) 자유시간 셀프헬프 = 208
   2) 감성사회 적응력 = 210
  3. 감성사회 적응학습 = 212 
   1) 감수성 학습 = 213
   2) 소통, 표현, 체험 = 216
  4. 생활문화복지 = 220
   1) 생활예술활동 = 220
   2) 인생의 질 = 222 
 11장 사회 돌봄 예술 = 226
  1. 절대행복의 시대 = 226 
  2. 생애주기 맞춤 문화 돌봄 = 228 
  3. 사회 돌봄 예술 = 232 
   1) 소외계층 돌봄 예술 = 232
   2) 문화단체의 케어 = 235
   3) 장애자 예술 활동 = 237
   4) 예술치료 = 238
  4. 사회 회복 예술 = 240 
   1) 그늘 속 착한 예술 = 240
   2) 건강한 소셜아트 = 241
   3) 지역 재생 예술운동 = 244
 12장 모두를 위한 모두의 문화예술 = 246 
  1. 네트워크 자본의 시대 = 246 
   1) 네트워크 시대 = 246
   2) 전제참여시대 = 250
  2. 공공 시스템 = 251 
   1) 중앙정부 = 252
   2) 지방자치단체 = 254
  3. 민간 문화울력 = 255 
   1) 기업 메세나 = 255
   2) 문화재단 = 256
   3) 예술대학교 = 257
   4) 단체, 시설 네트워크 = 258
  4. 시민 네트워크 = 260 
참고문헌 = 264
색인 = 26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