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01 인간공학적 디자인의 개요
1.1 디자인의 정의 = 2
1.1.1 방법(Method) = 3
1.1.2 용도(Use) = 4
1.1.3 요구(Need) = 4
1.1.4 목적지향성(Telesis) = 5
1.1.5 연상(Association) = 7
1.1.6 심미성(Aesthetics) = 8
1.2 디자이너의 역할 및 의무 = 9
1.2.1 사용자의 범위를 넓히는 일 = 12
1.2.2 디자인에의 참여 = 14
1.2.3 제품중독의 교정 = 16
1.2.4 제품의 단순화 = 18
1.2.5 디자인의 인간화 = 20
1.2.6 지역적 특성에 맞는 디자인 = 22
1.2.7 디자인 교육 = 23
1.2.8 디자인 생태학 = 24
1.3 인간공학적 디자인 = 25
1.3.1 디자인에서 인간공학의 접목이 요구되는 이유 = 28
1.3.2 인간공학의 태동 = 30
1.3.3 인간공학의 연구분야 = 34
1.3.4 인간공학의 학문분야 = 36
1.4 감성공학적 디자인 = 37
1.4.1 감성공학의 탄생 = 40
1.4.2 감성에 대한 측정방법 = 49
1.4.3 감성디자인 자동차 = 50
1.4.4 감성 ICT의 출현 = 51
1.5 사용자중심 디자인 = 56
1.5.1 기계중심 개발단계 = 57
1.5.2 개발자중심 개발단계 = 57
1.5.3 사용자중심 개발단계 = 59
1.6 유니버셜 디자인 = 60
1.6.1 유니버셜 디자인의 도입 의의 = 63
1.6.2 유니버셜 디자인의 성공을 위한 토대 = 67
1.7 지속가능 디자인 = 71
1.7.1 지속가능제품 = 73
1.8 적정기술 = 74
Chapter 02 사람에 대한 이해
2.1 사람의 입력시스템 = 81
2.1.1 시각정보 = 81
2.1.2 시각정보의 처리 = 89
2.1.3 청각정보 = 105
2.1.4 청각정보의 처리 = 107
2.1.5 촉각정보 = 108
2.1.6 촉각정보의 처리 = 108
2.2 사람의 출력시스템 = 109
2.3 사람의 기억시스템 = 110
2.3.1 감각기억(sensory memory) = 112
2.3.2 작업기억(working memory) 또는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 114
2.3.3 장기기억(long-term memory) = 117
2.4 사람의 의사결정 및 추론과정 = 126
2.4.1 의사결정과정에서 범하는 오류 = 127
2.4.2 추론과정에서의 오류 = 133
2.4.3 지각과 자극 = 135
2.5 인체정보 = 136
Chapter 03 컴퓨터에 대한 이해
3.1 컴퓨터와 그 구성요소 = 140
3.1.1 입력장치 = 141
3.1.2 출력장치 = 141
3.1.3 기억장치 = 143
3.1.4 네트워크장치 = 144
3.2 정보가전 = 145
3.3 컴퓨터 인터페이스 = 148
3.3.1 입출력장치에 대한 HCI 연구 = 148
3.3.2 햅틱장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 148
3.3.3 장치 인터페이스의 중요성 : 키보드는 장치, 자판 배열은 인터페이스 = 149
3.3.4 쿼티(QWERTY) 키보드와 드보락(DVORAK) 키보드 = 149
Chapter 04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HCI)
4.1 인터페이스의 본질 = 153
4.1.1 인터페이스(Interface)의 정의 = 153
4.1.2 인간중심 인터페이스의 정의 = 154
4.2 잘못된 HCI에 의한 사고사례 = 155
4.2.1 미국 쓰리마일섬 원전사고(1979) = 155
4.2.2 구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1986) = 155
4.2.3 이지스군함 = 157
4.2.4 상업용 웹페이지 디자인 = 157
4.2.5 디지털콘텐츠 실패사례 = 157
4.3 인지공학과 주의 소재 = 158
4.3.1 인간공학과 인지공학 :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 158
4.3.2 습관의 형성 = 158
4.4 인터페이스의 정량 분석 = 159
4.4.1 GOMS 키입력 수준모델 = 159
4.4.2 인터페이스 타이밍 = 160
4.4.3 GOMS 산출사례 = 161
4.5 Fitts 법칙과 Hick의 법칙 = 165
4.5.1 Fitts 법칙 = 166
4.5.2 Hick의 법칙 = 169
4.6 사용성 테스트 = 171
4.6.1 유용성(Usefulness) = 171
4.6.2 사용성(Usability) = 172
4.6.3 감성(Emotion) = 184
4.7 HCI = 189
4.7.1 HCI의 개념 = 189
4.7.2 사람에 대한 고려의 중요성 = 199
Chapter 05 작업환경과 안전
5.1 작업환경 = 214
5.2 인체측정 = 216
5.2.1 의자 자리판의 높이 = 217
5.2.2 의자 자리판의 깊이 = 217
5.3 자세와 작업역 = 218
5.3.1 동작경제의 원칙(동선절약의 원리) = 220
5.3.2 작업 공간 디스플레이 = 220
5.4 인체반응와 환경조건 = 221
5.4.1 바이오리듬(biorhythm) = 221
5.4.2 자연계의 리듬과 생년월일 = 222
Chapter 06 인간을 위한 디자인 사례연구
6.1 디자인과 문화 = 227
[1] 젓가락 문화 = 228
[2] 일본의 주전자 = 229
[3] 일본의 다도용 솔 = 230
[4] 독일의 수술용 가위 = 230
[5] 셰이커 교도들의 주방기구 = 231
6.2 감성디자인 = 231
[1] 프라다폰 = 233
[2] 햅틱폰 = 233
[3] 닛산의 콘셉트카 NV200 = 234
[4] 지능형 자동차(smart vehicle) = 235
6.3 동ㆍ식물의 프로세스를 모방한 디자인 = 236
[1] 포르쉐 자동차(KdF-Wagon) = 236
[2] 콩코드(Concorde) = 236
[3] 풍력발전기 = 237
[4] 그 밖의 '자연 프로세스'에서 힌트를 얻은 디자인들 = 237
6.4 환경을 고려한 디자인 = 239
6.5 소외계층을 위한 디자인(적정기술) = 242
6.6 시대를 초월한 명품 디자인 = 250
참고문헌 = 259
찾아보기 =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