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서문 = ⅹ
역자 서문 = xi
약어 = xii
Part 1: 면역학의 기초
1. 선천면역 = 3
면역반응의 시작 신호 = 4
선천면역반응과 적응 면역반응 = 7
감염에 대항하는 외부 방어체계 = 8
초기 면역반응 = 9
식균세포는 미생물들을 잡아먹고 죽인다 = 13
식균작용과 박테리아의 용해작용을 촉진시키는 보체 기전 = 19
염증반응 = 22
2차 방어 시스템인 체액성 면역반응 = 24
자연 살해 세포 = 27
기생충에 대한 면역반응 = 29
적응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선천면역반응 = 31
2. (항원) 특이적 획득 면역 = 37
항원-면역시스템에 의해 인지되는 '형태' = 38
항체-특이적 항원 인지 분자 = 38
항체 생성의 세포적 원리 = 40
획득 면역 기억 = 47
획득 면역은 항원 특이성을 지닌다 = 48
백신접종은 획득 기억에 의존한다 = 49
세포매개성 면역은 세포내 병원균에 대한 방어를 담당한다 = 50
면역병리학 = 52
3. 항체 = 57
노동의 분업 = 58
면역글로불린의 5가지 종류 = 58
IgG 분자 = 58
면역글로불린 종류의 구조와 기능 = 65
항체 다양성과 기능의 유전학 = 74
4. 항원 막 수용체 = 85
항원 B 세포 표면 수용체(BCR) = 87
항원 T 세포 표면 수용체(TCR) = 91
항원 인식을 위한 다양성 형성 = 97
NK 수용체 = 103
주 조직적합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 = 108
5. 항원과의 상호작용 = 123
항체의 항원 인지 = 124
단백질에서 B 세포 에피토프의 확인 = 127
항원-항체 상호작용의 열역학 = 129
항체의 특이성과 교차반응 = 133
T 세포 수용체의 항원 인지 = 134
Class Ⅰ. MHC 제시를 위한 내인성 항원의 처리 = 136
Class Ⅱ. MHC 제시를 위한 외인성 항원의 처리 = 138
항원들의 교차 제시 = 141
'홈 구조 결합' 펩티드의 특성 = 142
ab T 세포 수용체와 MHC-항원 펩티드의 삼중 복합체 형성 = 145
T 세포의 다른 특성 = 145
다른 구조의 항원을 인식하는 T 세포들 = 145
슈퍼항원에 의한 림프구 수용체들의 활성 유도 = 150
B 세포와 T 세포에 의한 다른 형태의 항원인지는 숙주에게 유리한다 = 151
6. 면역학적 방법들과 적용 = 157
맞춤형 항체 만들기 = 158
친화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항원과 항체의 정제 = 165
항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의 조절 = 166
세포와 조직에서의 항원의 면역검색법 = 167
항체를 이용한 항원의 검출과 정량 = 172
항원결정기 지도화 = 180
항체 측정 = 181
면역복합체 형성의 측정 = 187
특정 백혈구 집단의 분리 = 187
유전자 발현 분석 = 190
기능적 활성에 대한 접근법 = 192
동물모델에서 면역시스템의 조작 = 197
세포와 모델 동물의 유전자 조작 = 199
사람의 유전자 치료 = 203
7. 면역반응의 해부 = 209
조직화된 림프조직 = 210
림프조직으로의 림프구 순환 = 210
림프절 = 213
비장 = 217
피부면역계 = 217
점막면역계 = 218
골수는 항체생산의 주요장소이다 = 221
간은 다양한 면역세포를 가지고 있다 = 222
면역반응 특별열외 지역 = 223
항원관리 = 223
8. 림프구의 활성화 = 229
세포막 수용체들의 결집은 그들의 활성화를 자주 유발한다 = 230
T 림프구와 항원제시세포는 여러 부속분자들의 결합 쌍을 통해 결합한다 = 231
T 세포의 활성화는 두 개의 신호가 필요하다 = 232
T 세포 수용체의 촉발 = 233
단백질 티로신 인산화는 T 세포 신호전달의 초기 과정이다 = 233
TCR 신호전달에 따른 후속 전달과정 = 235
T 세포 활성의 제동 = 238
면역시냅스에서 다이내믹한 결합 = 239
B 세포들은 세 가지 다른 종류의 항원과 반응한다 = 241
B 세포 활성화의 특성 = 244
BCR 시냅스에서의 다이내믹한 결합 = 249
9. 효과기의 생산 = 253
효과기 기작 = 254
사이토카인은 세포 간 전령으로 작용한다 = 256
활성화된 T 세포는 사이토카인에 반응하여 증식한다 = 266
T 세포 아형에 따라 사이토카인의 양상이 다르다 = 266
선천면역계의 세포들은 Th1/Th2/Th17 반응을 구체화한다 = 270
적응면역계 관리하기 = 271
세포-매개 면역의 CD8+ T 세포 효과기 = 273
B 세포 반응의 증식과 성숙은 사이토카인에 의해 매개된다 = 278
배중심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 278
항체의 합성 = 280
면역글로불린 클래스 전환은 개별 B 세포에서 일어난다 = 281
면역반응에서 항체의 친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 284
기억세포 = 284
10. 조절 메커니즘 = 295
항원은 서로 경쟁한다 = 296
보체와 항체의 상호협력은 면역반응을 조절한다 = 296
활성화 유도 세포예정서(activation-induced cell death, AICD) = 297
T 세포에 의한 면역 조절 = 299
이디오타입 네트워크 = 304
유전인자의 영향 = 307
조절성 면역신경내분비 네트워크 = 310
음식물, 오염 및 외상 등이 면역성에 미치는 효과 = 313
노화의 효과 = 314
11. 개체발생과 계통발생 = 317
CD 항원 = 318
조혈줄기세포 = 318
흉선은 T 세포 분화를 위한 환경을 제공한다 = 318
T 세포 개체발생 = 322
T 세포 관용 = 327
B 세포는 태아의 간에서 분화하고 그 다음 골수에서 분화한다 = 333
B-1과 B-2 세포는 별개의 두 집단이다 = 334
B 세포 특이성 발달 = 335
B 림프구의 관용 유도 = 337
자연살해(NK) 세포 개체발생 = 339
신생아에서의 전반적 반응 = 340
면역반응의 진화 = 340
뚜렷이 구분되는 B 세포와 T 세포 계통의 진화는 분리된 분화 장소의 발생과 함께 이루어졌다 = 342
세포 인식 분자는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수퍼패밀리를 활용한다 = 343
Part 2: 면역학의 적용
12. 감염에 대한 대항 비결 = 349
감염은 주요한 의료문제로 남아있다 = 350
염증에 대한 재고 = 350
세균에 대한 방어 반응 = 354
세포내 세균의 서식은 숙주의 많은 방어로부터의 회피를 허용한다 = 363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 368
균류에 대한 면역 = 374
기생충 감염에 대한 면역 = 375
13. 백신 = 385
수동 획득면역 = 386
백신접종의 원리 = 388
사백신 = 390
약독화 생균은 백신으로서 많은 이점을 가짐 = 390
단위 백신 = 393
백신 개발을 위한 보다 새로운 접근 = 398
현재의 백신 = 399
개발 중인 백신 = 402
기생충에 대한 백신은 특히 개발이 어려움: 말라리아 = 402
생물학적 테러 방어를 위한 백신 = 406
암에 대한 백신 = 406
백신의 다른 목적으로의 사용 = 406
면역증강제 = 407
14. 면역결핍 = 411
선천면역의 결핍 = 412
유전적(1차적) B 세포 결핍 = 416
유전적(1차적) T 세포 결핍 = 418
복합 면역결핍 = 420
면역결핍의 진단 = 422
1차 면역결핍의 치료 = 422
2차 면역결핍 = 422
후천성 면역결핍(AIDS) = 423
15. 알레르기와 과민반응 = 437
아나필락틱 과민반응(제1형) = 438
항체-의존성 세포독성 과민반응(제2형) = 450
면역복합체-매개 과민반응(제3형) = 454
세포-매개(지연형) 과민반응(제4형) = 459
원 분류에 추가되는 자극성 과민반응('제5형') = 463
'내재적' 과민반응 = 464
16. 이식 = 471
이식의 유형 = 472
이식항원의 유전적 제어 = 473
MHC 비적합성의 다른 결과들 = 474
이식거부반응의 기전 = 476
이식거부반응의 예방 = 479
이종이식은 실용적인 제안인가? = 485
줄기세포 치료법 = 486
이식의 임상경험 = 488
태아는 잠재적인 동종이식편이다 = 491
17. 종양 면역 = 495
세포 형질변형과 암 = 496
세포 내재적 종양억제 기전 = 498
면역관점에서 보는 종양의 문제점 = 500
종양 항원과 면역감시 = 501
종양에 대한 자연면역반응 = 508
종양의 면역 회피 기전들 = 509
감염과 염증반응은 종양의 개시, 촉진, 진행을 증가시킨다 = 511
종양 면역치료를 위한 접근법 = 513
18. 자가면역질환 = 529
자가면역질환 스펙트럼 = 530
자가면역질환 병인 = 532
자가면역질환 기전 = 537
체액성 자가항체의 병적 효과 = 546
자가항원과의 복합체로 인한 병증효과 = 550
자가면역질환에서 병인으로서 T 세포 매개성 과민반응 = 554
기타 자가면역성 질환들 = 557
자가항체의 측정 = 559
치료 방법들 = 559
용어해설 = 567
찾아보기 = 5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