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22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730014 | |
005 | 20121130221615 | |
007 | ta | |
008 | 121129s2012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9335756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2978009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82 | 0 4 | ▼a 327.5193051 ▼2 23 |
085 | ▼a 327.539051 ▼2 DDCK | |
090 | ▼a 327.539051 ▼b 2012 | |
100 | 1 | ▼a 박영실 ▼0 AUTH(211009)72573 |
245 | 1 0 | ▼a 중국인민지원군과 북·중관계 / ▼d 박영실 |
260 | ▼a 서울 : ▼b 선인, ▼c 2012 | |
300 | ▼a 274 p. : ▼b 삽화 ; ▼c 23 cm | |
500 | ▼a 이 책은 2010년 저자의 박사학위논문을 토대로 정리 보완하여 완성하였음 | |
504 | ▼a 참고문헌(p. [257]-268)과 색인수록 |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7.539051 2012 | 등록번호 11168135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중국인민해방군은 ‘중국인민지원군’이라는 이름으로 6·25전쟁에 참전하였다. 6·25전쟁 중 북한과 중국은 연합사령부를 조직하였고, 중국인민지원군은 정전협정이 체결된 후 1958년까지 북한에 주둔하였다. 혈맹관계라고 회자되는 북·중관계가 성립된 것은 예상외로 오랜 역사성을 갖는다. 일본 식민지시기 한반도의 독립을 위해 활동하던 독립 운동가들의 일부는 중국을 거점으로 활동하였고, 국공내전 시 중국공산당을 도왔던 북한과 중국의 관계는 시종일관 서로 동맹 이상의 관계였다.
현재까지 6·25전쟁기 북한과 중국에 대한 연구는 국내와 국외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졌지만, 이 가운데 중국인민지원군을 둘러싼 북한·중국의 양국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 책은 1950년대 중국인민지원군의 한반도 진입으로 야기된 북한과 중국의 상황을 분석한 연구서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박영실(지은이)
명지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구 정신문화연구원) 석·박사 과정에서 한국정치사를 전공하여 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에서 항일독립운동과 적대세력 사건(북한군, 지방 좌익 등에 의한 피해)을 조사했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 중국인민지원군과 북·중 관계』『6·25전쟁 소년병 연구』(공저)「정전회담을 둘러싼 북한·중국 갈등과 소련의 역할」「‘로동신문’을 통해 살펴본 북한의 전후 복구 과정」「정전협정 체결 후 비무장지대 반공포로수용소 발생사건」「반공포로 63인의 타이완 행과 교육 및 선전활동」「한국전쟁기 북한의 남한 주요인사 납북 원인 분석」「해방이후 이범석의 사상과 정치활동」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책머리에 = 5 1장 서론 = 11 연구의 목적과 범위 = 11 문제제기 = 11 구성과 범위 = 16 연구자료 = 19 2장 북ㆍ중관계의 역사적 출발 = 21 북한정권의 형성과정과 중국공산당과의 관계 = 21 북한정권의 형성과정 = 21 중국공산당과의 관계 = 31 在중국 조선인의 귀환 = 38 3장 6ㆍ25전쟁의 발발과 중국의 반응 = 51 김일성의 전쟁 준비 = 51 6ㆍ25전쟁의 개전과 중국의 반응 = 61 인천상륙작전과 중국ㆍ소련의 대응 = 75 4장 중국인민지원군의 결성과 참전 = 85 중국의 6ㆍ25전쟁 참전 결정 과정 = 85 중국인민지원군의 한반도 진입 = 98 5장 중조연합사령부의 조직과 중ㆍ소의 북한지원 = 111 중조연합사령부의 구성 과정과 전쟁 중 북한ㆍ중국의 대립 = 111 6ㆍ25전쟁 중 중국ㆍ소련의 북한 지원 = 130 6장 정전협정 과정과 전쟁의 종결 = 165 정전회담을 둘러싼 북한ㆍ중국의 갈등과 소련의 역할 = 165 6ㆍ25전쟁의 후속조치 = 183 7장 정전협정 체결 이후 중국인민지원군의 북한 주둔 = 193 정전협정 체결 이후 북한의 상황과 對 중ㆍ소 관계 = 193 중국인민지원군의 북한 주둔 = 201 1956년 8월 종파사건의 원인과 결과 = 206 8장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와 미국의 반응 = 219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 과정 = 219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 이유 = 236 1958년 중국인민지원군의 철수에 대한 미국의 반응 = 241 9장 결론 = 247 참고문헌 = 257 찾아보기 = 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