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음식의 제국 : 음식은 어떻게 문명의 흥망성쇠를 지배해 왔는가 (3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Fraser, Evan D. G. Rimas, Andrew, 저 유영훈, 역
서명 / 저자사항
음식의 제국 : 음식은 어떻게 문명의 흥망성쇠를 지배해 왔는가 / 에번 D.G. 프레이저, 앤드루 리마스 지음 ; 유영훈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알에이치코리아 :   랜덤하우스코리아,   2012  
형태사항
486 p. : 삽화 ; 24 cm
원표제
Empires of food : feast, famine, and the rise and fall of civilizations
ISBN
9788925548142
수상주기
제임스비어드상 논픽션 부문, 2011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Food -- History Food supply -- History Agriculture -- History
000 01138camcc2200349 c 4500
001 000045729847
005 20121129182026
007 ta
008 121128s2012 ulka 001c kor
020 ▼a 9788925548142 ▼g 03900
035 ▼a (KERIS)REW000000166093
040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641.3009 ▼2 23
085 ▼a 641.3009 ▼2 DDCK
090 ▼a 641.3009 ▼b 2012
100 1 ▼a Fraser, Evan D. G.
245 1 0 ▼a 음식의 제국 : ▼b 음식은 어떻게 문명의 흥망성쇠를 지배해 왔는가 / ▼d 에번 D.G. 프레이저, ▼e 앤드루 리마스 지음 ; ▼e 유영훈 옮김
246 1 9 ▼a Empires of food : ▼b feast, famine, and the rise and fall of civilizations
260 ▼a 서울 : ▼b 알에이치코리아 : ▼b 랜덤하우스코리아, ▼c 2012
300 ▼a 486 p. : ▼b 삽화 ; ▼c 24 cm
500 ▼a 색인수록
586 ▼a 제임스비어드상 논픽션 부문, 2011
650 0 ▼a Food ▼x History
650 0 ▼a Food supply ▼x History
650 0 ▼a Agriculture ▼x History
700 1 ▼a Rimas, Andrew, ▼e
700 1 ▼a 유영훈, ▼e▼0 AUTH(211009)76173
900 1 0 ▼a 프레이저, 에번 D. G., ▼e
900 1 0 ▼a 리마스, 앤드루, ▼e
945 ▼a KLPA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41.3009 2012 등록번호 1116811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41.3009 2012 등록번호 1116872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41.3009 2012 등록번호 1513145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41.3009 2012 등록번호 11168119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641.3009 2012 등록번호 1116872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41.3009 2012 등록번호 15131455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16세기 피렌체 상인이자, 세계 무역 여행을 기록한 최초의 유럽인 프란체스코 카를레티의 15년에 걸친 세계 일주를 따라간다. 이는 인류가 땅에서 기르고 사냥하고 교역해온 ‘먹을거리’에 관한 이야기이며, 지난 1만 3000년간 음식이 인간의 운명을 지배해온 과정을 생생하게 서술한 연대기이다. 그리고 머지않아 닥칠 의미심장한 미래에 대한 충격적인 통찰이다.

도시, 문화, 예술, 정부, 종교 등 우리가 이른바 문명이라고 일컫는 것은 다름 아닌 ‘잉여 식품의 생산과 교환’이라는 토대 위에 세워졌다. 미국의 저명한 농경학자 에번 프레이저는 저널리스트 앤드루 리마스와 함께, ‘음식이 지배하는 제국의 노예’로 살아온 것이나 진배없는 인류의 문명사를 흥미진진한 타임슬립을 통해 새롭게 되살린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국가, 근대 대영제국, 현대 미국과 중국의 몸살 앓는 곡창지대를 드나드는가 하면 향신료 가득 실은 대형 범선, 거대한 곡물저장탑, 플랜테이션 농장을 넘나든다. 그러면서 시종일관 음식이 우리 인간에게 어떤 의미였는지를 짚어보고, 하나의 문화나 나라에 식량이 떨어졌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들려준다. 그리고 굶주린 세상의 얼굴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인류의 흥망성쇠가 반복되는 가운데 19세기 파멸적 식민지 정책은 세계의 절반을 빈곤 상태로 몰아넣었다. 그 후유증은 결코 회복되지 못했다. 오늘날에도, 놀라운 농업 생산성과 유전자변형 작물의 이 시대에도 우리는 다시 한 번 식량 위기를 겪고 있다. 이 책은 기후 변화, 연료비 상승, 한계에 다다른 농경지 등의 문제에 취약한 21세기 ‘음식의 제국’을 진단한다.

★★★ 주영하, 황교익 추천 화제작! ★★★
땅의 분노, 기후의 저주, 끝없는 인간 탐욕의 앙상블
인류의 존폐를 위협하는 식량난에 해답을 제시한 기념비작!
“우리는 음식이 지배하는 제국의 노예다”
“역사학자는 물론 경제학자, 사회학자, 식도락가, 환경운동가 모두를 사로잡을 문명의 대서사!” _파이낸셜타임스

“메콩삼각주 새우잡이배가 빈 그물을 끌어올리면 왜 카리브해에서 식량폭동이 일어나는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국가 탄생부터 현대 중국의 싼샤댐 건설까지,
‘음식’을 프리즘으로 인류 문명사를 새롭게 펼쳐 보이는 어느 농경학자의 타임슬립

《음식의 제국(Empires of Food)》은 16세기 피렌체 상인이자, 세계 무역 여행을 기록한 최초의 유럽인 프란체스코 카를레티의 15년에 걸친 세계 일주를 따라간다. 이는 인류가 땅에서 기르고 사냥하고 교역해온 ‘먹을거리’에 관한 이야기이며, 지난 1만 3000년간 음식이 인간의 운명을 지배해온 과정을 생생하게 서술한 연대기이다. 그리고 머지않아 닥칠 의미심장한 미래에 대한 충격적인 통찰이다.
도시, 문화, 예술, 정부, 종교 등 우리가 이른바 문명이라고 일컫는 것은 다름 아닌 ‘잉여 식품의 생산과 교환’이라는 토대 위에 세워졌다. 미국의 저명한 농경학자 에번 프레이저는 저널리스트 앤드루 리마스와 함께, ‘음식이 지배하는 제국의 노예’로 살아온 것이나 진배없는 인류의 문명사를 흥미진진한 타임슬립을 통해 새롭게 되살린다.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국가, 근대 대영제국, 현대 미국과 중국의 몸살 앓는 곡창지대를 드나드는가 하면 향신료 가득 실은 대형 범선, 거대한 곡물저장탑, 플랜테이션 농장을 넘나든다. 그러면서 시종일관 음식이 우리 인간에게 어떤 의미였는지를 짚어보고, 하나의 문화나 나라에 식량이 떨어졌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들려준다. 그리고 굶주린 세상의 얼굴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인류의 흥망성쇠가 반복되는 가운데 19세기 파멸적 식민지 정책은 세계의 절반을 빈곤 상태로 몰아넣었다. 그 후유증은 결코 회복되지 못했다. 오늘날에도, 놀라운 농업 생산성과 유전자변형 작물의 이 시대에도 우리는 다시 한 번 식량 위기를 겪고 있다. 이 책은 기후 변화, 연료비 상승, 한계에 다다른 농경지 등의 문제에 취약한 21세기 ‘음식의 제국’을 진단한다. 과거처럼 우리도 기근과 불안을 향하여 위태롭게 달리면서 언제까지나 풍족할 것이라는 망상을 지속할 것인가? 아니면 재난을 피할 지혜와 방법을 찾을 것인가?

“우리가 먹는 것이 곧 우리 자신이다”―인간의 물리적 본성에 주목하고,
도시 문명의 보편 토대를 탐구하며, 인류 쇠망의 보편 법칙을 파헤치다

저자들의 논지는 ‘우리가 먹는 것이 곧 우리 자신’이라는 명제에서 출발한다. 음식은 단순히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최소단위가 아니다. 음식은 경제적이고, 정치적이며, 사회적이고, 미학적인 매체이다. 따라서 음식은 문명의 뼈대가 되는 필요충분조건으로서 모자람이 없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들은 “음식에 관한 연구는 어쩌면 인문학일지 모른다”고 말한다.
음식을 중심으로 한 문명사의 재정립을 통해 저자들이 궁극적으로 해갈하고자 하는 문제는, 현재의 식량난이다. 식량난의 역사는 유구한 인류의 역사와 맥을 같이하며 되풀이되어왔다. 문명의 시작에 음식이 있었고, 문명의 끝에 음식이 없었다. 저자들은 현재 전 세계 식량난이 일촉즉발의 상황임을 경고하며, 막강한 식품 강대국으로 맹위를 떨치고 있는 중국을 그 화두로 제시한다. 고대 이집트부터 현대 중국에 이르는 모든 문명의 기둥은 ‘잉여식품, 잉여식품의 보관.운송, 잉여식품의 교환’이었다. 막대한 토양침식과 환경 파괴, 화석연료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건설된 현대판 만신전 ‘싼샤댐’. 전례 없는 천문학적 비용을 감수하며 구축된 댐의 존재 이유는 식품 교역에 있었다(1부 서문). 그러나 저자들의 논의에 따르면, 역설적이게도 싼샤댐의 특성은 문명의 기둥을 무너뜨린다. 잉여식품의 생산, 그 자체를 위협한다는 말이다. 잉여식품의 생산과 원만한 교역 없이 문명은, 인류의 내일은 없다. 그렇다면 저자들이 주장하는 인류 쇠망의 보편 법칙은 무엇일까. 카를레티의 박진감 넘치는 여정을 함께하는 동안, 그것은 풍족한 오늘의 식탁을 맹목적으로 낙관하는 데 기인함을 알 수 있다.

#지구의 토양이 비옥하다는 낙관
지난 80년 동안 인류는 전례 없는 맹위로 땅을 경작해왔다. 역사적으로 기록된 어느 때보다 방대한 수확량을 자랑하는 현재, 인류는 ‘자연자산’을 모두 끌어내어 지력을 고갈하고 있다. 병들고 기운 없는 땅에서 어떠한 생산물을 기대할 수 없을 때 성마른 인심은 국가와 문명을 공격한다. 이러한 현실을 개탄하며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일갈한다. “부식토가 사라져 조상의 뼈로 거름을 만들 도리밖에 없을 때 국가로부터 기대할 것은 없다.”

#앞으로의 기후가 온화할 것이라는 낙관
누구나 온화한 날씨가 계속될 거라는 일기예보를 기대한다. 실제로 현재 인류는 온화한 날씨를 여러 세대에 걸쳐 누려왔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오히려 특수한 시절이 작금이다. 지구의 기후는 결코 안정적이지 않다. 고대 로마와 중세의 ‘음식의 제국’은 악천후 속에서 몰락했다. 기후가 건조해지며 나타난 연이은 가뭄이 민감한 토양을 괴롭히고, 계속된 비는 병충해와 전염병을 일으켜 땅과 인류를 죽음으로 내몰았다.

#단일작물 재배와 특성화에 대한 낙관
21세기 ‘음식의 제국’은 단일작물 재배를 거의 불문율로 한다. 이는 경제적으로 설득력이 있을지 모르지만 생태적으로 참담한 결과를 초래한다. 단일재배는 가뭄과 홍수, 해충의 공격에 치명적이다. 실례로 16세기 스페인 모험가들이 퍼트린 플랜테이션과 대농장은, 식물군의 다양성 없이 단일작물만을 길렀기 때문에 사실상 사상누각이었다. 아일랜드 대기근 역시 마찬가지다. 단일작물 재배는 토양의 유기물을 없애고 습기를 말리는 결과를 가져와 문명을 파국으로 치닫게 했다.

#값싼 화석연료가 영구히 제공될 것이라는 낙관
인류는 자연에서 오는 화석연료를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화석연료가 합리적인 가격에 안정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면 식료품의 안정적 보관 역시 불가하다. 값싼 에너지는 식료품 공급에 중추 역할을 해왔다. 저자들은 새의 배설물이자 놀라운 화석연료인 구아노를 차지하기 위한 19세기의 거대한 전쟁과, 윤작의 비밀병기라 할 수 있는 ‘질소’ 고정을 향한 인류의 시행착오를 상세히 소개한다.


‘금융 위기는 삶을 망치치만 식량 위기는 삶을 끝장낸다’는 불편한 진실.
지속가능한 ‘음식의 제국’, 인류의 내일을 담보하는 생태공동체 코뮌을 꿈꾸며!

식량난의 역사는 농민봉기, 민중반란, 정권교체, 국가 간의 전쟁 등 전 세계적 파국을 초래하며 문명의 존폐를 위협해왔다. 이는 먼 역사의 사건이 아니다. 1994년 멕시코 남부 치아파스 농민들의 분노로 피어난 농민봉기, 1917년 미국에서 터무니없이 오른 장바구니 물가에 분노해 상인들을 습격한 어머니들의 반란 등의 사건은 가까운 과거의 일이다. 그렇다면 장밋빛 미래를 약속하는 음식의 제국은 어떻게 가능한가? 그것은 ‘지속가능한 농업’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지속가능한 농업의 실례는 멀지 않다. 저자 에번 프레이저는 자기 할아버지의 농업 방식을 예로 들어, 문명을 되살리는 농업이 우리 가까이에 있음을 강조한다. 지속가능한 농업은 첫째, 다년생 작물을 심는 것으로 자연 상태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둘째, 기계 대신 사람의 근력을 사용하여 한정된 석유자원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셋째는, 바로 생산물의 지역 판매이다.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고 교역로의 거리를 줄이고 잉여식량을 늘리는 것은 사회적 혁명을 요구하는 일이자 18세기 ‘빵관리법’의 역설, 곧 일용할 빵은 경제 논리의 대상이 아니라는 식품의 공익성을 지지하는 일이다(7장 참조). 식품의 공익성에 대한 성찰은 왜곡된 식품 교역 시장에 대한 반성으로 이어지며, 자연히 윤리적 교역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1946년 본격적인 공정무역 운동을 탄생시켰다(9장 참조).
자연적 온전함을 표방하는 유기농 식품의 활성화, 베네치아의 ‘슬로푸드’ 문화는 지역 생태 환경에 기반을 둔 코뮌을 필요로 한다. 저자들이 주장하는 건전한 식품 생산과 교역의 이상향 역시 물리적으로 일정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생태공동체이다. 지속가능한 음식의 제국이 존속하기 위한 조건은 첫째, 작고 다양성 있는 농장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둘째, 식품을 공급받는 소비자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생물지역주의’라고 한다. 이렇듯 왜곡된 글로벌 경제시장에 대항한 생물지역주의는 원초적이고 순수한 형태의 소비를 퇴색시키지 않는 보루이자, 머지않은 애그플레이션과 식량난의 재앙에서 벗어나는 단초라 할 수 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에번 D. G. 프레이저(지은이)

농업, 기후, 환경 문제를 중점 연구하는 농경학자로, 영국 리즈대학교의 지구.환경학부 부교수이자 캐나다 온타리오 주 궬프대학교의 지리학 외래교수이다. 인류의 소고기 집착 역사를 흥미롭게 집대성한 책 《Beef: The Untold Story of How Milk, Meat, and Muscle Shaped the World》로 학계와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음식의 제국》을 통해 ‘요리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제임스비어드상의 2011년 논픽션 부문을 수상했고, '인디펜던트' '파이낸셜타임스' '커커스리뷰' 'BBC' 등 유력 언론의 찬사와 더불어 뜨거운 논쟁을 일으켰다. 총 1천4백만 달러에 이르는 다양한 학술 프로젝트를 지휘, 공동 참여했고 다양한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며 지식인의 행보를 늦추지 않고 있다. 지속가능성연구협회, 지구와환경학회에서 활동하며 영국 요크셔데일스에서 아내, 세 아이와 함께 살고 있다.

앤드루 리마스(지은이)

저널리스트이자 '임프로퍼 보스터니언'의 편집장이다. '보스턴'에서 편집자와 기자 생활을 했고, '보스턴글로브 매거진'과 '보스턴글로브' 등에 기고하고 있다. 에번 D. G. 프레이저와 《Beef: The Untold Story of How Milk, Meat, and Muscle Shaped the World》를 공저했다.

유영훈(옮긴이)

대학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종교 잡지사와 종합 출판사에서 일했다. 영미권 출판 번역가, 주류(와인) 및 식음료 전문 편집자, 외국인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원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들어가는 말 = 7
제1부 식품의 가격(THE PRICE OF FOOD) 
 싼샤댐 = 21
 식품 제국의 흥망성쇠와 과거, 현재, 미래 = 27
 제1장 장터 : 식품 교역 = 35
  사막의 교부 = 40
  일하고 기도하고 먹어라 = 44
  서기 900년의 농업 혁명 = 47
  장터는 장마당 = 50
  진자의 운동 = 59
  진자의 반동 = 65
  뼈거름 = 73
 제2장 식료품실 : 1만 톤의 곡물로 무엇을 합니까? = 77
  국가 안보와 테러와의 전쟁 = 80
  빵만으로 = 86
  빵에 곁들일 기름과 생선 = 91
  한니발의 가르침 = 95
  물류의 문제 = 103
  지력 고갈의 이유 = 106
  어떻게 제국을 '값싸게' 먹이는가? = 110
  빈 식료품실 = 114
 제3장 농장 : 수익 재배와 환경 약탈 = 121
  분노의 포도 = 126
  잔 안의 신 = 137
  현대 식품 제국의 약한 심장 = 147
제2부 가격 상승(THE PRICE RISES) 
 생존 실험 = 157
 뷔페 음식은 충분할까? = 163
 제4장 물 : 미심쩍은 관개 = 169
  메소포타미아의 해결책 = 175
  곡물 찬가 = 178
  동양식 폭정 = 183
  코끼리의 소멸 = 192
  흙탕물 강 = 195
  물은 정말 어디에나 있나? = 200
 제5장 흙 : 생명의 화학작용 = 207
  N의 이야기 = 209
  식물성 플랑크톤 찬가 = 214
  새똥의 정치 = 217
  전쟁의 제국 = 224
  페루의 새들 = 232
 제6장 얼음 : 우리를 보존하소서 = 235
  식품이 썩는 과정과 그것을 늦추는 법 = 237
  정글의 법칙 = 244
  캘리포니아의 녹색 산업 = 247
  토마토의 승리 = 253
  캘리포니아의 이상한 셈법 = 258
  오렌지 주스의 진퇴양난 = 262
제3부 빈 주머니(EMPTY POCKETS) 
 먹구름 = 271
 제7장 피 : 식품 정복 = 279
  향신료 섬의 반란 = 288
  치아파스 = 296
  식품의 도덕 경제 = 302
  기후의 방아쇠 효과 = 311
 제8장 돈 : 홍차와 기근 = 317
  국가 공인 해적질 = 320
  빅토리아 시대의 티타임 = 327
  여왕님의 마약 조직 = 329
  "미국에서 기근은 있을 수 없습니다……" = 335
  아일랜드 대기근 = 339
  앞으로의 식품 제국 = 344
 제9장 시간 : 공정무역과 유기농, 슬로푸드 = 351
  공정함의 의미 = 356
  유기농의 의미 = 369
  달팽이의 승리 = 378
결론(CONCLUSION) : 새로운 탐식가와 내일의 메뉴(THE NEW GLUTTONY AND TOMORROW'S MENU) = 389
감사의 말 = 410
주 = 412
색인 = 462

관련분야 신착자료

Lanio, Jean-Marie (2022)
홍은경 (2023)
坂田阿希子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