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대구, 찬란한 예술의 기억 : 대구 예술가들의 삶과 예술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임언미
Title Statement
대구, 찬란한 예술의 기억 : 대구 예술가들의 삶과 예술 / 임언미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대구 :   한티재,   2012  
Physical Medium
280 p. : 삽화 ; 22 cm
ISBN
9788997090105
000 00648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729637
005 20121203114847
007 ta
008 121010s2012 tgka 000c kor
020 ▼a 9788997090105 ▼g 03810
035 ▼a (KERIS)BIB000012953068
040 ▼a 222001 ▼c 222001 ▼d 244002
082 0 4 ▼a 700.92 ▼2 23
085 ▼a 700.92 ▼2 DDCK
090 ▼a 700.92 ▼b 2012z2
100 1 ▼a 임언미
245 1 0 ▼a 대구, 찬란한 예술의 기억 : ▼b 대구 예술가들의 삶과 예술 / ▼d 임언미 지음
260 ▼a 대구 : ▼b 한티재, ▼c 2012
300 ▼a 280 p. : ▼b 삽화 ; ▼c 22 cm
536 ▼a 이 책은 대구경북연구원의 지원을 받아서 집필되었음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00.92 2012z2 Accession No. 15131348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대구의 원로 예술인 17인과의 인터뷰를 엮은 책이다. 대구광역시 문화예술회관에서 발행하는 지역문화정보지 월간 「대구문화」의 편집장인 저자가 그동안 진행해왔던 인터뷰를 기초로, 추가 인터뷰를 하고 자료를 정리하여 펴낸 것이다. 원로 예술인들은 예술이라는 화려한 모습 이면의 외로움과 고뇌, 기쁨과 보람 등을 진지하게 들려준다.

이제 사진비엔날레가 열리는 도시가 된 대구에서 사진 역사의 중심을 지켜온 강상규부터 판화가 예술로 인정받기까지 외롭고 힘든 길을 걸었던 김우조, 한국 추상회화의 거장 정점식 등에 이르기까지 대구의 문화예술계를 지켜온 분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그들의 삶에 찬란했던 순간들과 그 뒤에 숨은 그림자를 따라가다 보면 화려한 경력에 가려 보이지 않았던 노력의 시간들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원로 예술인들의 삶을 대하는 자세와 그 발자취에서 그들이 추구해온 예술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느끼게 된다.

대구의 예술을 지켜온 원로 예술인을 만나다!
문화와 예술을 사랑한 사람들, 대구가 사랑한 예술인들의 진솔한 이야기


이 책은 대구의 원로 예술인 17인과의 인터뷰를 엮은 것이다. 대구광역시 문화예술회관에서 발행하는 지역문화정보지 월간 『대구문화』의 편집장인 저자가 그동안 진행해왔던 인터뷰를 기초로, 추가 인터뷰를 하고 자료를 정리하여 책을 펴냈다. 인터뷰한 인물들은 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사진가, 무용가, 판화가, 화가, 작곡가, 문학인, 지휘자, 극작가, 연극인, 조각가로서 대구에서 살아가며 문화와 예술에 인생을 바쳐온 이들이다. 인터뷰를 했던 원로 예술인들 중에는 그 사이 세상을 떠난 분들도 있고, 현재에도 활발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분들도 있다.
이제 사진비엔날레가 열리는 도시가 된 대구에서 사진 역사의 중심을 지켜온 강상규부터 판화가 예술로 인정받기까지 외롭고 힘든 길을 걸었던 김우조, 한국 추상회화의 거장 정점식 등에 이르기까지 대구의 문화예술계를 지켜온 분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원로 예술인들은 예술이라는 화려한 모습 이면의 외로움과 고뇌, 기쁨과 보람 등을 진지하게 들려준다. 그들의 삶에 찬란했던 순간들과 그 뒤에 숨은 그림자를 따라가다 보면 화려한 경력에 가려 보이지 않았던 노력의 시간들을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원로 예술인들의 삶을 대하는 자세와 그 발자취에서 그들이 추구해온 예술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을 느끼게 된다.

이미 고인이 된 분들과 지금도 현장을 지키고 있는 원로 예술인들
그들의 삶과 예술에 담긴 대구 문화예술의 역사를 기록하다


이 책에 담은 원로 예술인들의 삶과 그 업적은 그대로 대구예술의 역사와 문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늘 현장에서 대구의 문화예술인들을 만나는 인터뷰어였던 저자는 대구의 문화공간들과 예술작품, 역사적인 자료들을 접하면서 대구 문화예술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깊어졌고, 원로 예술인들이 하나 둘 세상을 뜨는 모습을 보며 더욱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원로 예술인들에 대한 기록과 자료를 정리해 남기는 것 또한 대구 예술의 미래를 위해 중요한 작업이라는 생각에서, 또 앞으로 꾸준히 해나가야 할 그런 작업의 첫걸음으로서 그동안의 인터뷰와 자료를 추리고 묶었다. 『대구, 찬란한 예술의 기억』에 담긴, 원로 예술인들의 경험에서 우러나온 지혜와 통찰, 대구지역의 문화 현실에 대한 기억과 반성은 앞으로 대구의 문화예술계가 나아가는 길에 소중한 지침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임언미(지은이)

대구에서 태어나서 자랐고 경북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 동 대학원에서 현대희곡을 전공했다. 2000년부터 대구 문화예술계에 발을 내디뎠고 현재까지 월간지 《대구문화》 발간을 맡아 문화예술계 현장의 소식을 전하고 있다. 문화공간이라고는 시민회관(현 대구콘서트하우스)과 대구문화예술회관 그리고 몇 개의 소극장과 화랑만 있던 시절에 활동을 시작해서 급격히 팽창하는 문화예술현장을 지켜봤다. 2020년부터는 《대구문화》 발간과 함께 향토 문화예술 현장의 다양한 사료들을 수집·보존하는, 대구시 문화예술 아카이브 구축 준비 작업을 맡고 있다. 향토 원로예술인들을 인터뷰한 글들을 모아 『대구, 찬란한 예술의 기억』(한티재, 2012)을 펴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펴내며 = 5
사진 교육 시대를 열다 : 사진가 강상규 = 12
영혼을 울리는 춤사위 : 무형문화재 살풀이춤 예능보유자 권명화 = 30
대구 현대무용의 중심에 그가 있다 : 현대무용가 김기전 = 46
신명으로 살아온 세월 : 무형문화재 날뫼북춤 예능보유자 김수배 = 66
판화가 예술로 인정받기까지 : 판화가 김우조 = 80
붓 따라 일어서는 힘찬 대자연의 풍경 : 서양화가 김종복 = 96
세월을 떠난 창작에의 열정 : 서양화가 신석필 = 110
작곡은 건축과 같은 것 : 작곡가 우종억 = 126
문학과 사람이 그곳에 있었다 : 문학인 윤장근 = 142
1960년대 교향악 운동을 기억하라 : 대구시립교향악단 초대 지휘자 이기홍 = 156
국립극장 공모 당선작「무지개」의 작가 : 극작가 이만택 = 174
대구연극사의 큰 별 : 연극인 이필동 = 184
작곡은 작곡가 정신의 재창조 : 작곡가 임우상 = 200
한국 합창의 역사 : 합창지휘자 장영목 = 214
인간의 영혼을 즐겁게 해주는 그림 : 서양화가 전선택 = 230
한국 추상회화의 거장 : 서양화가 정점식 = 246
조각의 토대를 일구다 : 조각가 홍성문 = 262
예술가 약력 = 27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