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194camcc2200409 c 4500 | |
001 | 000045727975 | |
005 | 20121113161505 | |
007 | ta | |
008 | 121112s2012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30086493 ▼g 94340 | |
020 | 1 | ▼a 9788930080019 (세트) |
035 | ▼a (KERIS)BIB000012957711 | |
040 |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09 | |
082 | 0 4 | ▼a 324.2519 ▼2 23 |
085 | ▼a 324.253 ▼2 DDCK | |
090 | ▼a 324.253 ▼b 2012z2 | |
245 | 0 0 | ▼a 한국 정당정치 연구방법론 / ▼d 장훈, ▼e 임성학 外 [편저] |
246 | 1 1 | ▼a Approaches to studying Korean political parties |
260 | ▼a 파주 : ▼b 나남, ▼c 2012 | |
300 | ▼a 303 p. : ▼b 천연색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나남신서 ; ▼v 1649 |
500 | ▼a 저자: 김용호, 박명림, 김재한, 유진숙, 이현출, 장우영, 금혜성, 강원택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장훈, ▼e 편 ▼0 AUTH(211009)132454 |
700 | 1 | ▼a 임성학, ▼e 편 ▼0 AUTH(211009)140547 |
700 | 1 | ▼a 김용호, ▼e 저 |
700 | 1 | ▼a 박명림, ▼e 저 |
700 | 1 | ▼a 김재한, ▼e 저 |
700 | 1 | ▼a 유진숙, ▼e 저 |
700 | 1 | ▼a 이현출, ▼e 저 |
700 | 1 | ▼a 장우영, ▼e 저 |
700 | 1 | ▼a 금혜성, ▼e 저 |
700 | 1 | ▼a 강원택, ▼e 저 |
900 | 1 0 | ▼a Jaung, Hoon, ▼e 편 |
900 | 1 0 | ▼a Lim, Sunghack, ▼e 편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253 2012z2 | 등록번호 11167981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그간 실증주의가 주도해온 정당연구의 공헌을 계승하면서도 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필자들은 기존 정당연구가 지닌 이론의 적실성의 한계와 더불어 다양한 방법론과 이론의 모색이라는 관점에서 연구의 새로운 나침반을 함께 찾아 나섰다.
이 책에서 저자들은 전통적 연구방법인 합리적 선택이론, 정치경제 접근, 역사적 접근에서부터 새로운 시도인 복잡계 이론, 정치인류학, IT정치론, 참여관찰 방법에 이르기까지 정당연구의 다양한 흐름과 새로운 가능성을 짚어본다.
‘미국의 세기’ 너머 한국 정당연구의 미래를 고민하다.
모든 정치학은 마땅히 당대 정치사회의 성격을 깊이 반영하게 마련이다. 이 점에서 지난 수십 년간 한국의 정당연구가 미국 사회과학이 주도해온 실증주의의 깊은 영향하에 놓인 것은 지극히 자명한 이치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곳곳에서 ‘미국의 세기’ 이후에 다가오는 (무)질서에 대해서 생각하기 시작했고, 시선은 점차 미국이라는 지평을 넘어서는 곳으로 향하고 있다. 따라서 정당연구 역시 그간의 익숙한 지평선 너머를 고민할 시점에 도달한 셈이다.
이 책은 그간 실증주의가 주도해온 정당연구의 공헌을 계승하면서도 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필자들은 기존 정당연구가 지닌 이론의 적실성의 한계와 더불어 다양한 방법론과 이론의 모색이라는 관점에서 연구의 새로운 나침반을 함께 찾아 나섰다. 이 책에서 필자들은 전통적 연구방법인 합리적 선택이론, 정치경제 접근, 역사적 접근에서부터 새로운 시도인 복잡계 이론, 정치인류학, IT정치론, 참여관찰 방법에 이르기까지 정당연구의 다양한 흐름과 새로운 가능성을 짚어본다.
- 머리말 중에서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장 한국 정당연구의 적실성 문제와 역사적 접근으로의 전환 / 장훈[중앙대] 1. 문제의 제기 : 한국 정당연구의 적실성 문제와 스트라우스의 탄식 = 13 2. 정당연구의 두 흐름과 적실성의 위축 : '부재의 사회과학'과 '과학적 사회과학'의 문제 = 17 3. 적실성 논쟁의 실마리를 찾아서 : 미국 정치학에서 실증주의 이후 역사연구로의 전환 = 26 4. 결론 : 역사연구 전환의 실마리를 찾아서 = 37 제2장 한국 정당연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성찰 / 김용호[인하대] 1. 서론 : 문제의 제기 = 45 2. 미국 사회과학의 정체성 확립과정 : 미국이 한국에 주는 교훈 = 46 3. 한국 정당연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방안 = 48 4. 결론 : 비판과 논쟁을 피하는 학문풍토 개선 = 60 제3장 한국 정당연구와 역사구조적 접근 : 문제와 대안 모색 / 박명림[연세대] 1. 문제의 제기 = 63 2. 한국 정당연구 논의의 한 전제 = 69 3. 초기 출발의 역사적ㆍ구조적 제약조건과 가능조건 = 74 4. '비동시성의 동시성', 또는 균열구조의 중첩과 펼침의 문제 = 80 5. 몇몇 상이한 층위들의 분류와 종합 = 86 6. 잠정적 - 현실적 대안을 찾아서 = 94 제4장 합리적 선택 접근방법과 한국 정당연구 / 김재한[한림대] 1. 시작하는 말 = 107 2. 합리적 선택 접근의 주요 개념 = 112 3. 나가는 말 = 125 제5장 한국 정당연구이론 동향분석 : 정치경제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유진숙[배재대] 1. 문제제기 = 131 2. 정치경제학적 정당연구방법론 = 133 3. 한국 정당연구의 정치경제학적 이론 적용 = 142 4. 결론 = 155 제6장 정치인류학적 접근 / 이현출[국회입법조사처] 1. 서론 : 서구의 정당이론과 한국 정당 = 163 2. 정치인류학적 접근법의 의미와 방법론 = 166 3. 한국 정당정치와 정치인류학적 방법의 적용 = 175 4. 정치인류학적 접근의 성과와 한계 = 186 5. 결론 = 189 제7장 복잡계적 접근 : 행위자기반모형을 중심으로 / 임성학[서울시립대] 1. 서론 : 현대정치와 복잡계 = 195 2. 복잡계의 의미와 방법론 = 198 3. 정당정치와 복잡계의 적용 = 208 4. 결론 = 217 제8장 온라인 매개적 접근 / 장우영[대구가톨릭대] ; 금혜성[SBS] 1. 서론 = 221 2. 온라인공간의 정치과정, 왜 다양한 연구방법이 필요한가? = 224 3. 온라인 정당정치 연구방법 : 세 차원의 온라인 매개 접근 = 229 4. 온라인 정당정치 연구의 동향과 쟁점 = 242 5. 결론 = 258 제9장 한국 정당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정당조직 유형을 중심으로 / 강원택[서울대] 1. 들어가는 말 = 271 2. 서구 정당연구의 주요 개념과 한국 정당 : 비판적 검토 = 273 3. 한국 정당정치 연구의 새로운 도전 = 288 4. 결론 = 293 찾아보기 = 297 저자 소개 =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