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822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727966 | |
005 | 20121114091401 | |
007 | ta | |
008 | 121112s2012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57269947 ▼g 93710 | |
035 | ▼a (KERIS)BIB000012959206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82 | 0 4 | ▼a 495.755 ▼2 23 |
085 | ▼a 497.55 ▼2 DDCK | |
090 | ▼a 497.55 ▼b 2012 | |
100 | 1 | ▼a 김억조 ▼0 AUTH(211009)59598 |
245 | 1 0 | ▼a 국어 차원형용사의 의미 / ▼d 김억조 |
260 |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2 | |
300 | ▼a x, 315 p. : ▼b 삽화, 도표 ; ▼c 24 cm | |
500 | ▼a 이 책은 저자의 박사 학위 논문 『국어 차원형용사의 의미 대립 연구』을 바탕으로 하여, 그 후 발표한 논문 몇 편을 덧보탠 것임 | |
504 | ▼a 참고문헌(p. 299-310)과 색인수록 | |
740 | 2 | ▼a 국어 차원형용사의 의미 대립 연구 |
945 | ▼a KLPA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97.55 2012 | 등록번호 1116798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2009년 6월 경북대학교 대학원에 제출한 박사 학위 논문 [국어 차원형용사의 의미 대립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그 후 발표한 논문 몇 편을 덧보탠 책이다. 이 책의 4장까지는 박사 학위 논문을 깁고 보탠 것이고, 5장과 6장은 개별 논문을 책의 제목에 맞게 수정한 것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국어 차원형용사는 공간 개념의 의미를 기본의미로 가지며 시간성, 추상성, 관용성을 확장의미로 가진 다의어로 ‘길다/짧다, 높다/낮다, 깊다/얕다, 가깝다/멀다, 넓다/좁다, 두껍다/얇다, 굵다/잘다(가늘다), 크다/작다’이다.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인간의 모든 추상적 개념은 신체적 경험의 영상도식이 기본이 되어 형성된 복합 개념이며 인간의 신체적 경험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것이 공간 개념이다. 이에 근거하여 2장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공간 개념과 의미 척도를 제시하였다.
2장을 토대로 3장에서는 이들을 대립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했다. 기존에 출판된 사전, 말뭉치, 언중들의 인식 실태를 바탕으로 국어 차원형용사 각 쌍들에 대한 의미와 대립 구조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이들과 결합 관계에 있는 명사를 대상으로 차원형용사의 용법을 고찰하였다. 5장은 단어가 확장의미로 사용되면서 의미 척도도 달라지는 것에 착안한 장이다. 2장에서 기본의미로 사용될 때의 의미 척도와는 달리 확장의미나 관용 표현으로 사용될 때는 의미 척도 자체가 달라지는 것을 검증하였다. 6장은 차원형용사의 각 쌍들이 중화항으로 사용되는데 이것을 보는 관점을 인지언어학적인 시각에서 접근하였다. 즉 환유에 기초하여 차원형용사의 중화를 재해석 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7장에서 결론을 맺었다.
이 책에서 다루는 국어 차원형용사는 공간 개념의 의미를 기본의미로 가지며 시간성, 추상성, 관용성을 확장의미로 가진 다의어로 ‘길다/짧다, 높다/낮다, 깊다/얕다, 가깝다/멀다, 넓다/좁다, 두껍다/얇다, 굵다/잘다(가늘다), 크다/작다’이다.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인간의 모든 추상적 개념은 신체적 경험의 영상도식이 기본이 되어 형성된 복합 개념이며 인간의 신체적 경험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것이 공간 개념이다. 이에 근거하여 2장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공간 개념과 의미 척도를 제시하였다.
2장을 토대로 3장에서는 이들을 대립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했다. 기존에 출판된 사전, 말뭉치, 언중들의 인식 실태를 바탕으로 국어 차원형용사 각 쌍들에 대한 의미와 대립 구조를 제시하였다.
정보제공 :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감사의 글 = ⅶ 제1장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 범위 및 방법 = 3 3. 선행 연구 = 7 4. 이 책의 구성 및 자료 = 11 제2장 공간 개념과 의미 척도 = 15 1. 공간 차원형용사 = 15 2. 공간 개념의 확장 = 24 3. 의미 척도 체계 = 31 제3장 차원형용사의 의미 대립 = 35 1. 1차원형용사 = 35 2. 2차원형용사 = 129 3. 3차원형용사 = 149 제4장 선행어 결합 양상 = 219 1. 공간어 = 219 2. 시간어 = 226 3. 추상어 = 229 제5장 의미 척도 체계 = 239 1. 기본의미 척도 체계 = 240 2. 확장의미 척도 체계 = 244 3. 관용 표현의 의미 척도 = 257 제6장 환유에 기초한 중화의 해석 = 275 1. 환유와 국어 차원형용사의 중화 = 276 2. 환유에 기초한 중화 = 278 3. 국어 차원형용사의 중화에 대한 해석 = 281 제7장 결론 = 293 참고문헌 = 299 찾아보기 = 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