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문학과 영어교육 (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한상택
서명 / 저자사항
영문학과 영어교육 / 한상택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12  
형태사항
283 p. : 삽화 ; 25 cm
ISBN
9788957269978
일반주기
부록: 문학/언어학 용어해설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9-269)과 색인수록
000 00780camcc2200277 c 4500
001 000045727925
005 20121114212811
007 ta
008 121112s2012 ulka b 001c kor
020 ▼a 9788957269978 ▼g 93370
035 ▼a (KERIS)REW000000163859
040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20.71 ▼2 23
085 ▼a 420.71 ▼2 DDCK
090 ▼a 420.71 ▼b 2012
100 1 ▼a 한상택 ▼0 AUTH(211009)42930
245 1 0 ▼a 영문학과 영어교육 / ▼d 한상택
246 1 1 ▼a English literature and English education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12
300 ▼a 283 p. : ▼b 삽화 ; ▼c 25 cm
500 ▼a 부록: 문학/언어학 용어해설
504 ▼a 참고문헌(p. 259-269)과 색인수록
546 ▼a 본문은 한국어, 영어가 혼합수록됨
945 ▼a KLPA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1 2012 등록번호 11167987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얼마 전까지 해도 과거 수 십 년 간 학교 외국어 교육과정에서 면면히 이어져왔던 문학의 역할에 대해 회의가 만연돼있는 실정이었다. 교육과 사회적 변화로 인해 한때 교육 목표에서 확고한 자리에 있던 문학에 대한 지도가 동요하게 이르렀던 것이다. 그 이유들 중 일부는 문학 교육의 방법론적인 면에서 일대 쇄신을 가해자는 여론이 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구태의연한 문법 번역식에 의한 문학 지도의 그저 따분하고 난해하다는 선입견과, 고전 작품들을 포함한 많은 문학 작품들이 일부 특수층의 교육 받은 자들이나 수준 높은 독자들에만 접근가능하다는 인식, 그리고 무엇보다도 최근의 학문 경향인 문어보다 구어에 대한 강조 때문에 기존의 영문학 교육이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근 학교 교육의 전반적인 과정에서는 실용적 의사소통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지도 경향인 ‘언어’에 대한 강조 때문에 ‘문학’에 대한 강조를 덜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학생들의 능력, 경험, 흥미 등을 재고하여 기존의 텍스트 선정을 지배하고 있는 원칙들을 수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텍스트들이 과연 어떤 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근거가 없고 이에 따른 더 좋은 대안이 없는 실정이었다. 이것은 언어와 문학 교육사이의 어떤 관계가 정립되지 않은 이유에서였다. 때문에 문학과 접하면서 얻는 통찰력과 기능을 대부분 무시하는 시험위주의 접근에서 교사가 지문을 번역하고 학생들이 이를 단지 받아쓰는 일은 흔히 있는 일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서 상황은 크게 일변했다. 영미 문학이 영어 교육 내에서 상당한 재고를 받게 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문학이 단일 역할만 수행한다는 생각은 잘못된 일이 되었다. 예를 들자면, 언어의 기능적 구사 능력을 중요시하는 학생들도 언어 내용을 위해 근대 소설을 읽게 되고 장래에 학문적 전문가가 될 학생들도 고전 희곡에 나타난 인간 문제를 논의하기도 한다. 이는 영어와 관련하여 각기 다른 목표들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학생들은 한결 같이 문학 작품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텍스트는 문학, 특히 영미 문학이 과연 우리나라처럼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환경에서 과연 언어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 그리고 만약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면 어느 정도 그리고 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가라는 문제 하에 시도되게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영어 학습에 직접 노출되어있지 않는 환경에서는 언어 학습의 자료로서 문학의 사용 가치를 높이는 것은 당연한 귀결일지도 모른다. 문학을 가르치는 많은 장점 중의 하나는 문학이 대부분 지문 언어(written language)로 되어있고 특별한 상황, 장소, 시간, 대상을 뛰어넘기가 수월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접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왜 문학을 가르쳐야만 하는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구체적인 세 가지 정당성을 제공받을 수가 있다.
첫째, 언어적 견지에서 문학 교재는 광범위하면서도 다양한 난이도를 가진 문체, 격식, 텍스트유형들의 진정한(authentic) 실례들을 제공한다.
둘째, 방법론적인 견지에서 문학 텍스트가 본질적으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게 개방되어 있다는 사실들은 두 독자 간에 주어진 텍스트에 대한 인위적 내지 규범적 합의 또는 이해나 반응이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러한 개인 간의 다른 해석과 의견 차이는 진정한 언어적 상호작용에 의해 연계될 수가 있다.
셋째, 문학 자료는 작가가 의도적으로 쓰고자 했던 자료들을 다루므로 사소한 자료가 아닐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문학 교재는 여느 다른 많은 유형의 언어 교수용 자료들과는 같지 않다. 왜냐하면 이런 유형의 언어 지도 자료들은 교육적 차원에서 볼 때 사소한 체험만을 빈번히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문학 교재에 대한 진정한 교감은 강력한 언어 교수-학습 동기원이 된다. 이는 학습자가 그들 자신의 체험으로부터 개인의 응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주제들을 다룬다는 사실과 관련지어서 생각해 볼 수가 있다.
문학 교육이 기본적인 정의적, 인지적 계발을 제공하는 데 있는바 근본적으로 문학이 제공하는 이점을 열거해보면 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이해할 것이다.:
1) 즐거움을 제공한다.
2) 상상력을 풍부하게 한다.
3) 허구적인 실체를 감상할 수 있게 한다.
4) 창의적인 생각을 증진할 수 있게 한다.
5) 의사소통에 필요한 다양하고 광범위한 언어 자원을 제공한다.
6) 교양적 가치를 증진시킬 수가 있다.
7) 후단 언어학적(meta linguistic)인 인식력을 획득할 수가 있다.
8) 언어 학습에 필요한 문화를 인지하게 한다.
9) 진정한(authentic) 언어 학습 자료를 제공한다.
10) 의사소통의 기본적 원천인 읽기 능력 외에도 다른 기능들을 자연스럽게 진작시킬 수 있다.

‘의사소통’을 커다란 관점으로부터 볼 때 과연 어디까지가 진정한 의사소통인가 구별하기란 매우 어렵다. 흔히 4가지 기능 중에 말하기와 듣기를 중심으로 말한다면 잘못된 생각이다. 인터넷이 발달한 오늘날 쓰기 기능도 대단히 중요한데, 이는 모든 중요한 지식의 정보는 대부분 지문 언어(written language)로 되어있는 책으로부터 나오기 때문이다. 또한 팝송[이는 문학 장르상 ‘운문’에 비유될 수 있다]을 이해하는 것도 의사소통의 한 유형이라 할 수가 있고, 유명한 연설가가 다양한 문체와 수사를 동원하여 청중에게 전달하는 메시지를 이해하는 것도 의사소통의 또 다른 유형이며, 각종 정의적 요소에 의존하는 광고문이나 게시문 기타 경구[속담이나 격언 등]들을 이해하는 것도 의사소통의 핵심이기 때문에 어학과 문학을 일찍이 따로 구분한 발상이 잘 못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제는 어학과 문학을 공집합 관계로 생각하지 말고, 문학이 어학 속에 포함된 부분 집합이라고 하여 보편적 핵심어(common core:일명, 필수 언어)를 찾고 두 분야가 진정한 의사소통을 위해 함께 손잡아야 할 때이다. (머리말 중에서)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한상택(지은이)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석사/박사)을 졸업했다. 한국교원대학교 강사, 공주대학교 강사로 활동했고, 현재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 -『고등학교 공통영어 I/II[High School English I, Ⅱ]』(성안당, 2008) -『영어학습지도를 위한 문학텍스트 활용방법』(한국문화사, 2010) -『스크린영어학습 I, II[English Screen Idioms]』(한국문화사, 2010) -『중등영어교사를 위한 영어 교육의 이론 및 실제』(한국문화사, 2011) -『영문학과 영어교육』(한국문화사, 2011) -『문학작품 속 실용영어』(북랩, 2021) -『의사소통 영어교실을 위한 다양한 수준별 활동 자료집』 -『중등영어교사를 위한 팀 티칭(Team Teaching) 이론과 실제』 -『중등영어교사를 위한 영어활용 영어수업(TETE)』 -『English Miscellany』 -『E = gV+C』 -『English Keystone』 -『문학작품 속 실용영어』(북랩 2021) -『영화 속 찐 원어민 영어 따라잡기 I, II』(북랩 2022)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ⅴ
Ⅰ. 언어학과 문학
 1.1. EFL에서 문학 지도에 대한 역사적 소고 = 1
 1.2. 언어와 문학의 관계 = 5
Ⅱ. 언어 교실에서의 문학지도
 2.1. 문학지도의 정당성 = 89
 2.2. 언어적 모델로서의 문학 = 92
 2.3. 문학 지도의 전제조건 = 101
 2.4. 문학지도에 대한 통합적 접근 방식 = 114
Ⅲ. 장르에 따른 문학 텍스트 접근 방법
 3.1. 거시적 접근 방식과 미시적 접근 방식 = 144
 3.2. 언어자원으로서의 문학 텍스트 활용 방법 선정 = 145
 3.3. 자료의 선정과 평가 = 153
 3.4. 문학 장르별 접근 방법 = 156
Ⅳ. 학습 경험
 4.1. 문학적 장치를 통한 "Soldier's Home" 이해 활동 = 201
 4.2. 심층 읽기를 통한 "Hearts and Hands" 탐구 활동 = 222
 4.3. 언어 기능(skills) 개발을 위한 문학 스토리 활용 = 227
 4.4. 아동 문학 - 이야기 말하기[스토리 텔링(story telling)] 적용 기법 = 236
 4.5. 언어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운문 형태 지도 = 241
 4.6. 희곡 속 대화체문 학습을 통한 언어 인지 증강 = 251
참고문헌 = 259
부록 : 문학/언어학 용어해설(Literary/Linguistic Glossary) = 270
찾아보기 = 27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