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1046camcc2200337 c 4500 | |
001 | 000045727917 | |
005 | 20121113210528 | |
007 | ta | |
008 | 121112s2012 ggk b 000c kor | |
020 | ▼a 9788950943479 ▼g 03300 | |
035 | ▼a (KERIS)REW000000164602 | |
040 | ▼d 211009 | |
041 | 1 | ▼a kor ▼h ger |
082 | 0 4 | ▼a 323.01 ▼2 23 |
085 | ▼a 323.01 ▼2 DDCK | |
090 | ▼a 323.01 ▼b 2012 | |
100 | 1 | ▼a Menke, Christoph, ▼d 1958- |
245 | 1 0 | ▼a 인권 철학 입문 : ▼b 정치적·도덕적 경험에 비추어본 인권의 철학적 문제들 / ▼d 크리스토프 멩케, ▼e 아른트 폴만 지음 ; ▼e 정미라, ▼e 주정립 옮김 |
246 | 1 9 | ▼a Philosophie der Menschenrechte zur Einfuhrung |
260 | ▼a 파주 : ▼b 21세기북스, ▼c 2012 | |
300 | ▼a 310 p. ; ▼c 23 cm | |
440 | 0 0 | ▼a KI신서 ; ▼v 4390 |
504 | ▼a 참고문헌: p. 296-306 | |
650 | 0 | ▼a Human rights ▼x Philosophy |
700 | 1 | ▼a Pollman, Arnd, ▼d 1970-, ▼e 저 |
700 | 1 | ▼a 정미라, ▼e 역 ▼0 AUTH(211009)12326 |
700 | 1 | ▼a 주정립, ▼e 역 ▼0 AUTH(211009)52520 |
900 | 1 0 | ▼a 멩케, 크리스토프, ▼e 저 |
900 | 1 0 | ▼a 폴만, 아른트,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1 2012 | Accession No. 11167988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20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3.01 2012 | Accession No. 15131398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3.01 2012 | Accession No. 111679883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20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3.01 2012 | Accession No. 15131398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인권 철학이란 무엇인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권철학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권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이해가 넓어지면서 다시 한 번 ‘인권’에 대해 환기시키고 있다. 또한 인권의 개념과 근거에 대한 규정, 인권의 외연과 범위에 대한 물음, 인간 존엄성의 개념, 인권의 정치에 대한 물음 등 인권의 철학적 근본 문제들을 일별해서 인권의 개념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권과 관련해 본질적인 이론적 문제들을 제기함으로써 더 깊은 성찰로 이끄는 미덕을 지니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이 책이 대학이나 학교, 시민사회에서 인권을 위해 애쓰는 이들에게 인권이론의 안내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권 철학’ 역사의 출발점
이 책의 저자인 크리스토프 멩케와 아른트 폴만은 전체주의와 제2차 세계대전이 인권에서 역사적 단절을 의미했으며, 그 이후 완전히 바뀐 철학적·정치적·법적 환경 속에서 새로운 인권정치가 시작된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18세기 후반 부르주아 혁명 과정에서 각종 선언을 통해 화려하게 세계사의 무대에 등장했지만, 20세기 전반까지 항상 ‘뒷북만 치고’ 있던 인권이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새로운 이념적 규정을 통해 새 출발을 시도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즉, 인권정치의 역사에서 전체주의와 제2차 세계대전, 그리고 이 둘에 대한 정치적·법적 대응이 결정적 전환, 아니 역사적 단절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1945년과 함께 인권의 정치적 현재가, 그것도 완전히 바뀐 철학적·정치적·법적 환경 속에서 시작된다는 것이다. 이 책은 근본적으로 새로운 인권이념을 정립하지는 않는다. 이미 그것을 위한 시도와 이론요소들이 다양하게 존재하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인권이념의 핵심적인 개념적 근본 문제들을 소개하고 설명”하는 것에 만족하고 있다.
두 저자는 이 책에서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제기한다. 오늘날 인권이 모든 국가에 의해 구속력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요구와 의무를 나타내는 것이라면 이러한 요구와 의무는 어떤 류의 것인가? 그것은 도덕적 성격의 것인가, 아니면 정치적 성격의 것인가? 모든 사람이 그가 살고 있는 정치적 질서를 통해 동등하게 배려되어야 한다는 사유는 어떻게 정당화될 수 있는가? 인간이 문화나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른 존재라면 어떻게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보편적인 인권이 선언될 수 있었을까? 존엄성으로 가득 찬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인간의 보편적 잠재력이 왜 모든 사람이 기본권을 누릴 수 있을 때에만 보호될 수 있고 발양될 수 있는 것인가? 인권과 민주주의는 서로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가? 개별 국가 수준 위에 선 인권정치의 권위들을 어떻게 구상할 수 있는가?
저자들은 이에 대해 예컨대 모든 다른 사람을 다른 사람으로서 인정하는 기본적 마음가짐이 인권을 정당화하는 마지막 근거이고, 보편적인 인권의 실현을 위한 싸움에서 상대주의자와 같은 적수의 논거를 이해하고 그들과 대화적으로 씨름할 수 있는 자세가 중요하며 인권을 전 세계적으로 관철시킬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은 대화적이고 민주적인 방식을 통해 공동으로 세계질서를 창출하는 것이라는 등의 대답을 내놓는다.
인권의 현주소를 묻다
오늘날 인권정책의 핵심적 전제는 정치적·도덕적 파국의 경험이라고 보는 것이 옳다. 이 경험은 인권역사 자체의 토대까지도 뒤흔들 정도로 근본적인 것이었다. 그것은 특히 나치주의, 그러나 스탈린주의도 포함하는 정치적 전체주의의 경험이었다. 이 전체주의가 자유민주주의에 승리함으로써 인류는 수년간 직접적인 현실정치적 위협에 시달리게 된다.
오늘날 모든 인권정책의 토대가 되는 문서, 즉 1948년의 세계인권선언은 명시적으로 이러한 세계인들의 파국경험을 언급하고 있다. 1945년의 유엔헌장에서만 해도 여전히 제1차 세계대전 후에 전개된 반전운동의 스타일로 “우리 생전에 두 차례나 인류에게 형언할 수 없는 고통을 안겨 준” “전쟁의 재앙”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1948년의 세계인권선언 전문에는 이제 그뿐만이 아니라 특히 “인류의 양심을 분노케 한” “야만행위들”을 상기시키고 있다.
1945년 이후 성립한 지구적 인권 레짐의 우선적 존재 근거는 바로 이러한 야만행위의 경험과 그 극복의 의지였던 것이다. 따라서 1945년 이후 전개된 인권이념의 확산을 명확하게 정치적·도덕적 파국의 경험에 대한 응답으로 해석하지 못하면, 그 사실 자체뿐만 아니라 그 구조와 동역학도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이 책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권철학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전 세계적으로 인권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이해가 넓어지면서 다시 한 번 ‘인권’에 대해 환기시키고 있다. 또한 인권의 개념과 근거에 대한 규정, 인권의 외연과 범위에 대한 물음, 인간 존엄성의 개념, 인권의 정치에 대한 물음 등 인권의 철학적 근본 문제들을 일별해서 인권의 개념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권과 관련해 본질적인 이론적 문제들을 제기함으로써 더 깊은 성찰로 이끄는 미덕을 지니고 있다. 그러한 점에서 이 책이 대학이나 학교, 시민사회에서 인권을 위해 애쓰는 이들에게 인권이론의 안내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크리스토프 멘케(지은이)
1958년에 태어나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와 콘스탄츠 대학교에서 철학, 독문학, 예술사를 공부하였다. 1987년 콘스탄츠 대학교에서 논문 「해석학에 따른 미적 체험의 부정성」 (Nach der Hermeneutik. Zur Negativitat asthetischer Erfahrung) 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1995년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논문 「인륜적인 것 속에서의 비극: 헤겔과 근대의 자유」(Tragodie im Sittlichen: Hegel und die Freiheit der Moderne)로 교수 자격 취득학위를 받았다.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뉴욕의 사회연구를 위한 뉴스쿨(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에서 부교수로 재직하였다. 2011년부터 포츠담 대학교 인권센터의 공동소장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포츠담 대학 교수를 거쳐 2009년부터 프랑크푸르트의 요한 볼프강 괴테 대학교 실천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인권의 혁명. 정치적 힘의 새 개념에 대한 기초적 텍스트들』(Die Revolution der Menschenrechte. Grundlegende Texte zu einem neuen Begriff des Politischen Kraft), 『미학적 힘: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 개념』(Kraft), 『비극의 현재 : 판단과 놀이에 대한 시도』 (Die Gegenwart der Tragodie. Versuch uber Urteil und Spiel) 등을 주어캄프 출판사에서 출판했다.
아른트 폴만(지은이)
1970년에 태어나 독일 본 대학교와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철학과 정치학, 심 리학을 공부했다.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포츠담 대학교 인권센터의 연구원으로 재직하면서 “사회적 인권과 사회적 정의” 주제의 연구 프로젝트를 수 행했다. 2004년 프랑크푸르트의 요한-볼프강-괴테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5년부터 마그데부르크의 오토-폰-게리케 대학교 철학 연구소에 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6년에 이 대학교의 카를 페터 프리체Karl-Peter Fritzsche?게오르크 로만Georg Lohmann 교수와 함께 인권 관련 연구, 교육, 연구 자 육성, 국내 및 국제교류 등을 조율하고 촉진시키는 임무를 지닌 ‘인권일터’ 를 설립했다. 2007년에 작센안할트 주의 동물보호 윤리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되었으며 2009년에는 하인리히-뵐 재단의 녹색아카데미 회원으로 영입되었다. 그리고 2010년부터 《인권잡지Zeitschrift f?r Menschenrechte》의 공동발행인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는 『인권은 불가분하며 동등하게 중요한가?Die Menschenrechte: unteilbar und gleichgewichtig?』(2005), 『인권: 학제간 안내서Menschenrechte: Ein interdisziplin?res Handbuch』(2010) 등이 있다.
정미라(옮긴이)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헤겔의 실천철학에 있어서 개별자와 보편자의 문제)를 받았다. 고려대학교 Post-doc.을 거쳐 현재 전남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헤겔의 “정신현상학” 읽기』, 『이성과 자유』, 『다원주의와 철학적 관점』(공저), 『우리와 헤겔철학』(공저), 『헤겔과 근대정신』(공저), 『철학의 이해』(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는 『가족?』, 『니체, 인생을 말하다』, 『인권철학입문』(공역),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인륜적 공동체와 예술종교」, 「욕망에서 문명으로」, 「도야와 자유의 실현」 등 다수가 있다.
주정립(옮긴이)
1986년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1997년 독일의 요한 볼프강 괴테 대학교(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정치사상 전공으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신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2003~2006년 호남대학교 연구교수를 지냈다. 평화재단 상임연구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전남대학교 민주인권평화센터 전임연구원이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문 : 인권의 현재 - 파국 이후에 = 9 Ⅰ 근본적 규정들 1장 인권의 개념들 - 법, 도덕, 정치 = 30 권리와 도덕 사이에서 = 31 하나의 정치적 구상 = 38 모든 사람의 모든 사람에 대한 의무? = 45 2장 인권의 정당화 : 계약, 이성, 인정 = 49 두 가지 적들 - 전체주의와 상대주의 = 50 유적 단절의 경험 = 53 세 가지 모델 = 58 논쟁 Ⅰ : 인권의 도덕적 구상과 정치적 구상 사이의 논쟁 = 81 Ⅱ 인권의 범위 3장 보편화의 문화 = 91 상대주의파 = 92 보편주의가 아니라 보편화 = 97 자기반성의 태도 = 104 문화 간 대화? = 106 4장 확대의 역사 = 120 네 개의 이론사적 궤도 = 121 권리보유자 범위의 확대 = 127 인권의 부류 = 137 불가분하고 똑같이 중요한가 = 144 논쟁 Ⅱ : 최소주의적 보편주의와 최대주의적 보편주의 사이의 논쟁 = 150 Ⅲ 인간의 존엄성 5장 존엄성의 내용 = 161 네 가지 기본 입장 = 163 체화된 자기존중 = 168 존엄성 보유와 존엄성 보호 = 175 6장 존엄성의 권리 = 180 동전의 양면 = 183 이념사적 회고 = 188 근대적 주체성 = 193 논쟁 Ⅲ : 성공론적 존엄성 개념과 자유론적 존엄성 개념 사이의 논쟁 = 200 Ⅳ 정치 7장 인권과 민주주의 = 209 민주주의와 인권을 결부시키는 세 가지 방식 = 209 민주주의에 대한 인권적 비판 = 212 인권의 민주적 정당화 = 219 8장 세계공화국으로 가는 도중에 있는가? = 228 민주주의의 수출 = 229 정치적 세계질서의 5가지 모델 = 232 인권 레짐의 과제들 = 242 논쟁 Ⅳ : 세계시민권의 국가적 구상과 민주주의적 구상 사이의 논쟁 = 253 주 = 262 참고 문헌 = 296 옮긴이 후기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