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727904 | |
005 | 20160630091923 | |
007 | ta | |
008 | 121112s2012 ulkj b 001c kor | |
020 | ▼a 9788933706350 ▼g 93910 | |
035 | ▼a (KERIS)BIB000012962191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chi |
082 | 0 4 | ▼a 327.510519 ▼2 23 |
085 | ▼a 327.51053 ▼2 DDCK | |
090 | ▼a 327.51053 ▼b 2012z1 | |
245 | 0 0 | ▼a 중한관계사. ▼p 현대편 / ▼d 쑹청유 외 지음 ; ▼e 전홍석 옮김 |
246 | 0 9 | ▼a 中韓關係史. ▼p 現代卷 |
246 | 3 | ▼a Zhong Han guan xi shi. ▼p Xian dai juan |
260 | ▼a 서울 : ▼b 일조각, ▼c 2012 | |
300 | ▼a 446 p. : ▼b 연표 ; ▼c 23 cm | |
500 | ▼a 공저자: 장신(姜欣), 왕레이(王蕾等), 비커중(畢可中), 리수홍(李淑紅), 린팡(林芳), 탕리궈(唐利國) | |
504 | ▼a 참고문헌(p. 429-430)과 색인수록 | |
651 | 0 | ▼a China ▼x Foreign relations ▼z Korea |
651 | 0 | ▼a Korea ▼x Foreign relations ▼z China |
651 | 0 | ▼a China ▼x Foreign relations ▼y 1644-1912 |
700 | 1 | ▼a 宋成有, ▼d 1945-, ▼e 저 ▼0 AUTH(211009)7136 |
700 | 1 | ▼a 姜欣, ▼e 저 |
700 | 1 | ▼a 王蕾等, ▼e 저 |
700 | 1 | ▼a 畢可中, ▼e 저 |
700 | 1 | ▼a 李淑紅, ▼e 저 |
700 | 1 | ▼a 林芳, ▼e 저 |
700 | 1 | ▼a 唐利國, ▼e 저 |
700 | 1 | ▼a 전홍석 ▼g 全洪奭, ▼d 1969-, ▼e 역 ▼0 AUTH(211009)56685 |
900 | 1 0 | ▼a 쑹청유, ▼e 저 |
900 | 1 0 | ▼a Song, Chengyou, ▼e 저 |
900 | 1 0 | ▼a 장신, ▼e 저 |
900 | 1 0 | ▼a Jiang, Xin, ▼e 저 |
900 | 1 0 | ▼a 왕레이, ▼e 저 |
900 | 1 0 | ▼a Wang, Lei, ▼e 저 |
900 | 1 0 | ▼a 王蕾等, ▼e 저 |
900 | 1 0 | ▼a 비커중, ▼e 저 |
900 | 1 0 | ▼a Bi, Kezhong, ▼e 저 |
900 | 1 0 | ▼a 리수홍, ▼e 저 |
900 | 1 0 | ▼a Li, Shuhong, ▼e 저 |
900 | 1 0 | ▼a 李淑紅, ▼e 저 |
900 | 1 0 | ▼a 린팡, ▼e 저 |
900 | 1 0 | ▼a Lin, Fang, ▼e 저 |
900 | 1 0 | ▼a 林芳, ▼e 저 |
900 | 1 0 | ▼a 탕리궈, ▼e 저 |
900 | 1 0 | ▼a Tang, Liguo, ▼e 저 |
900 | 1 0 | ▼a 唐利國, ▼e 저 |
945 | ▼a KLPA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51053 2012z1 | Accession No. 11167989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04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51053 2012z1 | Accession No. 15131403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9-2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27.51053 2012z1 | Accession No. 111679897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04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27.51053 2012z1 | Accession No. 151314039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09-25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베이징대학 한국학연구센터의 교수진과 연구진이 주축이 되어 집필한 책이다. 중국 사회과학문헌출판사에서 고대편, 근대편, 현대편 총 3권으로 출판되었다. 현대편은 쑹청유 교수 등이 공저한 마지막 현대편으로, 이로써 국내에 고대편(2005, 범우사), 근대편(2009, 일조각), 현대편에 이르는 3권이 모두 번역 출간되게 되었다.
현대편은 1945년 이후 냉전 시대의 개막으로 인해 한국과 중국의 국교가 단절된 상황에서부터 1991년 탈냉전 시대의 도래로 국교가 다시 정상화되는 데 이르기까지 전후 맥락의 한.중 관계사를 담고 있다. 저자들은 중국과 한국의 자료는 물론 미국, 유럽, 북한과 일본의 자료 등을 참고해 현대 중·한의 정치, 경제, 문화 관계사를 세밀하게 기술하고 있다.
한·중 수교 20주년과 비약적 관계 발전
현대 한·중 관계사는 동서냉전 체제의 결빙, 해빙과 그 궤적을 같이해왔다. 한국과 중국은 근대 대일 항전의 승리를 위해 공조했던 우정의 역사를 갖고 있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소 양극 체제의 이념적 대립을 겪으면서 이후 40여 년 동안 극단적으로 반목하고 배척하는 ‘적대국’ 관계가 되었다. 양국은 일제의 침략에 맞서고 민족의 독립과 국가의 영토, 주권의 완전성을 지키기 위해 겪었던 파란만장한 역사를 함께 나누었지만 냉전 이데올로기로 인해 교류가 단절되었고, 이후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인문학계는 적대적 이데올로기의 잣대로 실제 현존하는 중국의 국가 실체와 학문적 이론들을 도외시했고, 중국 역시 극좌적 과학사회주의로 일관해 한국과의 괴리감을 심화함으로써 상호 이해를 위한 건강하고 올바른 학술적, 문화적 데이터베이스 축적이 차단되었다.
그러나 20세기 말에 접어들면서 냉전 시대가 종식되고 세계가 다극 체제로 전환됨에 따라 양국은 ‘우호국’의 위상을 회복했고, 드디어 1992년 국교가 정상화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올해 2012년은 한.중 수교 20주년을 맞이하는 뜻 깊은 해이다. 두 나라는 지난 20년간 정치, 경제, 문화, 인적 교류 등 여러 방면에서 비약적인 관계 발전을 이룩했다.
중국 측 시각에서 바라본 중국과 한국의 현대관계사
이 책은 중국 내 한국학 연구의 현주소라고 할 수 있는 베이징대학 한국학연구센터의 기념비적인 연구 성과물로 한.중 관계에 대한 중국 입장에서의 역사 인식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중국 측의 역사 시각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올바른 ‘대중관對中觀’ 정립을 위한 일차적 중국 문헌이라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깊다. 베이징대학 한국학연구센터의 교수진과 연구진이 주축이 되어 집필한 이 책은 중국 사회과학문헌출판사에서 고대편, 근대편, 현대편 총 3권으로 출판되었다. 『중한관계사』(현대편)은 쑹청유 교수 등이 공저한 마지막 현대편으로, 이로써 국내에 고대편(2005, 범우사), 근대편(2009, 일조각), 현대편에 이르는 3권이 모두 번역 출간되게 되었다.
현대편은 1945년 이후 냉전 시대의 개막으로 인해 한국과 중국의 국교가 단절된 상황에서부터 1991년 탈냉전 시대의 도래로 국교가 다시 정상화되는 데 이르기까지 전후 맥락의 한.중 관계사를 담고 있다. 저자들은 중국과 한국의 자료는 물론 미국, 유럽, 북한과 일본의 자료 등을 참고해 현대 중·한의 정치, 경제, 문화 관계사를 세밀하게 기술하고 있다.
현재의 우리에게도 여전히 유효한 한·중 관계의 과제들
이 책이 집필된 지 20년이라는 세월이 지났지만 저자들이 장래의 동북아시아를 조망하면서 제시한 한?중 관계의 바람직한 미래상들은 최근 동북아시아가 ‘영토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특히 21세기 동북아시아 국제 구도의 다극화 특징이 한?일 간의 독도 문제, 중?일 간의 댜오위다오釣魚島列島(센카쿠尖角 열도) 귀속 분쟁, 러?일 간의 북방영토(쿠릴 열도) 다툼으로 폭발할 것이라고 예견한 부분은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저자들은 21세기 다극화 시대에 한?중의 정치, 경제, 문화 관계가 균형 있게 발전하고 두 나라가 안정된 세력으로 동북아시아의 평화에 기여하는 것이 시대를 초월한 중대한 과제라고 전망했다.
이 책은 한·중 관계에 대한 중국 측 역사 인식을 한국에 소개하고자 한 본래 취지에 따라 원문에서 사용한 용어를 최대한 그대로 따랐다. 좀 더 명확히 한국에서의 발간 의도를 밝히고자 책의 제목도 ‘한중관계사’가 아닌 원서 제목 그대로 ‘중한관계사’로 하였다. 저자들은 양국의 관계사를 기술함에 있어 최대한 객관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역사 인식에서 미묘한 차이가 드러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이를 우리의 역사 시각과 비교해보고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공정한 시각을 정립하는 것은 독자들의 몫이 될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쑹청유(지은이)
1945년생. 1969년 베이징대학교 역사학과에서 세계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베이징대학교 역사학과 교수, 동 대학 동북아연구소 소장, 동 대학 한국학연구센터 부주임, 동 대학 일본연구센터 부주임, 중국일본사학회 상무부회장, 중국조선사연구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전문 연구분야는 근현대 일본사와 한국사, 동북아사, 세계근현대사, 근현대 중·일·한 발전유형비교연구, 현대동북아 국제관계사연구이다. 주요 저서로는 <戰後日本外交史>(제1저자), <日本帝國的興亡>(공저), <中韓關係史: 現代卷>(제1저자), <日本十首相傳>(주편), <北京大學與韓國“三·一”獨立運動>(제1편 저), <新編日本近代史>, <東北亞史?究導論> 등이 있다.
전홍석(옮긴이)
성균관대학교에서 한국철학, 중국철학을 공부하고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한국연구재단 해외 박사후연수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중국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에서 동서비교철학을 공부했다. 그리고 베이징외국어대학교 방문학자로 초빙을 받아 동대학 중국해외중국학연구센터(中國海外漢學硏究中 心)에서 문명교류사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그 외에 중국톈진외국어대학교 객좌교수, 중국톈 진FESCO 중한무궁화국제교육원장, 원광대학교 HK+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는 순천향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중국해외중국학연구센터 겸임연구원, 동아시아문명연구소장으로 있으면서 저술활동 과 학술강연에 전념하고 있다. 저서로 <동아시아 문화학 로드맵, 주쳰즈(朱謙之)의 문화사상>, <초기 근대 서구지식인의 동아시아상과 지식체계>, <동아시아와 문명>, <동아시아 문명공동체>, <조선시대 공공성 담론의 동학>, <독일 계몽주의의 유학적 기초>, <문명 담론을 말하다>, <조선 후기 북학파의 대중관 이해>, <朱謙之 문화철학 연구>가 있다. 또한 역서에는 <중국사상이 유럽문화에 끼친 영향>, <중한관계사-근대편>, <중한관계사-현대편>, <문화철학>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글쓴이 서문 - 중ㆍ한 양국, 적대국에서 우호국으로의 변천 50년 역사 회고 = 5 옮긴이 서문 - 다극화 시대를 살고 있는 21세기 동북아시아 = 21 제1부 풍운의 조화 = 29 1장 광복 초기의 흥분과 희망 = 31 2장 강대국의 개입과 한반도의 남북 분단 = 47 3장 신중국의 외교 방침과 동북아시아 양대 진영의 대치 = 63 제2부 대치 시대 = 75 1장 3년간의 혈전 = 77 2장 바다를 낀 대치 시대의 설전 = 97 3장 1950∼1960년대 중ㆍ한 대치의 국제요인 = 126 제3부 전환점 = 137 1장 1970년대 초반 국제 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 139 2장 한반도 정세의 새로운 동향 - 남북대화의 시작 = 150 3장 한국 경제의 비약과 중ㆍ한 정부의 정책 조정 추세 = 165 제4부 최초의 접촉 = 183 1장 중ㆍ한 접촉을 촉진한 환경과 조건 = 185 2장 일본 군국주의에 대한 비판 속에서 공감대 발견 = 196 3장 우발적인 사건이 뜻밖의 계기가 되다 - 최초 중ㆍ한 정부 측 대표의 긍정적인 접촉 = 213 제5부 교류 경로의 확대 = 231 1장 중ㆍ한 경제개발 전략의 상호 선택 = 233 2장 중ㆍ한 경제무역 협력 관계의 급속한 발전 = 246 3장 체육경기와 국민교류의 붐 = 259 4장 문화교류의 유대를 만든 사람들 = 267 제6부 중ㆍ한 국교 수립 = 281 1장 남북 고위급 회담과 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 283 2장 수교협상 = 294 3장 중ㆍ한 수교 = 304 4장 중ㆍ한 수교 의미의 구현 - 한반도 핵 위기 해소의 전후 사정 = 315 제7부 쌍무 관계의 획기적인 발전 = 329 1장 경제무역 관계의 급속한 발전 = 331 2장 전방위적 문화교류와 협력 = 344 3장 정부와 민간 차원의 상호 빈번한 방문 = 353 맺음말 _ 21세기 동북아 국제구도와 중ㆍ한 관계 = 369 미주 = 385 주요 연표 = 399 참고문헌 = 429 후기 = 431 용어 _ 찾아보기 = 433 인명 _ 찾아보기 =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