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현대사회와 평생학습 : 학습하는 사회

현대사회와 평생학습 : 학습하는 사회 (Loan 1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이현청
Title Statement
현대사회와 평생학습 = Modern society & lifelong learning : 학습하는 사회 / 이현청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2012  
Physical Medium
309 p. : 삽화, 도표 ; 23 cm
ISBN
9788963309170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01)과 색인수록
000 00722camcc2200241 c 4500
001 000045727877
005 20121113213530
007 ta
008 121112s2012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3309170 ▼g 93370
035 ▼a (KERIS)BIB000012955568
040 ▼a 221003 ▼c 221003 ▼d 211009
082 0 4 ▼a 374 ▼2 23
085 ▼a 374 ▼2 DDCK
090 ▼a 374 ▼b 2012z3
100 1 ▼a 이현청
245 1 0 ▼a 현대사회와 평생학습 = ▼x Modern society & lifelong learning : ▼b 학습하는 사회 / ▼d 이현청 저
246 3 1 ▼a Modern society and lifelong learning
260 ▼a 서울 : ▼b 학지사, ▼c 2012
300 ▼a 309 p. : ▼b 삽화, 도표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301)과 색인수록
945 ▼a KLPA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12z3 Accession No. 1116799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평생교육 분야에서 인정받고 있는 외국 학자들의 논문이나 저서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내용을 총망라하려고 노력하였고, 특히 현대사회의 학습사회 부분과 대학의 봉사학습, 그리고 평생교육의 의미와 과제 등에 대한 내용을 다루면서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시대적 의미를 담는 평생교육 내용을 담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안고 있는 사회문제들을 다루면서 평생교육의 역할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교육은 사회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사회변화에 따라 내용과 대상, 그리고 방법 등이 변화하기 마련이지만, 지난 10여 년 동안 평생교육 분야에서 대상과 프로그램은 달라진 부분이 있으나 방법론을 비롯해 이론과 철학, 그리고 정책 동향 면에서는 커다란 변화를 발견하지 못했기에 이 책에는 필요한 부분만 담았다. 물론 유비쿼터스 시대와 다양한 신직업의 출현에 따라 방법적 접근이 혁명적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는 점은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에도 관심을 두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이현청(지은이)

한양대를 졸업한 후 미국에 유학하여 남일리노이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미국 사우스 캐롤라이나대학과 남일리노이대학에서 교수로 미래교육학과 평생교육, 교육사회학을 가르쳤으며 미시간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교에서 객원 연구원으로 고등교육과 인간발달에 관한 연구를 했다. 귀국 후 부산대학교 교수와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했다.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나라 고등교육 개혁에 많은 기여를 했으며 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과 호남대, 상명대 총장을 역임했다. 국내외 교육 개혁에 앞장서 오면서 한국대학총장협회 회장, UMAP(아태지역 고등교육 협력기구)의장, 유네스코 대학 간 학점교류 및 상호인정 세계총회 의장, OECD집행이사, CHEA(미국평가인정기구)이사, AUAP(호주대학평가기구)평가위원, 대만 교육부 자문교수 등 국제적 활동을 해왔다. 세계 3대 인명사전에 모두 등재되었으며 탁월한 21세기 지성, 국제인명센터(IBC) 21세기 우수지식인 2,000인, 미국 인명연구소(ABI) 21세기 탁월한 지식인 1,000인, 영국 세계인명센터에서 세계적인 교육자 100인에 선정되기도 했다. 국내외대학과 기업, 정부기관 등에서 많은 강연과 기고를 해왔으며 국내외 30여 편의 저서와 34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해왔다. 이현청 교수의 관심영역은 교육 전반에 관련된 부분과 미래사회에 대한 전망, 사회문제와 인간성회복에 대한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현재는 한양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회문제와 교육, 인권과 인성교육, 위기사회론, 기독교교육 등에 관한 강연과 대학원 강의를 맡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부 현대사회와 평생학습
 제1장 현대사회와 평생학습 = 15
  1. 교육의 개념과 학습 = 15
  2. 평생교육의 개념 = 16
  3. 평생교육사회의 확대 = 18
  4. 사회변동과 평생교육 = 20
 제2장 성인계속교육의 이론적 배경 = 29
  1. 사회의 본질 = 32
  2. 성인계속교육의 목적 = 35
  3. 성인학습자의 본질 = 39
  4. 성인학습 = 42
  5. 지식과 교육과정 = 44
  6. 전문인의 역할 = 47
 제3장 평생교육의 의미와 현대 동향 = 51
  1. 평생교육의 의미와 과제 = 51
  2. 평생교육의 현대 동향 = 60
제2부 성인발달과 평생학습
 제4장 성인발달의 이해 = 77
 제5장 성인경험론과 경험적 학습 = 95
  1. 성인의 흥미 = 97
  2. 성인의 가치 = 99
  3. 성인의 욕구 = 101
  4. 경험적 학습 = 105
 제6장 성인교육 중퇴자론 = 111
  1. 성인교육 참여동기: 그들은 왜 등록하는가 = 111
  2. 특별한 욕구: 욕구를 어떻게 충족시킬 것인가 = 112
  3. 중도탈락 이유: 그들은 왜 중도탈락하는가 = 113
  4. 만일 날씨 때문이 아니라면 = 113
  5. 불만족의 징후 = 114
  6. 교정하는 방법 = 114
  7. 최소한의 예방 = 116
  8. 교육자들은 '이것을 시도해 보라'고 말한다 = 117
 제7장 사회교육방법론: 개인중심방법 = 119
  1. 개념의 정의 = 119
  2. 사회교육방법에 관한 견해 = 120
  3. 개인중심 사회교육방법 = 122
 제8장 사회교육평가론 = 149
  1. 사회교육평가의 개념 및 준거 = 150
  2. 사회교육평가의 유형과 절차 = 157
  3. 사회교육평가의 쟁점과 실제 = 167
 제9장 전문계속교육론 = 179
  1. 전문계속교육의 목표 = 181
  2. 전문계속교육의 정의와 현실적 차이점 = 184
  3. 현재의 정책과 신념에 대한 논의 = 190
 제10장 노년계속교육론 = 193
  1. 노년인구의 증가와 성인학습 = 193
  2. 성인학습자로서의 노년 = 196
  3. Elderhostel 프로그램 = 199
제3부 학습사회론
 제11장 성인기초교육론 = 209
  1. 프로그램 계획과정 = 215
  2. 성인기초교육 요원의 훈련 = 218
  3. 연구 = 221
 제12장 성인공민교육론 = 227
  1. 성인공민교육의 목표 = 228
  2. 성인공민교육의 내용과 활용방안 = 229
 제13장 성인직업교육론 = 239
  1. 성인직업교육 개념과 구조 = 240
  2. 성인의 직업교육에의 참여 = 244
  3. 성인직업교육의 기관 및 프로그램 = 246
  4. 성인직업교육 관련 프로그램 = 250
  5. 성인직업교육과 인력개발 = 251
  6. 고등교육과 성인직업교육 = 252
  7. 고등교육과 기업체 협력 성인직업교육 = 253
  8. 성인직업교육과 후원 서비스 = 256
 제14장 청소년의 여가선용 교육 = 259
  1. 청소년 평생교육의 의의 = 259
  2. 한국교육문화와 청소년 = 261
  3. 청소년과 여가선용 = 264
 제15장 가정학교운동론 = 269
  1. 가정학교운동의 기원 및 동기 = 269
  2. 가정학교운동의 내용 = 271
  3. 가정학교운동의 쟁점 = 273
 제16장 봉사학습과 지역사회교육 = 277
  1. 공립학교와 지역사회교육 = 277
  2. 대학봉사학습과 지역사회교육 = 279
  3. 대학사회봉사교육의 과제 = 287
 제17장 학습사회론: 학교교육과 학습사회 = 291
찾아보기 = 30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